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작년 사망원인 1위 ‘암’···1030 자살 가장 많았다

    지난해 한국인 사망원인 1위가 암으로 나타났다. 자살 사망률은 전년보다 감소했지만 여전히 10∼30대 사망 원인 1위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21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한국인의 암 사망률(인구 10만명 당 사망자 수)은 162.7명으로 전체 사망원인 중 가장 높았다. 심장질환 사망률은 65.8명으로 두 번째로 높았고, 코로나19(61.0명), 폐렴(52.1명) 등이 뒤를 이었다. 뇌혈관 질환(49.6명), 자살(25.2명), 알츠하이머병(22.7명), 당뇨병(21.8명), 고혈압성 질환(15.1명), 간 질환(14.7명) 등도 10대 사인에 포함됐다. 2021년 사망원인 12위였던 코로나19는 지난해 3위에 오르면서 처음 10대 사인에 포함됐다. 고혈압성 질환 사망률은 전년보다 2.9명 증가하면서 순위가 10위에서 9위로 상승했다. 10년 전과 사망률을 비교하면 알츠하이머병, 폐렴, 고혈압성 질환이 각각 241.2%, 154.4%, 44.7% 상승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성별로 보면 남녀 모두 암 사망률이 가장 높았고, 남자 암 사망률이 여성의 1.6배였다. 알츠하이머병은 남자 사망원인 10위를 기록하면서 처음 남자의 10대 사인에 포함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전년과 마찬가지로 10∼30대 사망률은 자살이, 40대 이후는 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와 관련 있는 호흡기계 질환 사망자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알츠하이머·뇌혈관·고혈압 등 노인성 질병 사망자가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페암-간암-대장암-췌장암 순으로 사망률 높아 지난해 1위를 기록한 암 사망률(162.7명)은 전년보다 1.6명(1.0%)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폐암(36.3명), 간암(19.9명), 대장암(17.9명), 췌장암(14.3명), 위암(13.9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

    2023.09.22 07:52:10

    작년 사망원인 1위 ‘암’···1030 자살 가장 많았다
  • 누워만 있어도 완치 '꿈의 암 치료' 국내 첫 성공···한 달 만에 암 제거

    전립선암 2기 진단을 받은 환자가 중입자 치료를 통해 완치됐다. 연세의료원은 올 4월 국내 처음으로 시작한 중입자 치료의 결과를 공개했다. 최 모씨는 전립선암 2기 진단 이후 연세의료원 암병원에서 중입자 치료를 12차례 치료를 받았다. 현재 최 씨는 암세포가 사라져 정상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립선암은 악성도에 따라 5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진단 당시 최 씨는 고위험(4등급) 전 단계인 3등급이었다. 전립선암 확인 검사로도 알려진 전립선특이항원(PSA) 수치는 60대 정상(4ng/mL)보다 높은 7.9ng/mL였다. 올 4월 첫 치료를 시작한 최 씨는 5월 중순까지 12번의 치료를 모두 마쳤다. 이후 PSA 수치는 0.01ng/mL 미만으로 떨어졌고, 7월 MRI 검사결과 전립선암 조직이 발견되지 않았다. 주변 장기는 전혀 망가지지 않았다. 최 씨와 함께 중입자 치료를 시작한 또 다른 전립선암 2기 환자 A씨(60대)도 암 조직이 사라졌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중입자 치료는 탄소 입자를 빛 속도의 70%까지 가속해 생긴 에너지를 암 조직에 쏴 암세포를 없애는 치료법이다. 기존의 방사선이나 각종 암치료에 비해 부작용은 매우 적으면서 효과는 최대 3배 이상 높기 때문에 '꿈의 암 치료'라고도 불린다. 현재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비용은 5000만원 정도다. 일본의 경우 중입자 치료 환자의 25~30%가 전립선암 환자다. 암 재발 위험을 낮춰주기 때문에 건강보험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이익재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장은 “국내 처음으로 중입자 치료를 받은 전립선암 환자들의 치료 경과가 매우 좋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환자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경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09.20 07:59:51

    누워만 있어도 완치 '꿈의 암 치료' 국내 첫 성공···한 달 만에 암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