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사임당이 돌아왔다'···5만원권 회수율 5년 만 ‘최고치’

    코로나19 이후 대면 상거래가 정상화되면서 장롱이나 금고에 숨어있던 5만원짜리 지폐가 돌고 있다. 한국은행은 11일 지난해 중 5만원권 환수율(발행 대비 환수 비율)이 67.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18년의 역대 최고치(67.4%)에 근접했다.5만원권 환수율은 2019년 60.1%에서 2020년 24.2%, 2021년 17.4% 등으로 가파르게 떨어졌다가 2022년 56.5%로 회복된 뒤 지난해 더 올랐다.한은은 화폐 환수 경로의 정상화를 환수율 상승 배경 중 하나로 꼽았다.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 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 유통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현금 수송 회사(CIT) 2개 사의 상거래 기업 화폐 관리 업무 실적이 2019년 5조5천억원에서 2020년 3조원, 2021년 2.7조원 등으로 하락했다가 2022년 5조2천억원으로 회복된 점을 예로 들었다.한은은 또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 증가도 거론했다.예비용이나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 수요가 줄면서 코로나19 기간 중 대규모로 순 발행한 자금이 환수됐다는 설명이다.한은은 비현금 지급수단 확산 추세, 5만원권 유통 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향후 환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 최초 발행됐으며, 유통 수명을 15년 내외다. 조만간 수명을 다한 손상권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다.한은은 "시장금리의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민간 화폐수요의 급격한 변화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국민의 화폐 사용에 불편함이 없게 하겠다"고 말했다.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4.01.15 08:40:21

    '신사임당이 돌아왔다'···5만원권 회수율 5년 만 ‘최고치’
  • ‘세종대왕’ 밀어낸 ‘신사임당’…축의금·용돈도 5만원권 대세

    [숫자로 본 경제] 축의금과 조의금 등 일상생활의 지급 결제 등에서 5만원권이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화폐 발행 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90%에 육박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전체 화폐 발행 잔액 176조8000억원 가운데 5만원권 지폐는 155조7000억원으로 88.1%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화폐 발행 잔액은 한국은행이 시중에 공급한 화폐에서 환수한 돈을 제외하고 시중에 남은 금액을 뜻한다. 5만원권 비율은 첫 발행 당시에는 7.7%에 그쳤지만 경제 규모 확대, 물가 상승 등으로 고액권 수요가 늘면서 빠르게 확산됐다. 2011년 8월 50% 선에 올라섰고 점차 늘어 2017년 11월 80%를 돌파했고 2021년 6월 85%를 넘어섰다. 반면 올해 8월 말 기준 1만원권 비율은 10% 아래로 떨어졌고 5000원권과 1000원권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5만원권의 발행 잔액 비율이 90%에 육박하지만 한국은행에 돌아오는 비율은 절반에 그쳤다. 5만원권 발행 이후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40∼60% 수준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기간인 2020년 24.2%, 2021년 17.4%까지 떨어졌다. 화폐 환수율이 낮다는 것은 화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지 못하고 가계·기업·금융회사 등 경제 주체들이 거래나 예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거래가 줄어들고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비상용 현금으로 고액권인 5만원을 쌓아 두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100대 기업, 상반기 경영실적 미국보다 영업익 63.4%↓ 한국 100대 기업의 올해 상반기 경영 실적이 미국 100대 기업과 비교해 매우 저조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한국·미국의 시가

    2023.10.08 07:04:01

    ‘세종대왕’ 밀어낸 ‘신사임당’…축의금·용돈도 5만원권 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