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의 도심 자율 주행 상용화에 주목하는 이유
[돈 되는 해외 주식]테슬라 AI 데이가 최근 열렸다. 테슬라가 최근 몇 년간 자율 주행 기술을 어떻게 발전시켜 왔고 향후 자체 슈퍼컴퓨터의 도입으로 그 속도가 얼마나 빨라질 수 있을지 가늠할 수 있는 자리였다.그동안 자율 주행 기술의 발전은 시장의 기대보다 훨씬 느렸다. 레벨 3 이상(운전의 책임이 운전자에서 자율 주행 시스템으로 넘어가기 시작하는 단계)의 자율 주행 서비스 출시 계획은 상당 부분 지연되고 있고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많은 연구·개발(R&D)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업체들은 사업부를 매각하기도 했다.사실 고속도로 등에서 앞차를 일정한 간격으로 따라가는 크루즈 컨트롤 등의 기능은 이미 상용화돼 있고 기술적 난이도도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도심에 들어오면 상황이 달라진다. 고속도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일이 일어나고 수많은 에지 케이스(흔하지 않은 사례)가 발생한다. 안전과 직결되는 자율 주행은 돌발 상황에 대해 시스템이 사람과 유사할 정도 혹은 그 이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자율 주행은 수많은 에지 케이스와의 싸움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모든 경우의 수를 하나하나 자율 주행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실제 도로 주행 데이터로 자율 주행 인공지능(AI)을 훈련시켜야 한다. 테슬라는 특히 경쟁사와 달리 미리 만들어진 지도나 라이다·레이다 등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범용 센서인 카메라만 이용하기 때문에 카메라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AI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테슬라의 이번 AI 데이에서 역설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완전한 자율
2021.09.01 06:00:03
-
여수동 현대트랜시스 사장, 자율주행 시대 새로운 공간 가치 창출
[100대 CEO]여수동 현대트랜시스 사장은 2019년 현대다이모스와 현대파워텍이 합병하며 출범한 현대트랜시스에 초대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여 사장이 취임하며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한 것은 ‘새로운 판로 확보와 제품 경쟁력 강화’다. 모빌리티 격변의 시대에 출범한 자동차 부품사인 만큼 생존을 위한 변화를 1순위로 꼽은 것이다. 실제로 두 회사의 합병에 따라 현대트랜시스는 수동 변속기와 자동화 수동 변속기, 자동 변속기 등 변속기 분야를 아우르는 파워트레인 영역의 강자가 됐다. 변속기 전 라인업을 생산할 수 있는 업체로는 전 세계에서 현대트랜시스가 유일하다. 내부 변화는 사업 모델 확대부터 시작됐다. 현대트랜시스는 기존 내연기관 변속기 풀 라인업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친환경·전동화 구동 시스템 모듈 영역으로 확대했다. 엔진의 발생 동력을 전달하는 파워트레인 부문에서는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전동화 라인업을 바탕으로 다수의 글로벌 완성차와 협력 관계를 확장 중이다.최근에는 아이오닉5에 최초로 탑재되는 전기차 감속기 양산을 시작했다. 전기차 감속기에 부착해 모터와 구동축을 주행 상황에 따라 분리·연결하는 기술인 ‘전기차용 AWD 디스커넥터 기술’은 현대트랜시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이다. 현대트랜시스가 기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 시대로의 변화를 선언한 시작이기도 하다. 이 기술은 1회 충전 시 주행 거리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며 현대트랜시스만의 경쟁력을 높였다. 시트 부문에서는 자율주행 환경을 준비하면서 자동차의 실내를 ‘움직이는 생활 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술력 확보에 나선다. 특히
2021.06.22 06:14:01
-
테슬라가 다음 먹거리로 배송 트럭을 찜한 4가지 이유
[테크 트렌드] “다음을 생각하라. 어떤 일을 하는 데 잘하고 있다면 거기에 오래 머무르지 말고 다른 놀라운 일을 찾아 해야 한다. 다음에 무엇을 할지 생각해 내라.” 스티브 잡스의 말이다. 전 세계 매출 1위, 자타 공인 물류 공룡인 월마트가 자율주행차 업체 크루즈에 27억500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월마트는 이미 구글 웨이모,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자율주행 부문 선두 그룹과 오래전부터 투자 관계를 ...
2021.05.13 06:51:02
-
선택의 기로에 선 국내 지능형 교통 시스템
[비즈니스 포커스]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업계의 새 장을 여는 필수 신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구축을 두고 열띤 논쟁이 한창이다. 쟁점은 C-ITS 기술 방식 선정으로, 단거리 전용 통신인 DSRC와 차량·사물 셀룰러 통신을 일컫는 C-V2X를 중심으로 두 진영이 대립하고 있다. DSRC 방식은 오랜 실증을 거쳐 검증된 기술로, 한국에선 웨이브(WAVE)라고 많이 알려...
2021.02.03 14:5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