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미래기술교육硏, 전기차 폐배터리 관련 신규 사업 발굴 및 시장 선점 방안을 위한 세미나 개최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11월 1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파이어홀에서 '전기차 폐배터리 관련 신규 사업 발굴 및 시장 선점 방안 -  Recycling / Reuse' 세미나를 온, 오프라인으로 병행해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최근 각국의 환경 규제나 자동차 회사들의 친환경차 비중 확대 계획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폐배터리 자원순환 시장이 '新 광맥'으로 조명을 받고 있다. 이러한 폐배터리 자원순환 시장은 크게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물질 재활용(Recycling}과 배터리를 모듈이나 팩 단위로 재사용하는 재사용(Reuse)시장으로 구분된다. 폐배터리 재활용은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전지 가격의 40% 비중을 차지하는 양극활물질에 포함된 코발트, 니켈, 리튬, 구리 등을 습식제련, 황산 용해 등을 거쳐 추출해 사용하는 사업으로써 잔존가치가 없는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환경오염을 줄이면서도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희토류 금속의 재활용이 가능하다.재사용 역시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로써 전기차에 사용된 배터리를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전동킥보드, 캠핑용 전지 등으로 재사용을 하는 방식으로, 이미 국내에서도 폐배터리를 활용한 ESS를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접목한 실증사업이 진행 중이며 렌털방식으로 사업화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리튬이온 배터리 자원순환 시장은 2019년 기준 15억 달러(1조7300억 원)에 불과하지만 2030년에는 181억 달러(21조 원) 시장으로 연평균 8.2% 성장할 전망이며, SNE리서치는 그 규모가 2050년까지 600조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이번 세미나

    2021.09.28 14:17:08

    한국미래기술교육硏, 전기차 폐배터리 관련 신규 사업 발굴 및 시장 선점 방안을 위한 세미나 개최
  • ‘다 쓴 배터리에서 금맥 캔다’ 포스코·두산중공업도 뛰어든 600조원 시장

    [비즈니스 포커스]전기자동차는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지만 핵심 부품인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교체해야만 하는 소모품이다. 수명이 다한 배터리는 리튬과 니켈 등이 포함된 유독 물질로 분류돼 바로 매립할 수도 없다.이처럼 환경 보호를 위해 개발된 전기차에서 나오는 배터리가 친환경적이지 않은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폐배터리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폐배터리 발생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한국의 전기차 보급과 배터리 교체 주기를 고려할 때 폐배터리 배출량이 2024년 연간 1만 대, 2030년에는 약 8만 대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 2차전지는 초기 용량 대비 70% 이하로 감소하면 주행 거리 감소, 충전 속도 저하, 안전성 위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해 교체할 필요가 있다.보통 전기차 1대에 평균 70kWh의 배터리가 탑재되기 때문에 교체되는 배터리는 평균 56kWh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다른 곳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만큼 용량이 남게 되는 것이다. 배터리를 폐기하기보다 가공해 재사용 또는 재활용하는 것이 환경과 경제적인 면에서도 이득이다.  10년 뒤 8만 개 쏟아진다…600조원 폐배터리 시장폐배터리 처리 방법은 차량용으로 더 사용되기 어려운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장치(ESS)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배터리 재사용(re-use)’, 차량 배터리에서 리튬·니켈·코발트 등 고가의 희귀 금속을 추출하는 ‘배터리 재활용(re-cycling)’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배터리를 ESS로 재사용하면 지속적인 충·방전이 가능해 자원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2021.07.05 06:40:01

    ‘다 쓴 배터리에서 금맥 캔다’ 포스코·두산중공업도 뛰어든 600조원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