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에너빌리티, 美 뉴스케일파워와 SMR 사업 본격 추진
두산중공업에서 사명을 변경한 두산에너빌리티가 소형 모듈 원전(SMR) 사업을 본격화한다.두산에너빌리티는 박지원 회장과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이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SMR의 본격적인 제작 착수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이번 협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2029년 준공을 목표로 뉴스케일파워가 미국 아이다호주에 추진 중인 UAMPS(Utah Associated Municipal Power Systems) 프로젝트에 공급할 SMR 본제품 제작에 착수하게 됐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하반기 SMR 제작에 사용되는 대형 주단 소재 제작을 시작하고 2023년 하반기 중 본격적으로 SMR 본제품 제작에 돌입할 예정이다.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의 투자사들과 함께 뉴스케일파워에 1억380만 달러의 지분을 투자해 수 조원 규모의 기자재 공급권을 확보했다. 2019년 뉴스케일파워로부터 SMR 제작성 검토 용역을 수주 받아 2021년 1월 완료했으며 현재 시제품을 제작하고 있다.박 회장은 “두산에너빌리티는 뉴스케일파워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지속 강화하고, SMR 제작을 위한 준비도 빈틈없이 진행해 왔다”며 “앞으로 SMR 제작 물량이 본격 확대되면 협력사들의 참여 기회도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은 “두산에너빌리티가 뉴스케일파워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미국에 건설되는 첫 SMR의 핵심 기자재 제작에 참여한 것을 환영한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기 제작 능력을 보유한 두산에너빌리티가 뉴스케일 SMR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뉴스케일파워 SMR은 1기당 77MW의 모듈을 최대 12대 설치할 수 있어 총 924MW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뉴스케
2022.04.25 16:48:37
-
‘탈원전 유턴’ 세계가 SMR에 주목하는 이유
[스페셜 리포트]탈탄소를 추진하는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에서 소형 모듈 원전(SMR : Small Modular Reactor)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높이고 화석 연료를 퇴출시키며 탄소 중립에 앞장서 온 유럽은 최근 기상 악화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감소하면서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다.에너지 대란이 국가 안보까지 위협하는 상태에 이르자 주요국들은 전력난 타개와 2050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으로 회귀하고 있다.SMR은 기존 대형 원전의 원자로, 증기 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한 전기 출력 300MW 안팎의 소형 원자로다. SMR은 탄소 배출이 거의 없고 대형 원전 대비 뛰어난 안전성과 경제성을 갖춰 미래 에너지의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세계적인 부호들도 SMR 투자에 나섰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이자 원전 기업 테라파워의 설립자인 빌 게이츠와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10년 내 나트륨을 활용한 소형 원자력 발전소 ‘나트리움’을 건설할 계획이다. 2035년 620조 시장…탄소 중립의 핵심축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한국·미국·러시아·중국 등 전 세계에서 71종 이상의 SMR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17개), 러시아(17개)와 같은 전통적인 원자력 강국과 중국(8개), 영국(2개) 등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SMR은 2030년 본격적으로 상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국립원자력연구소는 2035년 SMR 시장 규모가 390조~620조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030~2040년까지 매년 약 100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노후 석탄 화력 발전소 교체 수요를 두고 SMR이 천연가스 등과 경쟁할
2021.11.08 06:01:01
-
빌 게이츠도 ‘눈독’…탈원전에 판로 막힌 한수원·두산중공업의 구원투수
[비즈니스 포커스]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과 미국이 해외 원자력 발전소 시장 공동 진출에 합의하면서 소형 모듈 원전(SMR : Small Modular Reactor)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SMR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두산중공업이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원전이다.정부는 2020년 12월 ‘제9차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혁신형 SMR 개발을 공식화하고 2021년 예비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기술 개발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SMR 분야에서 한·미 양국 간 협력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수원과 두산중공업의 해외 사업 진출과 수주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SMR은 게임 체인저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러시아· 중국 등에서 71종 이상의 SMR이 개발되고 있다. 해외에선 미국 뉴스케일 원전이 기술성·사업성 측면에서 가장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다른 국가에서도 SMR 개발 움직임이 활발하다. 러시아는 세계 첫 부유식 해상 원전인 아카데믹 로모노소프를 운영하며 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수단·필리핀 등에 부유식 해상 원전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은 항공기 제작 업체 롤스로이스가 잠수함 추진용 원자로를 제조한 경험을 활용해 2013년부터 SMR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사고 발생률, 대형 원전 1000분의 1 수준SMR은 증기 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한 전기 출력 300MW 안팎의 소형 원전으로 공장 제작, 현장 조립이 가능해 차세대 원자력 발전으로 부각되고 있다.대형 원전의 수출·건설은 정부 정책 변화, 수출국 간의 경쟁 심화, 신재생에너지 등 경쟁 에너지원의 급성장, 막대
2021.06.02 06: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