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대백화점, 인적분할 안 한다…주주 설득 실패로 끝난 '지주사 전환'

    현대백화점그룹이 지난해부터 진행해온 현대백화점의 지주사 전환 계획이 무산됐다. 지난해 9월 인적분할 계획을 발표한 이후 그룹의 알짜인 '한무쇼핑'이 지배주주를 위한 기업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계속됐는데, 현대백화점이 주주들을 제대로 설득하지 못하면서 실패로 끝났다. 국민연금이 반대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다만, 현대그린푸드 임시 주총에서는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이 가결돼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계속해 추진한다. 현대백화점그룹은 분할을 통해 두개의 지주회사 체제를 수립하는 것이 목표였다.인적분할, 현대백화점은 '부결' 현대그린푸드는 '가결'10일 현대백화점은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을 다뤘으나 최종 부결됐다. 의결권 있는 전체 주식 가운데 1578만7252주가 참석했는데, 이 가운데  524만4266주(35.1%)가 반대했다. 1024만2986주(64.9%)는 찬성했지만, 안건이 통과되기 위한 기준(참석자 3분의 2 찬성)에 도달하지 못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공식 입장자료를 내고 "현대백화점의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이 최종 부결됐다"라며 "백화점업 성장성 한계를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하려고 했다. 이에 지배구조 개편과 더불어 지난달 31일 분할 이후 자사주 소각 및 확대된 배당 정책을 포함한 주주환원정책 추진 계획을 공시하기도 했다"고 운을 뗐다.이어 "그러나 일부 시장과 주주분들의 비판적 의견이 있었고, 결과적으로 인적분할 의안은 주총 특별결의 정족수에 미달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이번 임시 주총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며, 그간 추

    2023.02.10 17:56:38

    현대백화점, 인적분할 안 한다…주주 설득 실패로 끝난 '지주사 전환'
  • 동국제강, 지주사 세우고 철강부문 쪼갠다

    동국제강이 철강 부문을 열연 사업과 냉연 사업으로 인적 분할했다. 8년에 걸친 사업구조 개편 작업을 마무리했다.동국제강은 12월 9일 이사회를 열어 인적 분할을 통해 철강 사업을 열연 사업 신설법인 '동국제강'(가칭)과 냉연 사업 신설법인 '동국씨엠'(가칭)으로 분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분할 비율은 동국홀딩스(가칭) 16.7%, 동국제강(가칭) 52.0%, 동국씨엠(가칭) 31.3%다.이에 따라 이사회 결의일 기준 존속회사 동국홀딩스(가칭)는 자산 5997억원(부채 비율 18.8%)의 회사가 된다. 신설 동국제강(가칭)은 자산 3조 4968억원(부채 비율 119.0%)이고, 동국씨엠(가칭)은 1조7677억원(부채 비율 83.7%)의 자산 규모로 분할된다.존속 법인 ‘동국홀딩스(가칭)’는 그룹의 전략적 컨트롤타워로 장기적 관점의 성장 동력 발굴 및 전략적 투자에 역량을 집중한다. 전략·재무·인사 등 조직으로 신사업 발굴과 경영 효율화를 추진하고 지배구조와 경영 투명성을 높여 주주가치 향상을 추구한다.동국홀딩스는 지배구조의 선진화를 추구하고, 경영 투명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등 그룹 전체의 ESG경영을 강화해 주주 가치를 높이는데에도 집중한다. 동국홀딩스는 분할 완료 이후 공개매수 방식의 현물출자 유상증자를 통해 지주사로 전환할 방침이다.신설법인 ‘동국제강(가칭)’은 전기로 제강 사업과 봉강(철근)·형강·후판 등 열연 분야 철강 사업을 영위할 예정이다. 현재 동국제강의 인천·포항·당진·신평 공장 등이 해당된다.특히 고로 제철 사업 대안으로 떠오른 철스크랩 재활용 전기로 제강 사업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한다. 동국제강은 국내 최고 경쟁

