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출발선에 선 K스페이스”…ADEX에 집결한 국내 우주 기술

    [스페셜 리포트]우주 개발 대항해 시대10월 19일, 차를 몰고 도착한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 이날 이곳에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전시회 2021(ADEX·아덱스)’을 보기 위해 모인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뤘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백신 접종 완료 후 14일이 지나거나 72시간 내 PCR 음성 확인서가 있어야만 입장할 수 있었는데도 주차장이 부족해 어쩔 수 없이 많은 이들이 인근 ‘갓길’에 차를 세워야만 했다.개막일인 10월 19일부터 22일까지 산·학·연·군 등 관련 분야 종사자만 전시회에 참석할 수 있었는데도 피부로 느낀 참가 인원은 2019년보다 많았다. 누리호 발사를 앞두고 기존 방위 산업보다 ‘K스페이스’에 대한 기대감과 희망에 예상을 넘어선 인원이 참석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주최 측은 설명했다.2년 전 관람했던 아덱스는 방위 산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올해는 달랐다. 누리호 발사를 며칠 앞두고 방위·우주 산업의 비율이 ‘6 대 4’에 가까웠다. 한국 방위 산업의 주축인 한화그룹과 한국항공우주(KAI)·LIG넥스원 등은 부스에 방산 제품 및 기술 등과 함께 각 기업이 달려온 우주 산업의 현주소를 알리는 데 주력했다.누리호의 심장 ‘액체 엔진’ 실물 전시한국 우주 산업의 방향키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한화그룹의 부스부터 찾았다. (주)한화·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한화디펜스 등이 전시회에 참가해 ‘스페이스허브’라는 우주 관련 부스를 꾸렸다.이곳에는 곧 발사될 누리호에 장착된 것과 동일한 제품인 75톤 액체 로켓 엔진이 전시돼 있다. 실제

    2021.10.25 06:01:34

    “출발선에 선 K스페이스”…ADEX에 집결한 국내 우주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