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 관계 정상화로의 진전이 ‘해법’[정인교의 경제 돋보기]
[경제 돋보기]최근 윤석열 정부의 동맹 외교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미·중 갈등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지정학적 리스크 요인에다 경제 안보의 중요성이 높아진 국제 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월 중순 한·일 정상회의에 이어 4월에는 한·미 정상회의가 예정돼 있다.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될 선진 7개국 정상회의(G7) 기간 한·미·일 정상회의는 올해 윤석열 정부의 최대 외교 행사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한·미·일 동맹 관계를 굳건히 다지게 될 것이다. 한국 정부는 3월 6일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 피해 배상 문제에 대한 해법을 공식 발표했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을 통해 대법원 확정 판결 피해자들에게 판결금 등을 변제해 주는 ‘제3자 변제’ 방식을 제시했다. 재원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의 수혜 기업인 포스코와 한국전력 등 한국 기업의 기여로 조성하기로 했다. 이 방식은 강제 징용 대법원 판결 이후 한국의 정치권과 학계에서 제기했던 것이다. 가해자인 일본 기업의 보상과 일본 정부의 사죄를 주장하는 측도 있지만 정부가 제3자 변제 방식을 결정한 것은 국제 정세상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정치적 판단 때문이었다.한·미 동맹을 강화하면서 가치와 신뢰 기반 글로벌 공급망의 확충을 모색해 온 한국은 바이든 미 행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왔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 등 한국의 대기업은 첨단 기술에 대한 미국의 국내 공급망 구축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해 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수차례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를 언급
2023.03.13 06:00:03
-
일본 '셰어 하우스'의 진화…'엄마' 손길까지 덤으로
[전영수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특임교수(전 게이오대 방문교수)] 최근 일본에서는 셰어 하우스가 유행이다. 성공 사례가 부쩍 많아진 덕분이다. 특정 테마에 주목한 ‘특화형 셰어 하우스’가 특히 돋보인다. 1인 가구에게 가족 효용을 제공해 주는 셰어 하우스가 대표적이다. 애초 연령·성별 등을 한정, 입주 장벽이 높았지만 지금은 옅어졌다. 성별·취미·국적조차 무관하다. 비용은 천차만별이다. ...
2016.06.20 00:00:00
-
'마스터스 경제학' 1주일 만에 1억 달러
올해 첫 메이저 대회인 마스터스 골프대회가 4월 10일 대니 윌렛이라는 새로운 스타를 만들어 내며 막을 내렸다. 하지만 이번 대회의 주인공은 단연 조던 스피스였다. 23세 청년 스피스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그린 재킷의 주인공이 될지에 관심이 모아졌다. 하지만 4라운드 11번 홀까지 5타 차 선두를 유지하던 스피스는 12번 홀에서 뜻하지 않은 4오버파를 기록하며 스스로 무너졌다. 스피스는 그 후 13번 홀과 15번 홀에 버디를 만들어 내며 ...
2016.04.18 00:00:00
-
'금수저' 사우디와 '흙수저' 한국의 엇갈린 운명
‘흙수저’라는 유행어를 들으면 가슴이 아프다. 이 땅 젊은이들의 장래가 모두 부모의 지위나 재산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이렇게 운명이 갈린 등장인물들을 다루는 드라마를 보기 싫어한다. 어쩌면 한국에서 젊은이들의 성공의 잣대가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고시에 합격하거나 세계적인 대기업에 취직하는 것으로 일반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오는 것은 아닐까. 이런 잣대를 들이대 이른바 &lsq...
2016.03.29 00:00:00
-
저성장 두렵지 않은 일본 혁신 기업들
현재 한국이 처하고 있는 경제와 산업 상황에 대해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경제 및 산업동향 관련 지표와 기사들을 살펴보면 하나같이 우울하기 짝이 없다. 우선 눈에 띄는 대목은 수출 경기 하락이다. 수출이 한국 경제의 견인차라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런데 그런 수출이 금년 들어 증가율 측면에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1월 들어 하락세가 살짝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전년 대비 마이너스 4.7%를 기록했다. 선진국이 시장...
2015.12.18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