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무실 임대료, 서울이 도쿄보다 비싸…도시 경쟁력 비상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 서울의 오피스 빌딩 임대료가 처음 도쿄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실 임대료뿐만 아니라 주재원을 파견하고 현지 직원을 채용하는 비용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서울의 도시 경쟁력이 도쿄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오피스 빌딩이 모여 있는 도쿄 미나토구의 도라노몬. 도라노몬 기요시 빌딩의 임대료를 10월 말 환율로 환산하면 ㎡당 44.74달러(약 6만86원)다. 서울의 비즈니스 중심가인 종로구 오피스 빌딩 밀집 지역. 이곳의 오피스 빌딩 임대료는 ㎡당 45달러로 올 들어 도쿄를 앞질렀다.일본무역진흥기구(JETRO)가 지난 4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피스 빌딩 임대료는 물론 주재원의 주택 임대료, 주재원 자녀들의 국제학교 학비, 제조업체 노동자와 일반 사무 직원의 급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울의 투자비용이 도쿄와 후쿠오카보다 더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화 가치 폭락으로 ‘역전’ 일어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울 종로구 556㎡(168평) 오피스의 임대료는 월 3552만원(VAT·관리비·주차비 포함, 보증금 연 1억9570만원 별도)이다. ㎡당 가격은 6만4000원이다. 조사를 진행한 작년 9월 1일 환율(1159.50원)을 적용해 달러로 환산하면 ㎡당 임대료는 55달러였다.도쿄 도라노몬 기요시 빌딩 187.90㎡(56.84평)의 ㎡당 임대료는 6655엔(관리비 포함, 보증금·수선보증금 미포함)이다. 작년 9월 1일 환율(113.08엔)을 적용해 달러로 환산한 가격은 ㎡당 59달러였다.이때만 해도 도쿄가 조금 더 비쌌지만 올 들어 원화보다 엔화 가치가 더 폭락하면서 가격이 역전됐다. 10월 말 환율(원·달러 1431원, 엔·달러 148.74엔)을 적용하면 서울의 임대료는 45달러, 일본이 44

    2022.12.02 06:00:06

    사무실 임대료, 서울이 도쿄보다 비싸…도시 경쟁력 비상 [글로벌 현장]
  • “본업에 집중하세요”총무팀 역할 대신하는 CBRE의 오피스 솔루션

    부동산 시장 하락기에도 서울 주요 업무 지구의 오피스 시장은 여전히 활기를 띠고 있다.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서울 A급 오피스의 평균 실질 임대료는 오르고 공실률은 낮아졌다. 공급은 적은데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근무가 끝나면서 사무실로 복귀하는 직원들이 늘었기 때문이다.CBRE코리아는 당분간 서울 오피스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댈러스에 본사를 둔 CBRE그룹은 세계 최대 부동산 컨설팅 업체다. 상업용 부동산 투자 자문, 임대차 자문, 자산 관리, 오피스 컨설팅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 중이다.CBRE그룹 전체 매출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업은 글로벌 워크플레이스 서비스(GWS)다. 한글로 풀면 기업 부동산 통합 시설 관리다. 사무 공간이나 공장·연구소 등 기업 자산을 관리하고 비품 구매, 복리 후생 등 기업 총무팀의 역할을 대신하는 서비스다.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업체 중 시가 총액 1위를 달리고 있는 CBRE 전체 매출의 60%를 견인하는 사업이다.CBRE그룹의 핵심 사업이지만 총무팀의 존재가 견고한 한국에서는 여전히 블루오션이다. 입지와 수익성이 최우선인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사람을 자본으로 하고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사업이기도 하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근무가 끝나고 사무실 복귀가 가속화되면서 이 시장도 분주하다. CBRE코리아는 올해 GWS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지난 5월 위워크의 한국 시장 운영 총괄 및 디렉터를 역임한 심영림 전무를 영입했다. 심 전무는 위워크 재임 시절 위워크코리아 실적을 아시아·태평양 시장 1위로 올리며 리더십을 인

    2022.11.29 08:42:40

    “본업에 집중하세요”총무팀 역할 대신하는 CBRE의 오피스 솔루션
  • 미국 주택 임대료 급등의 수혜주 ‘인비테이션 홈즈’[돈 되는 해외 주식]

    [돈 되는 해외 주식]글로벌 리츠 지수는 올해 들어 19% 상승해 벤치마크를 5%포인트 웃돌고 있다. 글로벌 리츠 중 팬데믹(세계적 유행) 타격이 컸던 리테일과 숙박 리츠의 반등이 뚜렷한 가운데 임대 주택 리츠는 꾸준히 우수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주택 가격 상승은 한국만의 현상이 아니다. 2012년 대비 한국의 주택 가격 누적 상승률은 27%로 50~90%인 미국·홍콩·영국 등 주요국 대비 낮다. 금융 위기 당시 한국의 주택 가격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이다.현재 나타나는 전 세계적인 주택 가격 상승의 원인은 저금리 외에도 근본적으로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 때문이다. 금융 위기 이후 급등한 토지와 원자재 가격, 인건비 상승으로 공급에 차질을 빚어 주택 부족이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0년간 미국의 주택 공급은 가구 수 증분을 15% 밑돌고 있다. 5년 내 신규 수요자가 될 20~34세 미국 인구 비율은 45%다. 주요 수요처로 부상할 밀레니얼 세대가 1인 가구로 지내는 기간이 길어지고 구매력이 약화되며 주택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그간 부동산 섹터 내 기관의 투자 대상으로 선호되던 자산은 오피스와 리테일 등 전형적인 수익형 부동산이었다. 하지만 최근 임대 주택이 대체 투자 자산으로 떠올랐다. 필수 부동산의 특성상 낮은 공실, 임대료 전가가 용이해 인플레이션의 헤지 수단이 될 수 있는 점, 순운영소득(NOI) 대비 낮은 설비 투자 비율로 투자 효용성이 높다는 점 때문이다. 기업형 임대 주택이 발달한 국가는 미국·일본·독일이고 기관들의 주요 임대 주택 투자 지역이다.미국의 유망 임대 주택 리츠는 ‘인비테이션 홈즈(Invitation Homes)’와 미드

    2021.07.15 06:15:01

    미국 주택 임대료 급등의 수혜주 ‘인비테이션 홈즈’[돈 되는 해외 주식]
  • “코로나19 재난이니 임대료 깎아 달라” 요구할 수 있을까

    [법으로 읽는 부동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가 지속되면서 상가 임차인들의 고통이 커져만 가고 있다. 국회는 2020년 9월 29일 상가 건물 임대차보호법(‘상가임대차법’) 개정을 통해 상가 임차인의 차임 연체에 따른 불이익 완화와 제1급 감염병 유행에 따른 차임 등 감액 청구를 명시했다. 먼저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 9를 신설해 ‘계약 갱신 요구 등에 관한 임시 특례’를 뒀...

    2021.02.26 07:07:03

    “코로나19 재난이니 임대료 깎아 달라” 요구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