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 갑질’ 6년 소송 끝…퀄컴 1조원 과징금 확정 [김진성의 판례 읽기]
[법알못 판례 읽기]글로벌 ‘특허 공룡’ 퀄컴과 공정거래위원회가 6년 2개월간 벌인 소송전에서 공정위가 최종 승소했다.대법원의 최종 판결로 공정위가 단일 사건 기준 사상 최대 규모로 부과한 과징금 1조311억원도 그대로 확정됐다.기술 전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글로벌 기술 기업이 표준 필수 특허(SEP)를 악용해 ‘갑질’한 행위에 철퇴가 내려졌다는 평가다. 6년간 분쟁 끝에 공정위 ‘완승’대법원 3부(주심 노정희 대법관)는 2023년 4월 13일 퀄컴이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 및 시정 명령에 불복해 제기한 소송에서 공정위 측의 손을 들어준 원심을 확정했다.이번 판결로 퀄컴이 내야 할 과징금은 2016년 말 공정위가 부과한 1조311억원으로 확정됐다. 공정위가 지금까지 기업에 부과한 과징금 중 최대 규모다.대법원은 “퀄컴은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해 경쟁 모뎀 칩셋 제조사에 자사 특허권을 사용하지 못하게 했고 모뎀 칩셋을 필요로 하는 휴대전화 제조사에는 자사 계열사의 다른 특허권을 연계해 판매하려고 했다”며 “경쟁 모뎀 칩셋과 휴대전화 제조사의 사업 활동을 어렵게 함으로써 시장 지배력을 유지, 강화했다”고 판단했다.글로벌 반도체·통신 장비 업체 퀄컴의 본사인 퀄컴인코퍼레이티드는 이동통신용 모뎀 칩셋에 필수적인 SEP를 바탕으로 이 특허 기술의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사용료를 받는 특허권 사업을 하고 있다.계열사인 퀄컴테크놀로지인코퍼레이티드와 퀄컴CDMA테크놀로지아시아퍼시픽은 이동통신용 모뎀 칩셋을 제조하고 있다. 퀄컴은 2022년 3분기 기준 글로벌 통신 칩 시장점유율이 62.3%에 달하는 절대 강자다.공정위는 2016
2023.04.25 17:00:02
-
[돈 되는 해외 주식]흔들리는 글로벌 증시, 그래도 멀리보면 AMD·퀄컴
[돈 되는 해외 주식]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미국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공격적 금리 인상은 미래의 기대 현금 흐름이 상대적으로 큰 성장주, 특히 반도체 업종 등의 주가를 낮추고 있다, 경기 둔화 우려와 공급 부족 리스크 역시 높아지고 있다.해외 매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미국 반도체·장비 기업들은 통화 긴축에 따른 달러 강세로 이익 전망치가 낮아질 수 있다.연초 대비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주가수익률(PER)은 6월 13일 기준 마이너스 32%로 시장 평균 수익률을 11%포인트 밑돌고 있다. 주가 하방 위험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1분기 실적으로 반도체 수요가 견고함을 확인했다. 또 지속적인 주가 하락으로 상대 가치는 저평가돼 있다.대형 성장주의 이익 수준은 견고한 편이다. 첫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기업의 77%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이익 성장률은 전년 대비 9.2%로 2020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지만 성장은 이어 가고 있다.둘째, 자사주 매입도 주당순이익(EPS)을 지지하고 있다. 1분기 S&P500 기업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2863억 달러로 전체 순이익의 69%를 차지한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64% 증가했다. 그 결과 대형 성장주의 12개월 선행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0% 수준을 유지하면서 S&P500 평균 수준인 21%를 웃돌고 있다.성장이 강했던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 프리미엄도 걷혀졌다. 반도체 산업의 12개월 선행 주가순자산배율(PBR)도 고점이었던 2021년 3월 6.6배에서 4.1배로 하락했다.반면 12개월 선행 ROE는 27% 수준으로 시장보다 높은 이익률을 유지하고 있어 자본 대비 주가보다 이익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향후 3년
2022.06.23 06:00:04
-
5년 동안 갇혔던 동굴에서 탈출하는 퀄컴
[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바야흐로 해외 주식의 시대다. 반도체 업종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러한 흐름에 소외되지 않기 위해서는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에서 주도주인 종목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내년에는 퀄컴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의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엔비디아의 시가 총액이 지난 5년 동안 14배나 오를 때 퀄컴은 어둡고 깊은 동굴 속에 있었다. 매출이 유의미하게 성장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2014년 264억 달러였던 퀄컴의 매출은 2018년까지 줄곧 내림세였다. 2019년과 2020년 바닥 수준을 벗어나긴 했지만 그래도 264억 달러를 회복하지 못했다.이러한 와중에 퀄컴이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했는데, 2019년 열린 이 행사에서 애널리스트들을 비롯한 주식 시장 참여자들의 반응은 긍정적이지 않았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뿐만 아니라 차량용 반도체와 사물인터넷용 제품 솔루션에서 실적 성장을 추진할 것이라는 발표였지만 통신 기술에서 5세대 이동통신(5G)이 도입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낮아 보였다.하지만 올해 하반기에 들어서며 시장의 의심이 놀라움과 기대로 바뀌었다. 지난 11월 초 퀄컴의 주가는 분기 실적 발표 다음 날 전일 대비 12.73% 상승했다. 퀄컴의 매출 가이던스는 예상을 웃돌았고 휴대전화 분야의 전통적 주력 사업 외에 차량용·사물인터넷용 매출이 탄탄해 전사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퀄컴의 실적 발표 내용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전통적인 주력 사업이 아닌 곳에서 유의미한 규모의 매출이 발생해 2019년 제시했던 로드맵이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다는 점이었다.퀄컴의 반
2021.12.06 07:0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