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해외 음원 유통계약 체결 시 고려해야 할 사항[문진구의 지식재산권 산책]

    [지식재산권 산책]K팝은 지역으로 한정된 음악 장르에서 벗어나 전 세계에서 큰 호응을 얻는 하나의 음악 장르가 됐다. 국내에서 투자, 제작, 유통이 이뤄지고 그다음 단계로 해외시장의 문을 두드리던 시대는 저물고 있다.처음부터 해외 유통사의 투자로 음반과 음원이 제작되고 그 해외 유통사가 독점적인 유통 권한을 가지는 일이 일반화되고 있다.유통사와 제작사가 체결하는 계약은 투자와 유통이라는 두 개의 큰 축으로 구성된다. 유통사는 ‘선급금’이라는 이름으로 제작사에 음원 제작에 소요될 비용을 투자하고, 그 대가로 특정 아티스트의 음반 및 음원에 대한 독점적인 유통 권한을 가진다.유통사는 음반 및 음원의 매출액에서 유통 수수료 및 비용을 제한 금액을 제작사에 지급하게 되는데, 이 금액을 선급금에서 차감하며, 모두 차감이 된 이후부터 정산금을 지급한다.즉 선급금은 엄밀히 말해 투자라기보다는 금전의 대여라고 볼 수 있다. 이런 기본 구조는 국내 유통사와의 계약이든 해외 유통사와의 계약이든 모두 동일한데, 해외 유통사와의 계약에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해외 유통사는 원칙적으로 전 세계의 모든 유통 경로에서 음반 및 음원을 유통할 권한을 갖길 원한다.그런데 제작사가 기존에 국내 유통사와 체결한 계약이나 국내 음악 스트리밍 업체와 체결한 계약 등으로 인해 특정 유통 경로에 대해서는 해외 유통사에 유통 권한을 부여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작사 입장에서는 기존 계약의 내용을 잘 살펴서 유통 권한에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요즘은 인스타그램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유튜브에서

    2024.04.27 08:55:19

    해외 음원 유통계약 체결 시 고려해야 할 사항[문진구의 지식재산권 산책]
  • ‘탑100보다 내 취향이 먼저’ 무너진 멜론 천하

    [비즈니스 포커스]오랜 기간 멜론은 한국 음원 시장에서 절대 강자였다. 하지만 수많은 경쟁자의 출현으로 멜론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한국 음원 시장의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했던 위세는 위축되고 있다.많은 경쟁자 가운데 2016년 한국에서 공식 서비스를 시작한 ‘유튜브 뮤직’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 10월에는 유튜브 뮤직의 사용자 수가 멜론을 앞질렀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유튜브 영향력 앞세운 유튜브 뮤직애플리케이션(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올해 10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을 조사한 결과 1위는 459만 명의 유튜브 뮤직이었다. 뒤를 이어 멜론 454만 명, 지니뮤직 232만 명, 플로 149만 명, 네이버 바이브 106만 명, 스포티파이 54만 명, 카카오뮤직 36만 명, 벅스 32만 명 순이다. 그간 유튜브 뮤직은 빠른 속도로 사용자를 흡수하며 멜론과의 격차를 줄여 왔다. 이에 따라 역전은 ‘시간문제’라는 예측도 나왔다.  사실 음원 사이트의 정확한 점유율은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다.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음원 사이트를 사용하는지 구분하는 기준도 모호하다.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를 집계하는 곳도 있지만 보다 정확한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료 가입자 수를 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할 수 없는 것은 멜론의 하향세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와 비교해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플랫폼은 멜론이었다. 멜론은 전년 동기 506만 명에서 454만 명으로 52만 명 감소했다. 그다음으로 사용자 수가 많이 감소한 앱은 지니뮤직으로 34

    2022.12.01 06:00:01

    ‘탑100보다 내 취향이 먼저’ 무너진 멜론 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