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직장 만족도 높을수록 출산 의향 높아….”저출산 해결에 기업 역할 중요”

    우리나라의 지난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치인 24만 9000명을 기록했다. 올해 출생아 수는 이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48만 5000명 수준이던 출생아 수는 10년 사이 반토막이 됐다.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저출산 현상의 중심에는 결혼 적령기인 2030세대 청년들이 있다. 정부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지난 17년(2006~2022년) 간 332조 원을 쏟아 부었다. 하지만 청년들은 결혼에서 출산으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생애주기 모델을 더 이상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하 한미연)(이사장 정운찬) 원장은 “저출산 현상을 청년들의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며 “오히려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고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불안과 좌절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출산 현상은 청년세대가 자초한 ‘문제’가 아니라 청년세대에게 나타난 ‘결과’라는 것이다. 한미연은 결혼·출산에 대한 2030세대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전문 리서치업체 엠브레인(대표 최인수)과 함께 올해 심층조사를 실시한 후 7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5~59세 남녀 2,300명을 대상으로 정량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신뢰도 향상을 위해 결혼·출산의향 및 성별을 기준으로 6개 그룹의 표적집단을 구성한 후 사전 심층면접(Focus Group Discussion)을 통해 설문 문항을 도출했으며 다시 이를 여러 차례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번 조사는 결혼과 출산에 대해 2030 세대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줬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의미 있는 결과 들을 자세히 살펴봤다. 2030 출산에 가장 큰 영향 ‘경력단절’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특히 2030대 여성의 경우, 출산 후 다시

    2023.08.12 15:56:34

    직장 만족도 높을수록 출산 의향 높아….”저출산 해결에 기업 역할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