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죽음

<장자>(莊子)의 내편(內篇) 7개 중에서도 마지막이 ‘응제왕(應帝王)’이고 그중에서도 마지막에 ‘혼돈의 죽음’에 관한 우화가 있다. 그 내용이 매우 짧기 때문에 전문을 그대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남해의 임금을 숙이라 하고, 북해의 임금을 홀이라 하며, 중앙의 임금을 혼돈(渾沌)이라 한다. 숙과 홀이 때마침 혼돈의 땅에서 만났는데, 혼돈이 매우 융숭하게 그들을 대접했으므로, 숙과 홀은 혼돈의 은혜에 보답할 것을 논의해 말하기를, “사람은 모두 7규(七竅: 일곱 개의 구멍 즉 눈, 귀, 입, 코)가 있어서 그것으로 보고 듣고 먹고 숨 쉬는데 이 혼돈에게만 없으므로 시험 삼아 구멍을 뚫자”고 했다. 날마다 한 구멍씩 뚫었는데 7일이 지나자 혼돈은 죽고 말았다.



장자 즉 장주의 이야기는 매우 정밀하게 상징해 우화 형식으로 들려주기 때문에 이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말 한마디 한마디를 꼼꼼히 씹어봐야 한다.

여기에서 남해와 북해는 각각 밝음(明)과 어둠(暗)을 나타내며, 숙은 ‘빨리 나타남’, 홀은 ‘빨리 사라짐’을 의미하고, 중앙의 혼돈은 혼돈(混沌)과 흡사하면서도 명암이 뚜렷이 구별되지 않은 ‘미분화(未分化) 상태’를 상징한다. 즉 중앙의 혼돈 상태는 천지가 아직 개벽되지 않아 모든 사물이 확실히 구별되지 않은 카오스의 상태로 인위적인 차별이 없는 무위(無爲)의 중립 상태를 말한다.

이미 분별이 확실히 된 숙과 홀의 시각으로 볼 때 혼돈은 지극히 애매모호하고 답답해 불쌍한 존재였기에 그를 어둠과 혼란에서 벗어나게 해주려는 배려에서 혼돈의 원인을 살펴보니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7개의 구멍이 혼돈에게는 막혀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그들은 혼돈에게 매일 한 개씩 7일 동안 7개의 구멍을 뚫어 주었다. 그랬더니 혼돈은 죽고 말았다는 것이다.

장자는 생명을 무엇보다도 사랑했다. 그의 철학은 생명을 있는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했고, 생명을 해치는 것을 무엇보다도 싫어했다. 심지어는 이 우화에서처럼 살아 있는 혼돈마저도 살아 있는 그대로 보존하라고 해, 생명 없는 질서보다도 생명 있는 무질서 즉 무위(無爲)를 사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Book & Life] 일곱 개의 구멍을 뚫자 혼돈은 죽었다
차이 극복을 위한 소통

장자는 이렇듯 무위를 꿈꾸는 진정한 자유인이었다. 이 편명이 응제왕인 이유도 ‘스스로를 잊고 자연을 따른다면 제왕이 되기에 알맞다’는 뜻으로 붙인 것이다. 장자는 인간의 합리성을 천지 만물의 자연 속에서 추구한다. 인간만이 아닌,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존재할 만한 필연적인 이유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장자의 철학이다.

그렇다. 모래 한 알도 똑같은 것이 없듯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각기 서로 다르다. 이렇게 스스로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모든 존재는 존재할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무엇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은 모든 존재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다.

장자는 혼돈의 존재마저 인정하자는 것이다. 그래서 어설픈 명암의 인식(당시 유가의 형식적 논리 등을 빗대어 말했을지도 모른다)이 진정한 자유인인 혼돈을 죽게 했다고 혼돈의 죽음마저 애달프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차이가 나는 존재끼리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소통이다. 소통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다.



소통을 위한 7개의 구멍(竅)

장자처럼 무위의 자연 속에서 홀로 고고하게 산다면 이렇게 혼돈처럼 구멍이 막힌 채로 살아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모여 더불어 사는 오늘의 인간은 이렇게 구멍을 막고서는 잠시도 살 수 없을 것이다.

