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소환원제철 상업화 시기, 2035년으로 앞당겨야"

    정부의 철강부문 수소환원제철 상업화 시기를 2035년으로 앞당기고, 2035년 이전에도 기존 생산설비에 저탄소 공정을 도입하자는 제언이 나왔다. 허민호 넥스트 수석연구위원은 지난 13일 한국투자증권과 넥스트가 공동 주최한 2023 ESG 포럼의 '한국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전략 및 로드맵' 발표에서 이 같이 말하고 저탄소 및 탄소중립 철강 공정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탄소 감축비용과 탄소배출권 가격 차이만큼을 제품 가격에 전가하거나 정부의 지원금을 통해 충당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연구위원은 "2021년 정부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하면서 철강부문의 직접 배출량을 2018년 1억1200만톤에서 2050년 460만톤으로 95% 감축하겠다고 밝혔다"라며 "시기별 구체적인 전략은 부족하며, 감축경로를 그려보면 후반부에 감축이 집중되고 있어 파리협정 목표(1.5도)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제안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우선 허 연구원은 1.5도 경로에 근접하기 위해 △고로와 전로의 수명을 50년 내외로 명확히 하고 △철스크랩보다 수소기반 직접환원철(DRI), 용선을 이용하는 등 경직된 철강 생산공정을 유연하게 전환해야 하고 △2035년 이후 수소환원제철을 상업화하고 △2035년 이후에도 수명이 20년 이상 남는 고로-전로는 CCS를 적용하고, 가열료 원료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로 점진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소싱 전략 측면에서 원재료 및 연료공급망 재편을 검토, 2030년까지 그린수소 DRI 비중을 47%로 늘리고, 2050년에는 85%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권고했다. 허 연구원은 "어떤 공정을 택하든 탄소1t을 줄이기 위해 최소 백수십달러 이상

    2023.04.14 18:5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