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韓직장인 2명 중 1명 지난해 이직 시도…사원급 55%, 부장·임원급 37%도 이직 시도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이 지난해 실제 이직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라인드가 지난해 한국 직장인 57,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블라인드 지수 2022’의 세부 분석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대한민국 직장인의 이직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된 것으로, 이직을 희망하는 비율이 아닌 이직을 실제로 시도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들의 비율을 측정했다.조사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51%)이 지난해 이직을 시도했다. 연차별로 보면 사원급(1년 이상 5년 미만)의 이직 시도율이 55%로 가장 높았고, 부장급(14년 이상)의 경우 시도율이 눈에 띄게 낮았다. 신입급(1년 미만)의 49%, 대리급(5년 이상 9년 미만)의 54%, 과장급(9년 이상 14년 미만)의 48%, 부장·임원급(14년 이상)의 37%가 지난해 이직을 시도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이 58%로 가장 높았다. 그밖에 10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50%, 5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과 10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각각 54%, 1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47%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생산직(생산관리 포함)의 이직 시도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반면 항공 서비스직(운항 포함)은 37%의 이직 시도율을 보여 직군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 업계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 업계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59%로 가장 높았으며 공기업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미했다.  지난해 재직자들의 이직 시도율이 낮은 기업들의 공통점을 분석해 보니 워라밸, 동료 관계, 표

    2023.03.30 17:23:18

    韓직장인 2명 중 1명 지난해 이직 시도…사원급 55%, 부장·임원급 37%도 이직 시도
  • 삼성·SK·현대차 직원 10명 중 8명이 가입한 앱, 가입자 수 800만명 넘어섰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의 글로벌 가입자 수가 800만 명을 넘어섰다. 웹을 포함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920만 명이다.  국내 3대 그룹사인 삼성, SK, 현대차 재직자의 10명 중 8명(79%)이 블라인드에 가입했다. 시가총액 1000대 기업 재직자 중에서는 10명 중 9명이 블라인드에 가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입자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블라인드에 가입한 직장인은 200만 명 이상으로, 이는 하루 평균 직장인 5400명이 서비스에 가입한 셈이다.  방문 빈도는 직장인 소셜 플랫폼 가운데 1위다. 특히 대기업 재직자들이 서비스를 자주 활용했다. 국내 10대 그룹 가입자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대비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의 비율은 50%에 달했다. 이는 블라인드에 이틀에 한 번 꼴로 방문하는 것으로, 세계 최대 구인·구직 플랫폼보다 1.5배 높은 수치다. 1월 한 달간 블라인드에 새로 등록된 댓글은 600만 개를 돌파했다. 모든 한국 가입자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댓글을 작성한 셈이다. 블라인드는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수익성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블라인드의 채용 서비스인 블라인드 하이어는 올 1월 사업 모델을 전면 개편했다. 블라인드에서 바로 블라인드 하이어의 채용 공고를 열람할 수 있게 됐다. 기업은 국내 500만 직장인에게 공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고, 가입자는 채용 공고와 현직자 리뷰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 간편하다.  팀블라인드 관계자는 “블라인드는 한국과 미국 서부의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이용하는 보편적 플랫폼이 됐다. 앞으로 궁극적 목표인 글로벌 직장인 플랫폼

    2023.02.28 16:50:54

    삼성·SK·현대차 직원 10명 중 8명이 가입한 앱, 가입자 수 800만명 넘어섰다
  • 삼성·SK·현대차 재직자 80% 가입…800만 회원 폭풍 성장

    국내 3대 그룹사인 삼성·SK·현대차 재직자 10명 중 8명(79%)이 블라인드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1000대 기업 재직자 중에서는 10명 중 9명이 블라인드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익명 기반의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의 운영사인 팀블라인드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블라인드의 글로벌 가입자 수가 2023년 1월 기준 800만명을 돌파했다고 2월 28일 밝혔다. 웹을 포함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920만명이다. 가입자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2022년 블라인드에 가입한 직장인은 200만명 이상으로, 이는 하루 평균 직장인 5400명이 서비스에 가입한 꼴이다.방문 빈도는 직장인 소셜 플랫폼 가운데 1위다. 특히 대기업 재직자들이 서비스를 자주 활용했다. 국내 10대 그룹 가입자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대비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의 비율은 50%에 달했다. 이는 블라인드에 이틀에 한 번 꼴로 방문하는 것으로, 세계 최대 구인·구직 플랫폼보다 1.5배 높은 수치다.올해 1월 한 달간 블라인드에 새로 등록된 댓글은 600만개를 돌파했다. 모든 한국 가입자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댓글을 작성한 셈이다. 블라인드는 이 같은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 수익성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블라인드의 채용 서비스인 블라인드 하이어는 지난 1월 사업 모델을 전면 개편했다.블라인드에서 바로 블라인드 하이어의 모든 채용 공고를 열람할 수 있게 됐다. 기업은 한국의 500만 직장인에게 공고를 노출할 수 있다. 가입자는 채용 공고와 현직자 리뷰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팀블라인드 관계자는 “블라인드는 한국과 미국 서부의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이용하는 보편적 플랫폼이 됐다”며

