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외국계 사모펀드의 교훈, "껍데기까지 벗겨간다"

    [스페셜 리포트 : 기업 저격수 된 사모펀드④]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 논란을 일으킨 큰 경제 주체 하나는 외국계 펀드였다. 출처도 모르는 막대한 자금을 조세회피 지역을 통해 들여와 외환위기 이후 혼란한 한국 경제를 흔들며 큰 이익을 챙겨갔다.투자처는 채권, 은행, 기업 등을 가리지 않았다. 부실채권을 헐값에 사서 회사가 정상화 과정을 거칠 때 채권 액면 금액을 모두 받아가기도 했고, 매각 대상 기업 등의 자산을 활용해 또 다른 부채를 일으켜 기업을 싼값에 인수하는 수법도 썼다.이들은 선진 금융기법으로 포장해 수년 후 기업을 매각하며 막대한 이익 을 얻었다. 이렇게 국부를 외국계 펀드에 갖다바친 한국 사회는 반성의 시간을 거쳤다. 한국형 사모펀드의 필요성이 부각된 배경이다. 한국 사회에 큰 교훈을 던져준, 막대한 부를 챙겨간 외국계 펀드의 사례를 정리했다. 한때 ‘공공의 적’ 됐던 론스타론스타는 1989년 미국 텍사스주에 설립된 사모펀드다. 이들은 세계 각국의 부실채권, 기업, 부동산에 투자한 후 일정 기간 보유 후 매각해 이익을 보고 철수하는 방식으로 움직였다.2001년 국내 소주시장의 8.3%를 점유하며 업계 4위를 달리던 무학이 워크아웃 위기에 직면하자 론스타의 목표물이 됐다. 당시 무학이 계열사인 무학건설에 지급보증했던 102억원 규모의 보증채권은 자산관리공사로 넘어갔다.자산관리공사는 액면가의 약 3% 수준인 3억600만원을 받고 부실채권을 론스타에 팔았다. 300억원가량의 부채를 상환하며 가까스로 워크아웃을 졸업한 무학에 론스타는 기다렸다는 듯 84억원대 채권의 권리를 행사 했다. 투자 금액보다 약 30배에 많은 돈이다.무학은 결국 84억

    2024.03.05 09:51:55

    외국계 사모펀드의 교훈, "껍데기까지 벗겨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