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뷰티 1번지의 부흥…명동 큰형님 된 '올리브영·다이소'

    K-뷰티 1번지로 알려진 명동이 살아나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코로나 기간 텅 비어 있던 거리도 활기가 돌고 있다. 명동 상권 회복의 1등 공신은 ‘올리브영’과 ‘다이소’다. 이들은 외국인들이 좋아할 상품과 초대형 매장을 앞세워 명동 상권의 모든 뷰티 고객들을 빨아들이고 있다. 이들 매장은 평일, 주말 가리지 않고 외국인 고객들이 반드시 들러야 할 ‘랜드마크’가 됐다.주변 뷰티숍 ‘텅텅’…뷰티 소비 빨아들인 올리브영11월 6일 오후 1시 전날 내린 비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졌지만 명동의 분위기는 달랐다. 골목길은 외국인 관광객으로 가득 찼으며, 곳곳에서 명동 빌딩들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뜨거운 열기를 내뿜고 있었다. 특히 명동 메인거리에는 궂은 날씨에도 K-문화를 즐기는 관광객들이 가득했다. 다만 길거리의 상황과 달리 매장은 한산했다. 토니모리, 네이처리퍼블릭, 이니스프리, 더샘 등 명동 일대를 장악하며 코로나 이전 상권 전성기를 주도해 온 9곳의 뷰티 로드숍은 고객보다 직원이 더 많았다. 대부분의 매장에는 3~4명의 직원이 대기하고 있었지만 고객은 드물었다. 간혹 팀 단위의 고객을 응대하는 곳이 있었지만 이마저도 한 팀 또는 두 팀에 불과했다. 그러나 ‘올리브영 명동타운점’은 달랐다. 명동타운점은 올리브영이 11월 1일 오픈했다. 외국인 특화 매장으로 매장 면적이 350평에 달하며, 2개 층으로 구성돼 있다. 매장 입구부터 열 명 이상의 관광객이 보였다. 매장 안으로 들어서자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가 여기저기서 들려왔다. 1층에만 약 70명 가까운 외국인들이 있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었다. 모두가 마스크팩과

    2023.11.14 06:00:01

    K-뷰티 1번지의 부흥…명동 큰형님 된 '올리브영·다이소'
  • ‘유커의 귀환’, 들썩이는 내수 시장[중국의 추락③]

    [스페셜 리포트] “‘유커(游客 : 중국인 관광객)’가 돌아온다면 살아나기 시작한 명동은 더 큰 활기를 띨 것 같습니다.” 휴일인 8월 15일 점심시간 서울 중구 명동에서 만난 액세서리 노점상 A 씨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과거 명동을 찾는 대부분의 관광객이 중국인이었다”며 “명동 상권이 최근 살아났다고 해도 이전 유커들이 단체로 들어올 때에 비하기는 힘들다”고 설명했다. 명동 거리의 한 화장품 매장 직원 B 씨도 “중국인들의 방한이 뜸해지면서 매출도 큰 폭으로 줄었다”며 “유커가 돌아오면 다시 매출이 큰 폭으로 늘 것 같다”고 했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입국이 6년 5개월 만에 재개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주요 상권의 상인들은 유커의 방한이 재개되면서 상권이 활기를 되찾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고사 직전까지 내몰렸던 시내 면세점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중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맞춤형 전략을 내세우며 ‘유커 맞이’에 공을 들이고 있다. 올해 실적이 지지부진했던 백화점업계도 ‘즐거운 비명’을 지른다. 명품을 싹쓸이하는 유커들의 귀환에 매출 증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급등하는 추세다. 8월 15일 찾은 명동의 모습. 사진=김정우 기자 그 누구보다 유커들의 방한 재개를 가장 반기는 이들은 침체된 상권의 상인들이다. 서울 주요 상권 상인들은 올해 ‘여름 장사’를 사실상 망쳤다. 장기간 이어진 무더위로 인해 사람들이 외출을 꺼리면서 힘겨운 여름을 보냈다. 상인들은 유커들의 방문 재개가 반등의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8월 15일 찾은 명동에서는 벌써부터 그 기대감을

