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매마른 아파트 공급, 초유의 전세대란 부를까[머니]

    2024년부터 수년간 아파트 입주 물량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고되면서 그 여파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높아진 금리로 인해 매매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물량 감소가 필요할 것 같지만, 집이 단지 사는(purchase) 곳이 아닌 사는(live) 곳이라는 관점에선 문제가 심각하다. 일각에선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 가을 이사철부터 본격화됐던 ‘전세대란’의 역사가 반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당시 전세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상승한 보증금만큼 소액의 월세를 내는 일명 ‘반전세’가 등장하기도 했다. 오히려 지금이 그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전 정부의 규제로 부동산 공급이 위축된 데다 아파트 대체재인 다세대·다가구주택이 ‘전세사기’ 여파로 된서리를 맞은 여파다. 아파트 전세 쏠림 현상이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아파트 전세와 빌라 전세의 보증금 차이는 크지만 기존에 선호도가 떨어졌던 구축 복도식 소형 아파트 전세가격까지 밀어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억눌렸던 주택공급, 수요 따라 다시 감소 주택은 전통적으로 경기에 따른 수급 탄력성이 매우 높은 상품으로 통한다. 무엇보다 수요 탄력성이 매우 높기에 공급물량이 이에 따라 출렁이게 된다. 부동산 경기가 좋은 상승기에는 매매 수요가 앞으로 집값이 오를 것에 대비해 ‘미래에 필요한 수요’까지 당겨 주택 매수에 나서게 된다. 반면, 하락기에는 “앞으로 집값이 떨어진다”는 생각에 당장 실거주 주택이 필요해도 매수를 미루게 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관련 전문가들은 하락기에도 상승기에 집중될 수요에 대비해 지속적으로 주택을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장에서 당장

    2023.12.12 06:00:06

    매마른 아파트 공급, 초유의 전세대란 부를까[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