본문 바로가기
  • [에디터 노트]부동산이 뭐길래

    한가위 연휴 때 가족 친지들을 만나면 일과 건강을 묻는 기본적인 안부에서 시작해 자녀 교육과 취업, 정치 이슈 등 대화의 주제가 끝도 없이 번져 갑니다. 결국 부동산과 유산 상속 문제에 다다르면 서로 얼굴을 붉힐 때도 있습니다. 때때로 부동산은 친지들의 사회적 지위를 달리 보이게도 합니다. 서울 강남의 고급 아파트와 강북 지역의 저가 주택 전세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경계선이 존재하기도 하니까요. 어찌 보면 주택담보대출로 가득 채워진 ‘빛 좋은 개살구’일 수도 있을 텐데 정말 ‘부동산이 뭐길래’입니다. 신한은행의 ‘보통 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2022’를 보면 보통 사람의 자산은 대부분 부동산에 쏠려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구 내 평균 보유 자산이 2021년에 5억1792만 원으로 5억 원을 돌파한 가운데 총자산 내 부동산 비중은 2021년 79.9%를 차지했습니다. ‘나이가 들면 가진 건 집 밖에 없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었던 거죠. 또 보고서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년간 부채상환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출 상품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월세 자금 대출로 총부채상환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위 부자들의 상황은 조금 다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비슷하지만 다르다’입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올해 4월 발표한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를 보면 국내 슈퍼리치 인당 평균 총자산은 323억 원이었으며, 부동산과 금융 자산 비중은 각각 156억 원, 161억 원으로 5대5에 가까웠습니다. 자산가들의 경우 부동산 쏠림현상이 ‘보통 사람’과는 달랐던 겁니다. 부동산 자산의 상승은 보통 사람들을 더 씁쓸하게 만들었습니다.

    2023.09.26 09:24:36

    [에디터 노트]부동산이 뭐길래
  • [big story]부자들이 몰리는 투자처는 어디?

    부자들의 습관과 소비, 인맥 등 부자와 관련된 키워드는 항상 사람들의 이목을 끈다. 양극화 현상과 함께 중산층이 몰락하며 ‘벼락거지’라는 신조어까지 나온 마당에 부자의 길은 아득하기만 하다. 혼란이 가중된 투자 시장에서 부자들은 어떤 투자로 돌파구를 찾고 있을까.“현재 시장은 블랙 스완일까, 회색 코뿔소일까.” 난센스 퀴즈 같지만 쉽게 답하기 어렵다. 즉, 앞으로 어떤 시장이 펼쳐질지 제대로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방증한다. 따라서 현재 투자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하는 것은 더욱 어렵기만 하다. 전문가들도 명쾌하게 답을 주지 못하는 투자 시장에서 과연 부자들은 어떤 투자를 하고 있을까.자산가들의 투자법, 무엇이 다를까유동성이 줄어드는 신호탄일까. 곳곳에서 돈줄을 조이는 신호가 깜빡인다. 올 연말 미국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예고와 함께 한국은행이 글로벌 주요 국가 가운데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며 긴축 시계의 첫 테이프를 끊었다.금융당국에서는 사상 최대로 늘어난 가계 빚 조이기에 돌입했고, 통화당국도 금리 인상을 하며 시중에 풀린 유동성 줄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유동성이 줄면 직격탄을 맞는 것은 바로 투자 시장이다. 녹록지 않은 투자 시장이 펼쳐지면서 내 돈을 굴릴 곳이 마땅치 않다. 답답한 시장에서 자연히 부자들의 투자법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부자들의 투자 현황을 살펴보기에 앞서 부자의 기준은 무엇일까.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올해 발표한 ‘2021 한국 부자 보고서(Korean Wealth Report)’(이하 부자보고서)에서는 금융 자산 규모 10억 원 이상 보유한 자를 부자로 정의했지만, 부자들이 생

    2021.09.30 09:00:04

    [big story]부자들이 몰리는 투자처는 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