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후암동을 품은 온고지신의 가치, 눅(nook)서울[MZ 공간 트렌드]

    주택이 오밀조밀 늘어선 후암동 어느 골목 사이, 은은하게 빛나는 대문자 N이 이곳이 목적지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눅서울은 그렇게 작은 골목에 스며들어 있다. 1930년대 지어진 ‘적산가옥(일식 주택)’을 복원한 공간으로 명성을 떨친 것과 달리 외관은 여타 주택과 다를 바 없다. 빼꼼히 나타난 붉은 벽돌 기둥만이 이곳의 80여 년의 역사를 증명해 주는 듯하다. 하지만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잠시 시간이 멈춘 듯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진다. 서울, 서울, 서울건축주 이호영 대표는 24년의 교수 생활과 지방살이를 뒤로하고 2014년 고향인 서울 땅을 밟았다. 오랜만에 다시 찾은 서울은 변화하고 있었다. 그때그때 유행하는 장소들이 우후죽순 거리를 채웠다가 사라졌고 개발이라는 명목하에 신식으로 개조된 건물이 어설프게 솟아 있었다. 젊은 시절을 뉴욕에서 보냈지만 화려하고 북적이는 대로보다 좁고 삐뚤삐뚤한 골목에 본능적으로 끌려온 그다. 사람 사는 냄새가 그리웠다. 허름한 골목 안에 서울의 정체성이 담겨 있다고 확신했다. 창신동부터 시작해 이화동·부암동·서촌·연남동·해방촌·성수동까지 발품을 팔며 골목이 저마다 내뿜는 향기와 그에 깃든 문화를 탐미했다. 정처 없이 떠돌던 건축주의 발길은 후암동에서 멈췄다. “골목에서 한 발 툭 튀어나와 망루처럼 선 낡은 주택 한 채를 본 순간 ‘나만의 트리 하우스를 갖고 싶다’는 어린 시절의 꿈이 이뤄질 것만 같았다”고 건축주는 회상했다. 서울 용산구 후암동은 시간의 가치를 간직한 동네다. 남산 밑에 둥글고 두터운 바위가 있다고 해서 ‘두텁바위마을’이라고 불린 이곳은 바위가 사라진 뒤에도 이름만은 그대로 남아 후암동이라

    2022.11.15 15:58:55

    후암동을 품은 온고지신의 가치, 눅(nook)서울[MZ 공간 트렌드]
  • 과거와 현재의 융합이 만든 ‘힙플레이스’ 어니언 광장시장점 [MZ 공간 트렌드]

    세대를 아우르는 ‘힙플레이스’ 어니언 광장시장점‘힙’은 어디에나 있다. 강남에 오픈한 신상 카페에도, 전통 시장 골목의 허름한 순댓국밥집에도, 으리으리한 근교의 대형 카페에도…. 오래된 골목에 있는 꾸미지 않은 날것의 공간, 그 공간이 오랜 시간 동안 쌓아 온 서사가 있다면 더더욱 힙하게 느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허름한 곳의 세련된 오브제, 진주 목걸이를 하고 노포를 찾아다니는 인플루언서에게서 약간의 위화감을 동반한 ‘힙스러움’을 느낀다.‘힙스터’, ‘힙플레이스’, ‘힙하다’ 등 ‘힙’이 붙는 신조어는 이제 식상해진 수준이다. 유행을 선도하는 셀러브리티라는 의미로도 쓰지만 이 단어는 1940년대 미국 재즈 문화에서 왔다. 당시 재즈는 흑인의 전유물이었다. 흑인의 전유물이었던 서브 컬처인 재즈에 심취한 백인을 부르던 말이라고 한다.힙스터들은 개인의 취향과 차별성으로 주류와 자신을 구분 짓는다. 2000년대 들어서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2030세대가 자본주의적 소비주의에 반해 가치 지향의 소비를 추구하는 것도 일종의 ‘힙스터’ 문화라고 볼 수 있다. 반주류 문화라는 기원에서 역설적으로 그들의 비주류 문화가 유행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힙스터 패러독스라고 한다.정식 오픈 전부터 화제를 모은 ‘어니언 광장시장점’은 이런 트렌드의 대표로 떠오르는 카페 브랜드다. 광장시장 입구 모퉁이에 문을 열었다. 성수점·미아점·안국점에 이어 넷째 매장으로 아티스트 그룹 패브리커가 디렉팅했다. 이들은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들며 공간을 재해석하기로 유명하다. 폐공장을, 강북 우

    2022.11.10 15:05:43

    과거와 현재의 융합이 만든 ‘힙플레이스’ 어니언 광장시장점 [MZ 공간 트렌드]
  • 취향에 진심인 사람들을 위한 공간 미오레코드[MZ 공간 트렌드]

