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여인은 언제나 화가들에게 영감을 제공하는 최고의 모델이 돼왔다. 여인이 가진 매력은 외모뿐만 아니라 여성성이 대표하는 여러 속성에 기인한다. 아름다움과 부드러움, 상냥함과 현명함, 정숙함과 우아함, 때로는 관능미와 치명적인 팜므 파탈의 매력까지. 르누아르는 “신이 여성을 창조하지 않았다면 내가 화가가 됐을지 모르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여인들이 가진 모델로서의 또 다른 장점이 있다면, 남성에 비해 소지품이 많다는 것이다. 여성의 장신구나 의상, 혹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자잘한 도구들은 그림에 숨겨진 의미를 부여하기에 좋은 장치가 된다. 나 또한 그림을 보며 여성들의 소품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그림 속 숨겨진 이야기들을 찾아내는 재미 때문이었다.

조반니 벨리니(Giovanni Bellini), <몸단장하는 젊은 여인>(Young woman at her toilet), 1515년, 빈 미술사 박물관 소장

창가에 앉은 여인이 누드로 몸단장을 하고 있다. 여인이 앉아있는 벤치에 깔린 카펫이나 머리에 두르고 있는 천이 모두 고급스러운 것으로 보아 그녀는 어느 귀족 집안의 딸인 듯하다. 여인의 흰 살결 위에 드리워진 붉은빛 천은 그녀의 가슴과 음부를 살짝 가려주어 고전 회화에 흔히 사용된 ‘비너스 푸디카(Venus Pudica·정숙한 비너스)’ 포즈를 취하고 있다.
[강지연의 그림읽기] 거울 든 여인의 모습은 어떤 의미일까?
여인의 오른손에는 작은 손거울이 들려있다. 거울을 들여다보고 있는 그녀의 표정이 무척 진지해 보인다. 지금의 기준으로는 약간 풍만해 보이지만 당시로서는 완벽하게 아름다운 몸매와 고운 피부, 뚜렷한 이목구비, 윤기 나는 머리결 등 그녀는 스스로의 아름다움에 도취돼 있는 듯 보이기도 하다. 그녀의 뒤에는 또 다른 거울이 걸려있어 뒷모습까지 꼼꼼히 관찰하며 손을 들어 매만지고 단장할 수 있다.

거울은 흔히 여인과 함께 사용되는 모티브로 ‘속세의 허영’을 상징한다. 젊은 여인은 거울 속 자신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며 달콤한 꿈을 꾸고 있을 것이다. 나의 눈부신 젊음, 청춘의 아름다움이 영원히 지속됐으면 하는 바람.

지금 이 순간 아름다운 외모를 가꾸며 집안의 부, 명예와 함께 그녀의 고귀한 생활도 계속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을 법한 그녀.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 여인의 미모는 점차 수그러들기 시작하리라. 그녀는 젊은 날의 모습을 회상하며 영원할 것 같던 미모도 한때였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화가인 조반니 벨리니는 유명한 화가였던 아버지 야고보 벨리니에게서 태어났으며 역시 화가인 젠틸레 벨리니의 동생이자 안드레아 만테냐의 매부이기도 했다. 그야말로 화가 집안에서 자란 그의 작품은 따뜻하고 화사한 색채가 특징으로 당시 베네치아 화파의 최전성기를 이끌었다.

정확하고 사실적인 정물 묘사는 매부인 만테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 그림 속에서도 창가에 놓인 유리병이나 카펫 등의 묘사가 뛰어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림 속 여인의 자세는 전체적 구도인 수평과 수직을 완성하며 창문과 함께 화면에 전체적인 안정감을 부여한다. 창문 너머로는 베네치아의 전형적인 풍경이 펼쳐져 있어 그림에 깊이를 더해준다.

그는 주로 종교화를 많이 그렸는데 이 그림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였다. <몸단장하는 젊은 여인>은 그가 죽기 1년 전인 85세에 그린 작품으로 유일무이한 누드화이기도 하다. 여인이 앉아있는 벤치 위에는 종이쪽지가 하나 놓여있는데 자세히 보면 벨리니의 서명이 담겨있다.

티치아노 베첼리오(Tiziano Vecellio), <속세의 허영>(The vanity of the world), 1515년, 뮌헨 알테피나코텍 소장

다른 그림을 하나 더 살펴보자. 작품명 자체가 <속세의 허영>이다. 화가인 티치아노 베첼리오는 커다란 거울을 들고 있는 여인을 통해 그가 그리고자 하는 주제를 정확하게 나타냈다. 푸른 옷을 입은 금발의 젊은 여인이 손에 거울을 든 채 측면을 응시하고 있다.

그녀가 보여주고자 하는 거울 속 풍경에는 온갖 진귀한 보석과 반짝이는 금화들이 있다. 이는 아마도 현재 젊은 여인이 가지고 있는 부귀영화를 표현한 것이리라. 여인의 표정은 자신감이 넘치며 약간 도도해보이기도 하다.

싱그러운 젊음과 넘치는 재물을 함께 가지고 있는 그녀의 입장에서는 그러한 자신감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녀의 거울 속 금은보화 뒤에는 짙은 어둠이 깔려 있다. 그 어둠 속에는 한 노파가 꺼져가는 촛불을 들고 서있다.

꺼져가는 촛불은 소멸돼 가는 모든 것들을 나타낸다. 그녀의 젊음, 아름다움, 그리고 물질적인 풍요로움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덧없이 사라져가는 촛불같이 변해버리고 말 것이다.
[강지연의 그림읽기] 거울 든 여인의 모습은 어떤 의미일까?
티치아노는 이 그림을 그릴 당시 거울 속 풍경을 그리지 않았다고 한다. 거울은 원래 반영을 담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그림을 그리면서 티치아노는 그가 나타내고자 했던 주제인 ‘허영’을 좀 더 우의(寓意)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거울 속 반영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그림을 수정했다.

이 그림은 티치아노의 초기작으로 그가 앞서 소개한 벨리니의 제자였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벨리니의 작품과 티치아노의 이 작품이 모두 1515년에 제작된 것이 우연만은 아닐 것 같다. 티치아노는 스승인 벨리니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그의 작품에서 깊은 영감을 얻었던 것이 분명해 보인다.

거울은 예나 지금이나 여인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도구다. 여인들은 젊고 아름다운 시기일수록 거울을 자주 보게 된다. 세월이 지나며 거울 보는 횟수는 점차 줄어들게 마련이다. 여인들의 욕망을 모두 다 허영으로 치부할 수는 없겠지만 분명한 것은 세월이 지나면서 인생에서 진정 중요한 것은 미모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는 점이다. 타인에게 보이는 아름다움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내 스스로가 간직하고 있는 삶의 아름다움일 것이다.

강지연
_ 교사. <명화 속 비밀이야기>, <명화 읽어주는 엄마> 저자.
네이버 블로그 ‘귀차니스트의 삶(http://blog.naver.com/oilfree07)’ 운영. oilfree0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