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뜨거운 일본 증시…30년 불황 탈출 호기

    [INSIDE ETF]2012년 시작된 아베노믹스와 함께 오름세를 보이던 일본 증시의 상승 모멘텀이 지난해부터 눈에 띄게 강해졌다. 수치로 보면 2012년부터 올해 4월 10일까지 일본의 토픽스(TOPIX) 지수는 278% 상승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코스피 지수가 48% 상승한 데 그친 것에 비하면 놀라운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증시만이 아니다. 2023년 일본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9%로 한국의 1.4%보다 높았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에 한국이 일본에 추월당한 것이다. ‘잃어버린’이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붙던 일본 경제가 재도약의 불씨를 당긴 상황을 바라보며 일본 투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일본 경제의 어둠, 잃어버린 30년일본 경제가 바닥을 친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증시의 호황을 이끈 최대 동력은 미국과의 역대급 내외금리차에 따른 슈퍼엔저이며, 소비와 투자 지출 같은 펀더멘털은 여전히 약하다는 의견이다. 글로벌 금리 상승기에 일본은행(BOJ)이 제로금리를 고수할 수는 없을 것이므로 언젠가 금리 정상화가 이루어지고 엔저가 해소되면 주가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시각도 있다.한국과 일본 증시의 수익률 차이를 경제성장률 격차로 설명할 수는 있겠지만, 지난해 한국이 낮은 성장률을 보였던 것은 수출 부진, 특히 반도체 불황에 따른 것이고 올해에는 이런 현상이 역전될 것으로 보여 앞으로는 한국 증시가 더 매력적으로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하지만 일본이 35년간 이어진 불황의 종착역에 서서히 들어서고 있다는 시장의 기대를 터무니없다고 도외시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오랜 기간 한국에서 잊혀 버린 일본 투자의 비중을 높여 가야 할 이

    2024.05.02 06:00:54

    뜨거운 일본 증시…30년 불황 탈출 호기
  • 일본 경제의 최대 숙제, 부의 유출·고령화를 막아라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 2021년 현재 일본의 개인 투자자는 약 1400만 명이다, 한국은 1374만 명이다. 일본의 인구는 한국의 2.5배지만 개인 투자자 수는 비슷하다. 한국의 개인 투자자는 지난 3년 새 2.5배 늘었다. 반대로 일본은 개미 투자자가 기록적으로 급감한 세계적으로 드문 나라다. 2021년 도쿄증권거래소 조사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보유 비율은 16.6%(금액 기준)로 50년 전에 비해 반 토막 났다.  1990년대 버블 경제의 붕괴로 주가가 폭락한 것은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을 등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1989년 12월 29일 역대 최고치인 3만8915를 기록한 닛케이225지수는 1990년 한 해 동안 39% 떨어지며 2만3848까지 추락했다. 2008년에는 연간 기준 역대 최대 폭인 42.1% 급락해 8859까지 떨어졌다.  한때 미국을 넘어 세계 최대 주식 시장(상장사 시가 총액 기준)이었던 일본 증시는 오늘날 중국과 유럽에 밀려 5위까지 처졌다.   활력 잃고 늙어 가는 일본 주식 시장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가 커지면서 일본 정부는 부가 해외로 빠져나가는 ‘캐피털 플라이트(부의 유출)’로 곤혹스럽다. 부의 유출과 함께 일본을 고민에 빠뜨리는 또 하나의 현상은 ‘부의 고령화’다. 2000조 엔이 넘는 일본 가계 금융 자산의 60%는 60세 이상 고령자가 보유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의 금융 자산은 대부분 예금과 현금 형태로 은행 통장과 장롱 속에서 늙어 가고 있다. 주식 시장도 마찬가지다. 일본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의 67%를 60세 이상 고령자가 갖고 있다.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주식 시장의 고령화에 대한 분석 기사를 내놓았다. 1989년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전체 주식(금액 기준)

    2023.01.13 06:00:20

    일본 경제의 최대 숙제, 부의 유출·고령화를 막아라 [글로벌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