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 일상 홀로서기 위한 '5개년 종합계획' 발표···800개 일자리·임대주택 공급 등



[캠퍼스 잡앤조이=김정민 인턴기자] 서울시가 중증 장애인들의 홀로서기를 위해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총 800개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서울시는 ‘장애인자립생활지원 5개년 계획’을 25일 발표했다. 그동안 시행해 온 자립지원 정책을 일상생활, 이동, 주거, 경제활동, 문화?여가생활 등에 있어 전방위적으로 확대?강화해 완전한 홀로서기가 실현되도록 지원한다는 목표다.


우선 중증발달장애인에 대한 공공일자리를 처음으로 신설한다. 공공도서관 사서 보조 300명, 장애인 인식개선 양성?파견(장애극복 사례 등 경험 전달) 200명, 공공자전거 ‘따릉이’ 클린서비스(살균?소독 등 세척) 300명 등 일자리 800개가 우선적으로 만들어진다. 또 현장중심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신설해 2022년까지 500명 규모로 구직 인력풀을 구축하고 맞춤형 일자리도 매칭할 계획이다.


저소득 중증장애인을 위한 안정적인 보금자리 지원도 확대한다. 임대주택을 매년 1300가구씩 제공하여 2022년까지 65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또 65세 이상 고령 장애인 돌봄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하고, 평생교육에서 소외됐던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센터’를 2022년까지 25개 전 자치구에 설치한다. 현재 시각장애인 등 일부만 이용 가능한 ‘장애인 바우처 택시’를 내년부터 모든 장애유형으로 확대해 이동 편의를 강화한다.


일상생활 지원도 강화된다. 먼저 활동지원서비스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2022년까지 최중증 독거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서비스 대상자를 3배로 늘려 올 100명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300명으로 늘린다. 출산?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 장애인을 위한 신생아 양육서비스를 월 120시간에서 월 180시간으로 늘리고, 만 4세 미만 아동은 월 70시간에서 180시간으로 2배 이상 늘린다. 시설에서 나온 탈시설 장애인, 만 65세 이상 고령 장애인 등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들에 대한 생활?건강 분야 지원을 확대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내 거점인 ‘자립생활(IL, Independent Living)센터’를 서울시내 총 45개소 지원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확대하고, 인력도 5년 간 191명을 확충한다.


황치영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서울시가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지속 추진해왔음에도 사각지대는 잔존하고 장애인 당사자들의 일상생활과 사회활동 욕구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특히 지역사회 내에서 일상?주거?경제?문화생활을 자유롭게 누리는 온전한 홀로서기를 희망하는 자립욕구에 지속적으로 귀 기울여 종합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kelly77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