    음악이 듣고 싶을 때는 스마트폰을 꺼낸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앱)을 열고 톱100 앨범을 터치한다. 잔잔한 음악이 필요하다면 유튜브에 ‘퇴근 후 지친 마음을 달래 주는 음악’을 검색해 누군가 만들어 둔 플레이 리스트를 고른다. 내가 원한 분위기의 노래들이 나온다.이런 편리를 거스르는 사람들이 있다. 들고 다닐 수도 없는 턴테이블을 사고 집 밖으로 나와 레코드숍에 들르고 나만의 인생곡을 찾아서…. A부터 Z까지 LP판을 고르는 수고스러운 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과거 누군가와 레코드숍 투어를 했다. 그때 들렀던 몇 군데의 레코드숍 중 한 곳이 미오레코드다. 그때는 겨울이었고 예쁘게 보이고 싶어 짧은 치마를 입었다. 매서운 칼바람 때문이었을까, “얇게 입으니까 춥지”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었을까. 계획한 데이트를 다 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이제 그날의 기억은 희미하지만 그곳에서 누자베스의 ‘하이드아웃 프로덕션 : 퍼스트 컬렉션(Hydeout Productions : First Collection)’을 듣고 “이 노래가 내 싸이월드 bgm(배경음악)이었어”라며 웃었던 기억은 또렷하다. 미오레코드는 종로에 있다. 2016년 세운상가 1층에 터를 잡았다가 작년 맞은편 골목의 좀 더 넓직한 곳으로 이사했다. 사장은 세운상가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향 기기가 많아 이곳으로 왔다고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세운상가는 ‘전자제품의 메카’였다. 세운상가는 1967년(내가 태어나기 아주 오래전) 한국 최초로 종로 3가부터 퇴계로 3가까지 약 1km에 걸쳐 건설된 주상복합 건축물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미국의 폭격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세웠다. 광복 후 미군 부대의

    2022.10.26 09:50:53

    취향에 진심인 사람들을 위한 공간 미오레코드[MZ 공간 트렌드]
  • 나만 알고 싶은 백남준기념관 [MZ 공간 트렌드]

    종로 창신동의 한 골목, 여기저기 둘러봐도 주택뿐인 이곳에 정말로 백남준기념관이 있나 싶다. 차 한 대 간신히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길목 언저리에 차를 세우고 내리니 ‘백남준기념관’이라고 쓰인 네온사인이 눈에 들어온다. 문으로 들어서니 한눈에 다 들어올 정도로 아담한 공간이다. 이곳은 백남준이 살았던 9917㎡(3000평)가 넘는 집터 중 고작 93㎡(28평) 넓이의 한옥을 매입해 조성했다. 이전에는 식당이었다. ‘기와돌솥밥’이라는 이름을 달고 파전·청국장·보쌈 등을 팔던 한옥 식당은 2016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1년여에 리모델링을 거쳐 백남준기념관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 스토리의 주인공은 창신동 지역 주민들이다.   그의 소원이 이뤄졌다“한국에 돌아가고 싶은 것이 소원이야. 창신동에.” 백남준은 생전 창신동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자주 내비쳤다. 그가 세상을 떠나고 10여 년이 지난 2017년, 소원이 이뤄졌다. 그와는 일면식도 없는 창신동 지역 주민들 덕분에….창신동 주민들은 아이를 낳아 기르고 돌보듯이 백남준기념관 탄생 과정에 깊숙이 관여했다. 2015년 5월, 창신1동 주민협의체 대표가 백남준 집터에 있는 한옥 식당이 부동산에 매물로 나왔다는 소식을 듣곤 바로 창신숭인 도시재생지원센터와 관련 행정 기관에 이곳을 백남준 관련 전시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자고 제안한다. 이 제안은 받아들여졌다. 기념관 조성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게 된 이후에도 주민들의 관심은 끊이지 않았다. 창신1동 주민협의체에 속한 두 명이 공사 현장의 주민감독관으로 활동했고 9명의 주민이 기념관 도슨트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교육

    2022.10.26 09:41:42

    나만 알고 싶은 백남준기념관 [MZ 공간 트렌드]
  • [special]"공간 트렌드는 '경험'...온오프라인 융합 활발"

    역사가 과거와 현재를 잇듯, 공간도 마찬가지다. 공간을 통해 바라본 현시대의 트렌드와 미래 성장 가치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공간 공유 플랫폼 스페이스뱅크컴퍼니 이원희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 방향성을 가늠해봤다. [이원희 스페이스뱅크컴퍼니 대표] “당신이 소유한 것이 당신을 정의한다(You are what you own)”는 말이 있다. 자동차와 집, 그리고 옷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보여준다는 의미다. 그러나...

    2021.04.26 08:45:01

    [special]"공간 트렌드는 '경험'...온오프라인 융합 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