혼돈은 어디에서부터 오는가. 그것은 눈이 막혀 볼 수 없고, 귀가 막혀 들을 수 없고, 입이 막혀 말할 수 없고, 코가 막혀 냄새도 맡지 못하고 숨을 쉴 수가 없어서 소통이 막힌 상태에서 온다. <혼·창·통>(魂·創·通)을 쓴 이지훈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통해 소통의 부재가 부른 비극을 말하고 있다. 공룡을 주제로 한 TV 다큐멘터리에서 수컷 공룡이 암컷 공룡에게 접근한다. 그 수컷은 온통 짝짓기 생각뿐이었다. 그러나 새끼를 키우고 있던 암컷은, 수컷이 새끼를 해치러 온 것이라고 생각하고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수컷을 공격하고, 수컷은 새끼 공룡을 물어 죽이고 암컷은 다시 수컷을 물어 죽인다.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저자는 “공룡이 말을 할 수 있었다면 저런 비극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인간 사회에서도 소통의 부재로 인한 이러한 비극은 오늘날에도 계속 일어나고 있다.



하루에 한 구멍씩 뚫다(日鑿一竅)

그렇다면 소통을 위해서 먼저 해야 할 일은 장자의 우화처럼 이 막힌 구멍을 뚫는 일이다.

우리의 눈과 귀와 콧구멍이 각각 두 개씩인 이유는 아마도 공간감을 지각하고 대립되는 두 모습이나 소리까지도 파악하기 위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러나 입이 하나인 것은 보고 듣고 냄새 맡은 감각을 근거로 판단해 하나의 입으로 분명하게 말해야 한다는 것을 상징하는 듯하다.

인간은 그동안 의사소통을 위해 수많은 수단과 제도를 개발해 왔다. 더 잘 보기 위해서 일찍이 안경을 발명했고, 최근에는 안구를 수술해서 시력을 개선하는 데도 성공했다.

수많은 전달 매체들도 개발했다. 하도낙서(河圖洛書)에서 시작된 수많은 도서들과 활자매체 이후 TV, 스마트폰 등의 최첨단 영상매체들. 인터넷과 위성항법장치(GPS)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더 잘 듣기 위해 개발된 고성능 보청기, 목소리를 더 잘 전달하기 위해 수많은 송신기와 확성기가 개발됐고, 제도적으로는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

‘하루에 한 구멍씩’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새로운 매체들이 개선돼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도 왜 여전히 다른 사람과 소통이 잘 되지 않는가. 나이 많은 사람들과 젊은이는 왜 그토록 생각이 다르고, 자살 직전에 부르짖었던 구원의 목소리는 왜 들리지 않았으며, 정치인들은 왜 국민의 욕구를 미리 파악하지 못하고, 국민은 왜 그렇게 7개의 구멍이 꽉 막힌 정치가들을 대표로 뽑았을까.



마음의 문을 열어야 한다

현대인은 장자의 ‘혼돈’처럼 일곱 개의 구멍이 막힌 것이 아니라, 구멍은 뚫어져 있어도 중요한 무엇이 막혀 있기 때문에 혼란을 겪는다. 그것은 단순한 시력이나 청력, 또는 목소리의 크기 때문이거나 전달 매체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소통하고자 하는 주체의 진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소통을 위해서는 단순하게 좋은 시력으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빨리 보는 것이 아니라, 애정을 가지고 진지하게 관찰해야 한다. 그냥 듣는 것이 아니라 정성을 들여 귀를 기울이며 이해하려는 마음을 열고 경청해야 하며, 단순히 목소리를 크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간절하게 호소하며 상대에게 이해시키려는 애정을 실어 말해야 한다.

마음의 문을 열지 않으면 아무리 시력이 좋고 눈을 크게 떠도 보이지 않고, 마음을 열지 않으면 아무리 큰소리로 떠들어도 남들은 귀를 기울여 주지 않는다. 진정성이 담기지 않은 형식적인 소통만으로는 결코 서로의 갈등을 해결할 수 없으며 혼돈은 죽지 않는다.



차이가 나는 존재끼리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소통이다. 소통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다.



전진문 영남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일러스트·추덕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