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대차, 친환경 모빌리티 이어 연료까지 생산…“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스페셜 리포트-새로운 시대 새로운 전략, 트윈 트랜스포메이션] 현대차그룹이 전기·수소차로 대표되는 친환경 모빌리티에 이어 연료 생산에도 나서면서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에 나섰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상반기 중 글로벌 친환경차 누적 판매량 300만 대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되고 있음에도 친환경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며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신차를 출시해 목표를 달성할 방침이다. 세계 최대의 경쟁 시장인 미국에서 2011년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K5 하이브리드를 출시한 지 11년 만인 올해 2월 50만 대 판매를 달성했다. 하이브리드 46만1297대, 전기차 4만6336대, 수소차 966대 등 총 50만8599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했다.현대차그룹은 향후 미국 현지에서 친환경차를 생산해 판매량을 더욱 끌어올릴 방침이다. 2030년까지 현지 시장에서 친환경차 판매 비율을 40~50%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미국 내 충전 인프라 확대에 앞장서고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 공장에서 싼타페 하이브리드 생산을 시작한다.모빌리티와 함께 친환경 연료·엔진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기업 아람코, 킹압둘라과학기술대(KAUST)와 친환경 연료·내연기관 엔진 개발을 위한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의 초희박 연소 엔진 기술과 아람코의 연료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2년간 관련 연구가 진행된다. KAUST는 연구 인력과 시설을 지원해 엔진 시험을 비롯한 모델링·검증으로 시너지를 창출한다.초희박 연소 엔진은 기존 엔진보다 열효율과 소비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

    2022.04.08 06:00:03

    현대차, 친환경 모빌리티 이어 연료까지 생산…“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 [르포] “굿바이 내연, 웰컴 친환경”…전기·수소·자율주행이 차지한 서울 모빌리티쇼

    [르포] 2021 서울 모빌리티 쇼내연차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였다. 2년 만에 찾은 서울모터쇼에서 느낀 첫 감상이다. 전동화·친환경·자율주행 추세에 맞춰 어떠한 브랜드도 내연차를 메인으로 내세우지 않았다. 휘발유·경유 차량의 전유물이던 모터쇼는 행사명마저 모빌리티쇼로 바꿔 자동차업계의 화두인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글로벌 브랜드의 친환경 신차 출시 경쟁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신차는 친환경차였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 내연차량의 소식을 듣기는 어려웠다. 이번 행사에는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등 국내 3개 브랜드와 메르세데스-벤츠·BMW·아우디·포르셰·이스즈·마세라티·미니 등 7곳이 참여했다.이들 기업이 공개한 신차는 세계 최초 1종과 아시아 최초 5종을 포함한 24종이었다. 그중 기아가 공개한 친환경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니로에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졌다. 신형 니로는 이번 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 유일한 차량이다. 1세대 출시 후 5년 만에 선보인 새로운 모델이다.송호성 기아 사장은 “신형 니로에는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본질과 친환경 신기술이 집약돼 동급 최고 수준의 연비를 자랑한다”며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실천 의지가 담긴 기아의 대표 친환경 차량”이라고 강조했다.기아는 신형 니로의 하이브리드·전기차 모델을 동시에 공개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내년 1분기, 전기차 모델은 상반기 중 출시할 계획이다. 차량 천장에 재활용 섬유가 사용됐고 도어 패널에는 수성 친환경 페인트가 쓰이는 듯 다양한 친환경 소재가 사용된 것

    2021.12.06 06:00:08

    [르포] “굿바이 내연, 웰컴 친환경”…전기·수소·자율주행이 차지한 서울 모빌리티쇼
  • 포스코, 1조원 들여 친환경차 모터용 전기 강판 공장 건설

    포스코가 친환경차에 사용되는 구동 모터용 무방향성 전기 강판 생산 공장을 짓는다.구동 모터용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구동 모터의 효율을 높여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도록 전력 손실을 대폭 개선한 강판 제품을 뜻한다.포스코는 지난 5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정기 이사회에서 친환경차 수요 대응과 시장 선점을 위해 내년부터 약 1조원을 순차적으로 투자해 연간 생산량 30만 톤 규모의 공장을 신설하는 안건을 의결했다.포스코는 연산 10만 톤의 구동 모터용 무방향성 전기 강판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설비 투자를 통해 2025년까지 연간 생산량을 4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포스코는 공장 신설로 기존 대비 폭이 넓은 제품은 물론 두께 0.3㎜이하의 고효율 제품과 다양한 코팅 특성을 가진 제품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고객사의 여러 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회적 온실가스도 연간 약 84만 톤 감축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포스코의 설명이다.최근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차의 점유 비중이 올해 12%에서 2030년 43%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내연 기관에서 친환경차로 산업 구조 재편이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의 주행 거리 향상이 업계의 핵심 이슈가 되면서 전기차 구동계 부품 효율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고효율 전기 강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포스코 관계자는 “이번 설비 투자를 통해 친환경차 시대에 대폭 확대되는 전기 강판 수요와 전기차 주행 거리 향상 요구 등 자동차 산업의 메가 트렌드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11.15 11:00:16

    포스코, 1조원 들여 친환경차 모터용 전기 강판 공장 건설
  • 현대차·기아, 미국·유럽서 첫 동시 두자릿수 점유율 기록…친환경차 판매 신기록

    현대차와 기아가 자동차 격전지인 미국과 유럽에서 선전하고 있다. 지난 8월 미국과 유럽에서 첫 동시 두자릿수 점유율을 달성했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계속된 선전에 친환경차의 판매량이 늘어나며 점진적으로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모습이다.현대차는 지난달 미국에서 도매 기준으로 5만6200대의 완성차를 판매했다.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합치면 6만1175대로 지난해 동월 대비 2.4% 늘었다. 친환경차 판매도 크게 늘었다. 코나EV와 넥쏘 등이 판매 신기록을 세우며 친환경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245% 증가했다.차량별로 보면 준중형 SUV 투싼이 1만1151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준중형세단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가 1만942대, 중형 세단 쏘나타가 8277대 등으로 뒤를 이었다.기아는 5만4009대를 팔았다. 현대차와 기아의 8월 미국 시장점유율은 10.5%다. 지난해 8월보다 1.7%포인트 오른 수치다. 양 사는 올해 5월부터 매월 10% 이상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유럽 시장에서는 지난달 처음으로 두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유럽에서 7만3060대를 판매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대비 2.2% 늘어난 3만8143대, 기아는 같은 기간 2.8% 줄어든 3만4917대를 판매했다.유럽의 8월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18.1% 쪼그라든 72만4710대를 감안하면 현대차와 기아는 선방한 셈이다. 양 사의 합산 점유율은 전년 대비 1.8%포인트 증가한 10.1%다. 월간 점유율 기준 첫 10%대 돌파다.미국과 마찬가지로 투싼이 8700대가 팔리며 1위를 차지했다. 코나는 6701대, i30는 4139대가 팔렸다. 기아는 씨드가 1만45대, 니로 6040대, 스포티지가 5757대 판매됐다.업계에선 지금의 흐름이 이어진다면 현대차와 기아가 올해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

    2021.09.21 06:00:23

    현대차·기아, 미국·유럽서 첫 동시 두자릿수 점유율 기록…친환경차 판매 신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