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 세운상가 골목에서 LP의 매력을 느끼다
음악이 듣고 싶을 때는 스마트폰을 꺼낸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앱)을 열고 톱100 앨범을 터치한다. 잔잔한 음악이 필요하다면 유튜브에 ‘퇴근 후 지친 마음을 달래 주는 음악’을 검색해 누군가 만들어 둔 플레이 리스트를 고른다. 내가 원한 분위기의 노래들이 나온다.이런 편리를 거스르는 사람들이 있다. 들고 다닐 수도 없는 턴테이블을 사고 집 밖으로 나와 레코드숍에 들르고 나만의 인생곡을 찾아서…. A부터 Z까지 LP판을 고르는 수고스러운 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과거 누군가와 레코드숍 투어를 했다. 그때 들렀던 몇 군데의 레코드숍 중 한 곳이 미오레코드다. 그때는 겨울이었고 예쁘게 보이고 싶어 짧은 치마를 입었다. 매서운 칼바람 때문이었을까, “얇게 입으니까 춥지”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었을까. 계획한 데이트를 다 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이제 그날의 기억은 희미하지만 그곳에서 누자베스의 ‘하이드아웃 프로덕션 : 퍼스트 컬렉션(Hydeout Productions : First Collection)’을 듣고 “이 노래가 내 싸이월드 bgm(배경음악)이었어”라며 웃었던 기억은 또렷하다.
미오레코드는 종로에 있다. 2016년 세운상가 1층에 터를 잡았다가 작년 맞은편 골목의 좀 더 넓직한 곳으로 이사했다. 사장은 세운상가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향 기기가 많아 이곳으로 왔다고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세운상가는 ‘전자제품의 메카’였다. 세운상가는 1967년(내가 태어나기 아주 오래전) 한국 최초로 종로 3가부터 퇴계로 3가까지 약 1km에 걸쳐 건설된 주상복합 건축물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미국의 폭격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세웠다. 광복 후 미군 부대의 공구들을 판매하는 고물상 지대였던 이곳은 이후 컴퓨터와 음향 기기 등 전자·전기 제품 일체를 취급하는 상가로 변신했다. 1980년대 젊은이들은 다양한 이유로 이곳을 발이 닳도록 드나들었다. 1980년대 레코드 붐을 타고 음반 점포가 20개 이상 늘어나기도 했지만 지금은 미오레코드 한 곳뿐이다.
미오레코드 앞에는 LP판과 ‘DRIP COFFE 3500(원)’이라고 적힌 입간판이 있다. 창 안으로 LP와 턴테이블이 보이지만 레코드숍이라는 것을 알고 애써 찾아가지 않는다면 평범한 카페라고 생각하며 지나칠 만하다. 이곳이 맞나, 지도를 보며 기웃거리는 동안 가게 안에서 내 나이 또래로 보이는 남자 하나가 입구 옆 턴테이블 앞에 서서 핀을 옮기고 헤드셋을 썼다.
겪어 본 적 없는 향수를 일으키다
미오레코드는 7080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세련된 LP숍이라기보다는 작은 골방 같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전구색 조명이 환하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벽 서가에 붙은 마리야 타케우치의 〈버라이어티(Variety)〉
LP는 클래식일까, 트렌드일까. 전 세계적으로 LP는 붐을 일으켰다. 2021년 미국 LP 판매량은 전년에 비해 50% 이상 늘었다. 앨범 판매량의 증가나 음반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는 별개로 레코드숍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을 것만 같다. 물성이 주는 영감을 아는 사람들은 언제까지나 그곳을 찾을 것이다. 그 충만함은 LP를 고르고 판을 꺼내 기계에 넣고 핀을 꽂아 지직거리는 노이즈를 듣는 과정에서 탄생한다. 한 번 그 맛을 본 사람이라면 스마트폰 스트리밍 앱의 세모난 플레이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만족할 수 없지 않을까. 미오레코드가 한때 유행처럼 지나가는 공간이 아닌 시간과 함께 흐르는 공간으로 오래 있어 주기를 바란다. 윤제나 한경무크팀 기자 zena@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