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파업 기록에 마침표 찍나...삼성전자의 새 리스크 떠오른 ‘노조’

    [비즈니스 포커스]지난 4월 17일 삼성전자 노조 중 최대 규모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삼성전자 경기 화성사업장 부품연구동(DSR) 앞에 모였다. 올초부터 이어온 임금 교섭이 끝내 결렬되면서 창사 이래 첫 단체행동에 돌입한 것이다. 노조 측에 따르면 이날 약 2000명의 직원이 참가해 사측에 임금인상률을 높일 것을 촉구했다.국내 주요 대기업 가운데 삼성전자가 유일무이하게 갖고 있는 기록이 하나 있다. 창사 이래 단 한 번도 노조가 파업을 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올해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연초부터 불거진 성과급 갈등 등의 영향으로 노조의 불만이 거세지고 있어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파업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삼노에 따르면 삼성전자 직원 900여 명이 최근 진행된 회사 측과의 연봉 협상에서 계약서에 서명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노사협의회가 정한 올해 임금 인상률 5.1%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삼성전자에서 직원들이 임금조정 결과를 거부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전삼노는 노사협의회 6.5%의 임금 인상률을 주장하며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삼성전자는 2018년까지 무노조 경영을 이어왔다. 오랜 기간 노사 협상 대신 사내 협의기구인 노사협의회 협의로 임금 인상률을 정해 온 것이다.하지만 이재용 회장이 직접 “시대 흐름에 맞춰 ‘무노조 경영’을 철폐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며 상황이 달라졌다.이에 따라 2019년 11월 출범한 전삼노가 2021년부터 매년 사측과 임금 교섭에 나서기 시작했다. 노조와의 대화로 임금 인상률 등을 결정하게 되면서 수월했던 협상은 매년 난항을 겪기 시작했다.

    2024.04.27 13:40:51

    무파업 기록에 마침표 찍나...삼성전자의 새 리스크 떠오른 ‘노조’
  • 중동에 이어 미·중 갈등까지 재점화...고조되는 ‘지정학 리스크’[위클리 리포트]

     최근 미국이 연이어 중국 기업을 겨냥한 제재를 예고하면서 양국의 관계가 다시 경색국면에 접어들고 있다.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불공정 무역을 이유로 중국산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7.5%에서 25%로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회사들이 정부 보조금을 받아 낮은 가격에 철강 및 알루미늄을 덤핑 판매하는 ‘부정행위’를 한다며 관세를 약 3배 올리라고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권고한 것이다.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불공정 통상 관행이 ‘사실무근’”이라며 “미국이 징벌적 관세 부과를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미·중 양국이 날 선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여기서 끝이 아니다. 이후에도 미국의 중국 때리기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4월 22일(현지시간)에는 미국이 중국 내 일부 은행을 세계 금융 시스템에서 제외하는 제재 초안을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배경은 이렇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가 서방 금융 제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계 은행의 경우 러시아의 상업 수출을 위해 결제를 처리해주고 러시아 법인 업체에 신용을 제공하는 등 핵심 중개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중국계 은행의 달러화 접근을 아예 막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이 부동산 침체 위기로 여전히 경제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중국계 은행에 대한 제재가 현실화할 경우 중국 경제가 치명타를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이에 중국 정부도 “중국 기업의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물러서지 않고 있다.중동 지역의 전운이 좀처럼 가시지

    2024.04.26 08:59:47

    중동에 이어 미·중 갈등까지 재점화...고조되는 ‘지정학 리스크’[위클리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