    2023.02.28 12:31:01

    삼성·SK·현대차 재직자 80% 가입…800만 회원 폭풍 성장
  • 일과 삶의 균형 지키는 워라밸 기업 17개사는 어디?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일과 삶의 균형, 직장 생활의 질(The Quality of Work Life)을 높여주는 워라밸을 갖춘 기업은 어디일까. 고용노동부와 블라인드가 워라밸 실천기업 17개사를 선정했다. 올해 워라밸 실천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국민연금공단, 네오플, 부산교통공사, 세종공업, 신용보증기금, 에듀윌, 엔에이치투자증권, 엘엑스세미콘, 우아한형제들, 웹젠, 유한양행, 유한킴벌리, 인천국제공항공사, 인터파크, 파마리서치,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이다.  올해 수상 기업 선정은 100% 각 사 재직자 평가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한국 블라인드 가입자 500만 명 전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블라인드 지수(회사에서의 행복도) · 제도 이행 여부에 대한 재직자 설문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 올해 수상 기업인 부산교통공사의 한 재직자는 “원한다면 최대 3년간 육아휴직을 쓸 수 있고, 휴직 후에는 걱정 없이 업무에 복귀할 수 있다”라며, “가정에서의 고민이 해결되니 일할 때 일에만 집중할 수 있어 만족한다”라고 말했다.우아한형제들의 한 재직자는 “모든 사람이 동일한 방식으로 일하는 것은 옛날 방식이다. 각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일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진정한 워라밸”이라며 “집에서도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재택 물품을 지원하는 등 회사가 재택근무에 진심이다. 일하는 시간과 장소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어 일의 성과가 높다”라고 긍정 평가 이유를 남겼다.한편 선정된 기업은 23일 고용노동부가 개최하는 2022 일·생활 균형 컨퍼런스에서 인증패를 수상한다. 또한 블라인드 모바일 앱 내 해당 기업명에 워라

    2022.11.23 11:25:48

    일과 삶의 균형 지키는 워라밸 기업 17개사는 어디?
  • 직장인 65% 재택근무 "효율성높다"…최고 복지는 '금융 치료'

    ‘탈출은 지능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 기업 평점이 낮은 회사에 꼭 써 있는 리뷰다. 지능이 높은 순서대로 회사를 탈출한다는 뜻이다. 낡은 기업 문화와 성장 전망의 부재, 업계 대비 낮은 처우 등을 이유로 직원들의 목표가 곧 ‘탈출’이 된 기업이다.판교 정보기술(IT) 기업과 스타트업 위주로 진화해 온 한국의 기업 문화는 지난 2년간 급변했다. 코로나19 사태와 새로운 세대의 등장, 익명 커뮤니티 활성화가 기업문화의 급격한 변화를 촉발했다.  특히 공정한 성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노사 관계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사원이 경영진에게 직접 메일을 보내 정확한 성과급 산출 방법을 요구했고 경영진은 직접 나서 상황을 설명하고 보상책 마련을 약속했다.  지난해 LG전자·금호타이어·현대차그룹에서는 2030세대가 주축이 된 사무직 노조도 설립됐다. 삼성전자는 2020년 ‘무노조 경영’을 철폐했고 지난해 창사 52년 만에 처음으로 노사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성과급 논란의 불씨는 임금 인상 행렬로도 이어졌다.지난해 직원들 사이에서 보상 체계가 도마 위에 올랐던 기업들은 논란을 잠재우고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해 연봉 인상안을 들고나왔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는 기업 문화 혁신의 도화선이 됐다. 블라인드 등 직장인 익명 게시판이 활성화되면서 기존에 사내 게시판이나 입소문을 통해서만 알려지던 일들이 다른 기업과 동종업계, 언론 등에서 쉽게 공론화됐다.   "다시 출근? 싫어요"기업 문화는 곧 기업의 경쟁력이다. 낡은 기업 문화는 인재 유출로 이어지고 인재 유출은 기업의 비용 손실과

    2022.05.21 06:30:01

    직장인 65% 재택근무 "효율성높다"…최고 복지는 '금융 치료'
  • “지옥 같은 회사 생활 만든 팀 용서 못해” 카카오 직원 추정 유서…사내 괴롭힘이 또

    [한경잡앤조이=조수빈 기자] 지난 17일 직장인 익명 앱 블라인드에 카카오 직원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유서가 발견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카카오 측에 확인해본 결과 관계자는 “전 직원은 안전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직원들의 안전을 확인 중”이라고 답했다. 유서는 ‘안녕히’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A씨는 유서에서 “가족들에게 한없이 미안하고 미안하다는 말밖에 못하겠다”며 &ldqu...

    2021.02.19 16:01:54

    “지옥 같은 회사 생활 만든 팀 용서 못해” 카카오 직원 추정 유서…사내 괴롭힘이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