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또 하나의 팬데믹, 비만…괴담과 통계 사이[몸의 정치경제학]

    건강염려증 3코로나19의 공포에서 서서히 멀어지고 있다. 팬데믹(세계적 유행)의 정점에서는 별별 ‘카더라’와 신화들이 난무했다. 동물의 기생충 약으로 쓰이는 이버멕틴(ivermectin)이 코로나19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설(說)부터 아연·비타민D·소금물심지어 표백제가 코로나19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주장까지, 오만 억측이 코로나19 만큼이나 창궐했다. 공포는 괴담의 산실. 진(眞)과 위(僞), 이성과 미신, 정보와 유언비어 사이의 벽을 가볍게 허문다.그래서 코로나19와 비만의 상관관계를 접했을 때 또 다른 낭설이겠거니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비만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2~3배로 늘어난다(CNN, 2021년)”, “백신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가디언, 2021년)”, “증상이 더 심각해지고 사망률도 높아진다(CDC, 2021년)”는 경고의 강도는 점점 높아만 갔다. 여기에 가세한 것은 팬데믹 기간 중 재택근무, 외부 활동 위축, 배달 음식 급증으로 과체중과 비만이 세계적으로 늘었다는 외신 기사들이었다.이들 뉴스의 공통점은 비만이야말로 코로나19 사태보다 더 본원적인 의료 재앙이라는 긴장된 어조였다. 정말 그럴까. 평소 비만에 대한 경고를 신체 강박증의 부산물쯤으로 여긴 것이 거대한 오판이었다는 말일까. 비만이든 하위급인 과체중이든 신체 투입 열량과 발산 열량 차이에서 발생하는 칼로리 ‘흑자’ 정도로 여겨서는 큰 봉변이라도 겪게 되는 것일까. 우량과 비만 사이사실 비만이란 용어에 긴장감이 응축된 것도 그리 오래전 일은 아니다. 요즘 기준상 비만으로 인식되는 체형 소지자를 대할 때 이전에는 ”건강해 보인다”, “후덕해 보인다&rdquo

    2023.02.13 14:16:05

    또 하나의 팬데믹, 비만…괴담과 통계 사이[몸의 정치경제학]
  • 보디 체킹(body checking)과 신체 정보의 늪[몸의 정치경제학]

    건강 염려증 1 당신은 하루에 몇 번이나 몸을 측정하나. 주로 몸의 어느 부위, 무엇을 측정하나. 연령별·성별·신체 조건별 차이는 있겠지만 몸무게, 얼굴 상태, 허리 치수, 뱃살, 걸음 수, 열량 섭취량·소모량, 혈압, 당 수치, 배변 상태 등이 주된 관심과 측정 대상 아닐까 한다. 신체 측정은 크게 감각적 방법과 수리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감각적 측정은 눈으로 보거나 손으로 만져보는 등의 대략적 인지 방법이다. 얼굴이나 피부 상태, 흰머리의 증가 여부, 뱃살 두께 확인을 떠올리면 된다. 반면 수리적 측정은 각종 기계 혹은 전자 장비를 활용한 과학적 신체 정보 습득이다. 체중계, 스마트 워치, 인바디 활용 등이 대표적이다. 감각적이든 수리적이든 자신의 몸 상태를 강박적으로 측정하는 행위를 일컬어 보디 체킹(body checking)이라고 부른다. 강박적 보디 체킹은 단순히 자기 몸의 측정과 정보 습득에 그치지 않고 그에 따른 정서적 반응(건강 염려증, 열등감, 자기혐오 등)과 물리적 대응(금식, 영양 보조제 과다 섭취, 무리한 운동 등)으로 연동되는 심리 현상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래서 현대 사회에서 보디 체킹은 병리적 이슈로 다뤄진다. 참고로 보디 체킹은 아이스 하키나 여타 운동 경기에서 상대 선수의 신체를 견제하는 보디 체크(body check)와 무관하니 혼동하지 말자.   이러한 보디 체킹이 만연하게 된 이유는 복합적이다. 첫째, 기술 인프라 측면에서 신체 측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료·광학·전자 기기의 발달을 꼽을 수 있다. 둘째, 경제적 요인으로는 서비스 산업의 팽창에 따라 몸과 외모의 부가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셋째, 사회적으

    2023.01.25 09:46:55

    보디 체킹(body checking)과 신체 정보의 늪[몸의 정치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