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가상 자산 시장에 부는 ‘겨울 바람’, 크립토 윈터 오나[비트코인 A to Z]

    [비트코인 A to Z]2022년 초, 주식과 코인 시장이 동반 급락하며 약세장에 접어들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뿐만 아니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감염 확산,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위기에 따른 매크로 불확실성이 공포를 키웠다. 한때 3조 달러에 육박했던 코인의 시가 총액은 글을 쓰고 있는 현재 1조8000억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비트코인은 6만9000달러를 돌파했다가 3만3000달러까지 하락하며 반 토막이 났다. ‘크립토 윈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일까. 그럴 수도 있다. 다만, 필자는 크립토 시장이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상한다. 즉, 약세장이 온다고 하더라도 시가 총액 기준 1위인 비트코인의 가격이 최고점 대비 80~90% 하락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유1-기관투자가 자금 유입현재의 크립토 사이클이 과거 사이클과 명백히 다른 점은 바로 기관투자가의 시장 참여다. 폴 튜더 존스, 레이 달리오, 캐시 우드, 스탠리 드라켄 밀러 등의 월가 유명 투자자, 테슬라·스퀘어·넥슨·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같은 진취적인 기업들이 2020년부터 비트코인을 매수하기 시작했다. 또한 크립토에 투자하는 간접 상품도 많아졌다. 2022년 1월 24일 기준, 크립토 간접 투자 상품 운용 규모는 약 61조원 규모(이는 작년 동기 대비 약 7배 이상 성장한 규모)이고 미국에서는 비트코인 선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승인됐다.크립토 인프라에 초기 투자하는 벤처캐피털에도 자금 유입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크립토 관련 스타트업은 지난해 약 79조원을 조달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22.03.01 17:30:13

    가상 자산 시장에 부는 ‘겨울 바람’, 크립토 윈터 오나[비트코인 A to Z]
  • K-게임 ‘고난의 시기’, 다시 날 수 있을까

    [스페셜 리포트] 게임업계가 위기감에 휩싸이고 있다. 한국의 게임사들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잇달아 부진한 성적표를 내놓았다. 주가 폭락 등 후폭풍이 거세다. 실적 고공 행진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세를 보였던 지난해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K-게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대표적 수혜주인 데다 메타버스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등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지며 큰 주목을 받아 왔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성장성을 제대로 입증해 내지 못한 것이다. K-게임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해 내고 다시 날 수 있을까.  K-게임, 줄줄이 ‘어닝쇼크’에 등 돌린 투자자들한국의 주요 게임 상장사들의 2021년 실적 발표가 마무리되고 있다. 엔씨소프트와 넥슨 등 대부분의 게임사들은 역대급 실적으로 관심을 모았던 지난해와 달리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하락이 도드라진다.한국 게임업계의 맏형이라고 할 수 있는 엔씨소프트는 2월 15일 2021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3088억원, 3752억원으로, 매출(전년 대비 -4%)과 영업이익(-55%)이 모두 하락했다. 충격을 준 것은 영업이익의 하락 폭이다. 전년 대비 50% 이상 급감하며 ‘반 토막’이 난 것이다. 당기순이익 또한 3957억원으로 33% 줄었다.다른 게임사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3N(넥슨·넷마블·엔씨소프트) 중 2월 8일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한 넥슨은 2021년 매출 2745억 엔(약 2조8530억원), 영업이익 915억 엔(약 9516억원)을 기록하며 마찬가지로 매출(-6%)과 영업이익(-18%)이 모두 감소했다. 2월 9일 실적을 발표한

    2022.02.28 06:00:18

    K-게임 ‘고난의 시기’, 다시 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