    2023.08.21 08:18:13

    ‘유커의 귀환’, 들썩이는 내수 시장[중국의 추락③]
  • 대신그룹 사옥 앞 'LOVE' 조각 훼손…“외국인 래커 스프레이 낙서”

    서울 명동에 설치된 미국의 유명 팝아트 작가 로버트 인디애나의 대표작 'LOVE'가 훼손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26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서울 중구 대신파이낸셜그룹 본사 앞에 설치된 로버트 인디애나의 대표적 조각 연작인 'LOVE'에 래커 스프레이로 낙서가 칠해졌다.작품 인근에 설치된 CCTV에는 지난 21일 오전 2시께 외국인으로 추정되는 남성이 검은색 스프레이를 이용해 해당 작품에 낙서하는 모습이 포착됐다.이 작품에 칠해진 'ZOMBRA'라는 글씨는 최근 을지로와 명동 일대에서 여럿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대신증권 측은 낙서 흔적을 발견하고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신고했다. 경찰은 용의자를 특정해 신원 확인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이 작품은 대신파이낸셜그룹이 2016년 여의도에서 을지로로 사옥을 옮기면서 설치한 조형물로, 그룹의 사유재산이다.당시 대신증권 측이 로버트 인디애나 재단에 연락해 작품을 구입했으며 서울의 공개 장소에 'LOVE'가 영구 설치된 최초 사례다.그룹 측은 작품을 복원하려면 로버트 인디애나 재단으로 보내야 해 시간과 비용이 적지 않게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대신증권 관계자는 "사유재산에 행해지는 모든 기물 파손 행위는 불법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며 "낙서 행태가 실수로 보기 어려워 조사 후 법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고 말했다.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

    2023.05.26 17:25:53

    대신그룹 사옥 앞 'LOVE' 조각 훼손…“외국인 래커 스프레이 낙서”
  • [르포] "MBTI 'I 성향'은 이쪽~" 애플의 달라진 아이폰14 오픈런 문화

    "고객님, 여기가 대기 줄인데요. 오늘이 아이폰14 출시일이라 입장할 때 박수를 쳐드리거든요. 박수를 받고 들어가서 출시를 기념하는 사진도 찍게 됩니다. 원하시면 이쪽 줄로 가주시고요, 조용히 들어가고 사진 촬영도 원하지 않으시면 저쪽 줄에서 대기해주시면 됩니다."명동 애플스토어에서 대기를 지원하는 현장 직원은 이같은 멘트로 오픈 전 매장에 도착한 고객들을 안내했다. 애플이 오늘(7일) 아이폰14 시리즈를 국내 공식 출시하면서 오프라인 공식 매장 '애플스토어'에는 예년과 같이 대기줄이 형성됐다. 현장에서 바로 제품을 수령하기 위해 대기하는 고객이 모였기 때문이다.올해 4월 문을 연 명동점에서는 오전 7시 30분 기준 약 20명에 불과한 대기 고객이 아이폰 출시일 오픈 시간인 '오전 8시'에 가까워지자 45명까지 늘어났다. 이번 출시 행사에서 달라진 것은 애플이 고객 성향에 따라 대기 줄을 나눴다는 점이다. 그간 애플은 출시일 특별 행사로 오픈 시간을 기존 10시 30분에서 8시로 앞당기고, 선착순으로 줄을 세워 입장 시 박수와 함성으로 고객을 맞았다. 또, 최초 대기자 10~20명에 한해 사진 촬영 등을 진행했다. 그런데, 이번 행사에서는 이들에게 선택지를 줬다. 입장 행사와 기념 촬영을 원하지 않는 고객을 위한 대기 줄을 별도로 마련했다. 취재진의 관심을 받지 않고 편하게 기기를 구매할 수 있도록 고객을 배려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들은 일찍 도착했어도 행사가 마무리된 8시 10분쯤에 입장할 수 있었다. 취재진의 인터뷰, 사진 촬영 등에 동의한 고객 19명은 8시 정각에 입장해 구매 기념 사진 촬영까지 진행했다.행사에 참여하는 대기줄에 처음

    2022.10.07 11:20:37

    [르포] "MBTI 'I 성향'은 이쪽~" 애플의 달라진 아이폰14 오픈런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