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고를 잘하고 싶으면 4단계 프로세스를 기억하라[김한솔의 경영 전략]

    [경영 전략]조직에서 일할 때 가장 부담스러운 시간이 언제인지 물으면 많은 구성원들이 ‘보고할 때’라고 말한다. 그럴듯한 결과물이 나왔을 때도 ‘과연 이게 리더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 걱정하기 마련이다. 또 문제가 생겨 보고해야 할 때는 ‘어떤 꾸중을 들으려나’ 걱정되기 때문이다.하지만 달리 생각하면 그 시간은 자신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다. 자신의 업무 성과를 강조할 수도 있고, 어쩔 수 없이 생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해 능력을 인정받는 계기로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구성원들이 고민해야 할 것은 하나다. 부담스러운 보고의 시간을 어떻게 해야 자기 홍보의 시간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다. ‘먹히는 보고’의 방법을 함께 찾아보자. 누구나 다 보고는 두렵다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한 번 생각해 보자. 구성원들은 왜 보고가 두렵고 가끔은 무섭기까지 할까. 여기엔 크게 3가지 이유가 있다(혹시 독자들 중 리더가 있다면 이를 읽고 구성원들의 힘듦을 이해해 주길 부탁드린다).첫째, 자기보다 더 잘 알고 있는 리더를 상대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이다. 영업할 때를 생각해 보자. 자신보다 우리 회사 제품에 대해, 시장 상황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는 고객을 상대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물며 지식은 물론 조직 내 ‘직급’까지 높은 리더에게 무엇인가를 설명한다는 게 얼마나 힘들까.둘째, 결과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다. 보고하면 그게 어떤 내용이든 ‘합시다, 혹은 아닙니다(go or kill)’라는 결과가 나온다. 모든 상황에서 좋은 답변을 받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결국 ‘거절(kill)당함’

    2022.06.07 06:00:01

    보고를 잘하고 싶으면 4단계 프로세스를 기억하라[김한솔의 경영 전략]
  • ‘이직의 시대’…새로운 회사에서 다르게 일하는 법[김한솔의 경영 전략]

    [경영 전략]‘평생직장’이던 시절이 있었다. 신입 사원으로 입사해 차근차근 승진 후 정년까지 한곳에서 일하던 때다. 하지만 이젠 옛말이다. 최근에는 “평생직장은 없다. 최고가 돼 떠나라”는 말을 아예 대놓고 하는 기업도 있다.물론 이 말이 이직을 독려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능력이 있으면 더 나은 조건을 위해 이직하는 게 당연해진 듯하다. 앞으로는 직장을 옮기는 것을 넘어 한 개인이 3개 이상의 ‘직종’을 겪게 될 것이라는 말도 있다. 그만큼 이직은 우리 주변의 현실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직자’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다.신입 사원은 신입이니까, 승진자는 승진 후 달라진 역할을 해야 하니까, 리더가 되면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니까 등의 이유로 많은 관심을 받는데 이직자는 ‘알아서 잘하겠지’라는 생각을 갖는 듯 보인다. 그럴 수 있다. 이미 조직 생활을 해 봤고 업무 능력도 검증됐으니 일‘만’ 하면 되니까.그런데 그게 생각만큼 쉽지 않다. 함께 일해야 하는 동료가 다르고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는 리더가 다르고 하루종일 함께해야 하는 조직 문화가 달라서다. 새로운 회사에서 다르게 일하면서 더 나은 성과를 내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상황이 달라졌으면 자신의 업무 관리도 달라져야 한다. 일 관리 측면에서 이직자가 고민해야 할 것을 알아보자. 조직은 모두 다른 ‘색’을 갖고 있어모든 조직은 제각각의 업무 방식이 있다. 단계를 하나하나 밟고 올라가야 하는 조직이 있는 반면 직급 체계보다 업무의 완결성을 중심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조직도 있다. 되든 안 되는 일단 부딪쳐 보는 조직도 있고 하나하나 검증을 통해

    2022.03.31 17:30:05

    ‘이직의 시대’…새로운 회사에서 다르게 일하는 법[김한솔의 경영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