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MF·금융위기로 탄생한 사이클, ‘진보는 상승·보수는 하락’ 법칙 시작돼[보수VS진보의 부동산①]

    [스페셜리포트: 보수의 부동산 VS 진보의 부동산…정권별 주택시장, 어떻게 변했나]“집값이 귀신같이 떨어졌다.” 지난 2022년 6월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자 나온 말이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지 채 몇 달이 안 돼서였다.부동산 투자자들 사이에선 전부터 “보수 정부가 집권하면 집값이 떨어지고 진보가 집권하면 오른다”는 말이 오가고는 했다. 아이러니한 현상이었다. 보수는 성장을, 진보는 분배를 추구하는데 결과는 정반대였기 때문이다.진보 집권기에는 주택 시세가 가파르게 오르며 주택 보유자와 비(非)보유자 간 양극화를 심화시켰다. 보수 집권기에는 온갖 부양책을 내놨지만 효과는 크지 않았다. 부동산 시장은 유권자들의 예측, 또는 기대와 다르게 흘러간 측면이 컸던 셈이다.이 같은 현상이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해석은 제각각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대외변수에 따른 경기 등 거시경제가 부동산 시장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어느 정부든 주택가격의 급등락이 없는 ‘안정된 시장’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정책은 시장의 흐름에 따라 나온 결과적 측면이 크다는 얘기다.한국 경제는 1997년 말 IMF 외환위기와 2008년 리먼브러더스발 금융위기라는 두 번의 큰 충격을 받아야 했다. 이로 인해 경기는 침체와 회복에 따른 호황이라는 사이클을 반복했다. 경기의 파고 속에서 부동산 시장은 매우 탄력적으로 움직였다. ‘억대’가 넘게 오르내리는 가격과 임차가 가능하다는 상품 특성에 따라 상승기에는 투기부터 미래의 잠재수요까지 시장에 진입하는 반면, 하락기에는 내 집이 필요한 실수요자도 매매

    2024.02.05 06:00:01

    IMF·금융위기로 탄생한 사이클, ‘진보는 상승·보수는 하락’ 법칙 시작돼[보수VS진보의 부동산①]
  • 수도권 집주인 12.8% “내년 집값 오른다”…전년 比 7.7%p↑

    내년 현 거주지의 부동산 시세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지역 집주인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데스개발은 대우건설, 이지스자산운용, 한국자산신탁, 해안건축과 공동으로 더리서치그룹을 통해 35~69세 수도권 주택 소유자 10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현 거주지의 향후 1년 부동산 시세 전망’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12.8%가 올라갈 것(‘약간 올라갈 것’, ‘많이 올라갈 것’ 응답 합계)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5.1%가 집값 상승을 점친 것보다 7.7%p 높아진 셈이다. 반면 내려갈 것(‘약간 내려갈 것’, ‘많이 내려갈 것’ 응답 합계)이라고 답한 비율은 지난해 63.3%에서 올해 34.5%로 28.8%p 감소했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집값이 올라갈 것을 예상한 응답률은 2018년 19.0%를 기록한 이후 2019년 21.9%로 높아진 뒤 2020년 46.3%, 2021년 53.5%로 치솟았다. 그러나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과 이어진 금리인상 여파로 인해 주택경기가 위축되며 5.1%까지 급감한 바 있다. 그러다 올해 조사에서 다시 소폭 반등한 셈이다. 공동조사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수도권 주택 소유자들은 내년 부동산 경기와 시세가 올해보다 더 나빠지지는 않고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합을 점치는 의견이 가장 많은 가운데 여전히 시세 하락을 예상한 응답률 또한 높았다. 올해 세부 응답률을 보면 ‘지금과 비슷’이 52.7%로 가장 높았으며 ‘약간 내려갈 것’과 ‘많이 내려갈 것’이 각각 30.5%, 4.0%를 기록했다. ‘많이 올라갈 것’은 0.3%, ‘약간 올

    2023.11.14 16:57:21

    수도권 집주인 12.8% “내년 집값 오른다”…전년 比 7.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