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극기 컬러 외교’ 영국 왕세자빈 케이트 미들턴의 패션 정치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영국 왕실의 케이트 미들턴이 지난 11월 영국 런던의 호스 가드 광장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국빈 방문 환영식에서 레드 케이프 코트룩으로 왕세자빈의 위엄과 우아함을 각인시켰다. 외교에서 패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왕실이기에 의상 디자인은 물론 색상까지 뚜렷한 목적과 의도가 배어 있다고 분석된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커밀라 왕비와 케이트 왕세자빈이 우주의 균형을 상징하는 한국의 태극 문양을 연상케 하는 색을 입었다고 언급했다. 필자 또한 공감하며, 영국 국기 또한 한국의 태극기처럼 파란색과 붉은색이 상징인 만큼 한국과 영국 두 국가의 공통색을 통해 핵심 동맹국으로서 미래의 일치된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본다. 왕실의 지혜로운 패션 외교의 중심에 있는 왕세자빈은 350년 만에 영국 왕실에 입성한 평민 출신으로 ‘웨이티 케이티(기다리는 케이티)’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있다. 명문대 학위까지 가지고 있었음에도 30세가 될 때까지 제대로 된 사회활동 없이 신분 상승 욕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윌리엄 왕세자의 청혼만을 기다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업을 갖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은 파파라치 때문이라는 의견도 팽팽한 가운데 왕세자빈의 이미지 브랜딩을 패션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Appearance 강렬하고 우아한 국빈 환영 ‘올 레드룩’ 스타일 국빈 환영행사는 영국의 고위 왕족들이 참여하는 공식 의무 중에서도 가장 정점에 있는 행사로 윤석열 대통령 부부 국빈 방문 환영식장인 호스 가드 광장에서 왕세자빈의 드레스 코드는 올 레드 컬러룩이었다. 모자부터 드레스와 케이프, 구두, 핸드백까지 모두 레드 톤으로
2023.12.03 06:05:01
-
옷이 총보다 강하다…미국 퍼스트레이디의 패션 정치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한 국가 대통령의 배우자 ‘퍼스트레이디’는 해당 국가의 여성을 대표하는 유일한 지위와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당대 여성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대표적 인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퍼스트레이디는 사회 지도층의 여성으로서 대중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에 대내적·대외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패션 스타일로도 대중에게 그 이미지를 전달한다. 그만큼 퍼스트레이디의 패션 스타일과 이미지의 영향력은 시대의 흐름에 따른 대중의 관심과 함께 점점 커지고 있고 퍼스트레이디를 주제로 한 드라마나 다큐멘터리도 대거 등장하면서 화제를 몰고 있다. 최근에 필자가 흥미 있게 봤던 CNN 오리지널 다큐멘터리는 미국 역사상 크게 주목받았던 영부인의 삶을 다룬 내용이었다. 미국 최초의 유색 인종 출신 영부인 미셸 오바마부터 재클린 케네디 등 각자 이미지가 확연히 다른 여섯 명의 퍼스트레이디가 어떻게 그 무거운 자리를 지켜내는지에 관한 스토리다. 필자는 개인 이미지 관리(PI : Presidential Identity) 전문가로서 퍼스트레이디의 이미지 가치를 각자 어떻게 브랜딩하는지에 집중했고 인격과 가치관을 짐작하게 하는 퍼스트레이디의 패션도 큰 볼거리였다. 재클린 케네디, 피 묻은 샤넬 핑크 투피스로 정치적 메시지 미국의 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암살되던 1963년 11월 22일, 남편이 직접 골라준 핑크색 샤넬 투피스를 입었던 재클린은 세 개의 탄환이 발사된 그 8초 만에 모든 것을 잃었다. 재클린은 에어포스원에 탑승할 때 남편의 피로 얼룩진 옷을 계속 입고 대통령직을 승계한 린든 존슨 대통령 취임 시 그 차림 그대로 서면서 정치적 암살에 희생된 안타까움을
2023.09.17 06: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