    2022.12.11 06:05:01

    동국제강, 지주사 세우고 철강부문 쪼갠다
  • 현대백화점, '지주사' 체제로 전환…인적분할 진행

    현대백화점그룹이 선진화된 지배구조를 확립하기 위해 인적분할을 실시한다. ◆ 현대백화점·현대그린푸드, 인적분할로 나뉜다16일 현대백화점그룹은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가 각각 투자부문(지주회사)과 사업부문(사업회사)으로 분할한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향후 각사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다.이날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는 각각 이사회를 열어 인적분할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 인적 분할은 기존 주주가 지분율대로 신설 법인의 주식을 나눠 갖는 것으로, 기존 법인이 신설 법인의 주식을 소유하는 물적 분할과 대비된다. 인적 분할은 각 사업 부문의 가치를 부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두 회사의 분할은 내년 2월로 예정된 임시주주총회를 거친 뒤, 내년 3월 1일자로 최종 확정된다.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는 각 주력 사업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추진하고, 교환공개매수를 통한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주식을 매수하는 대가로 현금이 아닌 자사 신주를 발행)를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한다. 주력 사업회사의 자회사 편입을 통해 향후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백화점그룹 측은 "지주회사 전환 과정은 모든 주주의 이익이 일체 침해되지 않고, 증대될 수 있도록 진행될 예정"이라며 "특히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모든 주주를 대상으로 공정한 기회를 제공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선택권을 보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향후 계열 분리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현대백화점그룹 관계자는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는 그룹의 핵심 계열사로서 과거에도 실질적인 지주회사 역할을 해왔으며, 이번

    2022.09.16 17:05:10

    현대백화점, '지주사' 체제로 전환…인적분할 진행
  • 인적분할로 쪼개진 ‘SKT·SK스퀘어’…통신·투자사 양 날개로 비상

    SK텔레콤이 1일 통신 사업을 하는 ‘SK텔레콤’과 반도체 및 정보통신기술(ICT) 투자를 전담하는 ‘SK스퀘어’로 분할해 출범하며 2개 회사 체제로 날갯짓을 시작했다.SK텔레콤이 이날 이사회를 열고 ‘SKT 2.0’ 시대를 이끌어 갈 새로운 수장으로 유영상 MNO(이동통신사업) 대표를 선임했다고 공식 발표했다.유영상 대표이사 사장(CEO)은 2000년 SK텔레콤 입사 이후 SK텔레콤과 SK C&C에서 신사업 투자 및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을 전담해왔다.특히 2012년 SK하이닉스 인수 실무를 총괄하는 등 SK그룹 내 신사업 발굴 및 인수·합병(M&A) 전문가로 성장해왔다.2019년부터는 SKT MNO 사업대표로서 인공지능(AI)·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유무선 통신 리더십을 확고히 하고, 구독·메타버스 서비스 등 신성장 사업 발굴을 주도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SKT 2.0 시대를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아왔다.신임 CEO와 함께 새롭게 출범하는 SK텔레콤은 안정적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AI·디지털 등 신성장 동력을 강화해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1등 ‘AI & 디지털 인프라 서비스 컴퍼니’로 진화할 예정이다.유 사장은 “새롭게 탄생한 SKT는 안정적인 ICT 기술과 서비스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고객에게 신뢰와 사랑을 받는 기업으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며 “고객과 기술, 서비스를 중심으로 명실상부 대한민국 1등 서비스 컴퍼니다운 자부심을 지켜갈 것”이라고 밝혔다.SK텔레콤은 이날 통신사업을 하는 SK텔레콤과 반도체 및 ICT 투자를 담당하는 SK스퀘어로 분할해 새롭게 출범했다. 신설법인인 SK스퀘어의 CEO로는 박정호 현 SK텔레콤 대표이

    2021.11.02 06:00:58

    인적분할로 쪼개진 ‘SKT·SK스퀘어’…통신·투자사 양 날개로 비상
  • 통신·투자 부문 분할…'뉴ICT' 청사진 펼친다[CEO 24시]

    [CEO 24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SK텔레콤이 설립 37년 만에 통신회사와 반도체를 축으로 하는 기업 분할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지배 구조 개편안에서 인적 분할을 통해 SK브로드밴드 등 유무선 통신회사인 ‘AI&디지털 인프라 컴퍼니(존속 회사)’와 SK하이닉스·ADT캡스·11번가·티맵모빌리티 등 ‘정보통신기술(ICT) 투자 전문 회사(신설 회사)’...

    2021.04.19 07:47:42

    통신·투자 부문 분할…'뉴ICT' 청사진 펼친다[CEO 24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