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업방해는 기본, 교사에 성희롱, 욕설, 구타까지···나락으로 떨어진 교권, 이대로 괜찮나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이아연 대학생 기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수업이 이뤄진 기간 동안 ‘원격수업 중인 교사의 얼굴을 캡처해 교사 이모티콘을 만들어 유포하고 욕설하는 사례’, ‘성희롱 채팅’, ‘외모 품평’ 등 온라인상 교권 침해는 계속해서 발생했다.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학생에 의한 교권 침해 내용으로 음식 섭취, 부적절한 복장, 수업과 관련 없는 화면이나 글 공유 등 ‘수업 방해’가 72.0%로 가장 많았고, ‘수업 지시 불이행’도 61.8%로 높게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다. 원격 수업으로 인해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의 개입에 의한 교권 침해도 심각해졌다.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는 교사 10명 중 4명이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간섭’(55.3%)과 ‘다른 교사 수업 활동과 비교하는 민원’(54.1%)이 주를 이루었다.  초등학교 교권 침해, 중·고등학교보다 더 심각학생들이 학교에서 교사한테 꾸지람을 들었을 때 학부모들의 입장에선 아동학대라 생각해 고소나 민원을 제기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법적 대응뿐 아니라 학교를 찾아와 폭언·협박 심지어 교사에게 상해를 입히는 일도 빈번해지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교권 침해는 부모들과의 소통 문제에서 많이 발생해요. 학생들이 아직 어리다 보니 학생과의 일도 학부모들과 상의해야 하고 학부모들은 집에서 학생 말만 들으니까… 부딪히지 않으려면 학생들에게 최대한 좋은 말만 해야 해요.”강릉의 한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던 ㄱ씨(61)는 4년 전 명예퇴직을 결심했다. 아이들 그리고 학부모와의

    2022.11.07 16:46:04

    수업방해는 기본, 교사에 성희롱, 욕설, 구타까지···나락으로 떨어진 교권, 이대로 괜찮나
  • 어렵고 지루한 수업, 감성 AI는 학생 얼굴만 보면 알아요

    [HELLO AI] 인공지능 따라잡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존 학교 수업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대체돼 진행되고 있다. 전염병 전이 위험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온라인 수업은 대면 수업과 비교해 교사와 학생 간의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어렵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대면 수업의 경우 교사는 학생의 신체 언어와 표정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학생이 지루해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거나 산만해지는 ...

    2021.03.11 08:41:01

    어렵고 지루한 수업, 감성 AI는 학생 얼굴만 보면 알아요
  • 비대면 대학 수업 장기화에…복지 사각지대 놓인 경증 장애대학생들

    △표 씨가 수업자료를 보며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있다. [한경잡앤조이=장예림 인턴기자] “학생복지팀에서 제공하는 장애학생 맞춤 지원은 원한다고 다 받을 수 없어요. 선발돼야 받을 수 있죠.” 코로나19가 1년 가까이 장기화되면서 대학 수업이 전면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전환됐지만 경증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대학 차원의 보조 지원은 제자리 걸음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학교가 정해놓은 장애 지원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동영상...

    2021.02.01 09:23:39

    비대면 대학 수업 장기화에…복지 사각지대 놓인 경증 장애대학생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