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잔혹사를 미국에 알린다

무명배우들이 일궈낸 ‘20년 만의 브로드웨이行’

창작극 ‘꽃신’ 구로 예술나무 씨어터서 시범 공연


역사를 기억하고 바로잡기 위한, 세상을 바꾸기 위한 무명배우들의 도전, <배우공장 브로드웨이 프로젝트 : 연극 ‘꽃신’>이 11월 19~20일 양일간 ‘구로 예술나무 씨어터’에서 선을 보인다.


연극 ‘꽃신’은 대한민국 연극으로는 20년 만에 처음으로 공연의 ‘메카’ 브로드웨이에 입성한다. 이번 서울 공연은 국내 관객을 대상으로 한 ‘출국 심사’인 셈이다.


총 제작비 2억 5천만원, 제작기간 6개월에 달하는 브로드웨이 프로젝트 ‘꽃신’은 독립운동가와 일본군위안부를 소재로 사실적인 연기와 다양한 표현방식을 적절히 구성했다. 극단 ‘배우공장’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브로드웨이 관객들에게 일제강점기 잔혹한 역사를 알리고, 대한민국 국민들의 사회적인 움직임을 촉구할 예정이다.



무명배우들이 일궈낸 ‘20년 만의 브로드웨이行’… 창작극 ‘꽃신’ 국내서 시범 공연



우리나라 연극은 1996년 극단 ‘토박이’의 ‘금희의 오월’(광주민주화운동 배경)이 오프브로드웨이에서 공연한 이후 20년간 자취를 감췄다. 뮤지컬, 퍼포먼스 공연들이 몇차례 브로드웨이의 문턱을 넘었지만 연극은 그러지 못했다. 침체된 대학로와 우리 연극의 부흥을 위해 20년 만에 창작극 ‘꽃신’이 브로드웨이에서 그 명맥을 잇는다.


‘꽃신’의 브로드웨이 공연은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큰 공연이다. 잊고 살았던 독립운동가와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공연의 메카 브로드웨이에서 공연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일본의 반인륜적 행위를 세계에 널리 알릴 예정이다.


또한 나라를 지키려 했던 조상님(‘독립운동가’)들의 애국정신을 기억하는 일과 역사를 바로잡는 일(‘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중요성을 깨우치는 노력에서만 그치지 않고, 공연수익금 전액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기부할 예정이며, 뉴욕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는데 일조할 예정이다.


총 27명(A팀 배우 10명, B팀 배우 10명, 스태프 7명)이 2016년 7월부터 제작한 연극 ‘꽃신’은 2016년 5월에 대학로에서 초연한 창작극이다. 브로드웨이로 향하는 만큼 원작을 ‘독립운동가’와 ‘일본군위안부’의 관점으로 각색해 2개의 공연으로 완성했다.



무명배우들이 일궈낸 ‘20년 만의 브로드웨이行’… 창작극 ‘꽃신’ 국내서 시범 공연



독립운동가의 관점으로 각색된 A팀의 공연은 ‘영등포 경시청 폭파사건’을 둘러싸고 있는 조선인들의 일제 협력과 민족 배신, 독립운동가들의 혈투를 역사적 기록에 근거하여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일본군위안부’의 관점으로 각색된 B팀의 공연은 일본경찰에 의해 압송된 ‘미희’가 위안소에서 겪는 일본군의 만행과 그녀를 찾기 위한 ‘춘식’의 간절한 노력을 교차로 진행하는 구성방식을 통해 섬뜩한 긴장감을 연출했다.


창작극 ‘꽃신’은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주제를 입체적이고 다양한 표현방식을 통해 연출해 색다른 볼거리와 감동을 선사한다. 영상연기연구소 배우훈련단체 ‘배우공장’ 의 대표이자 연극 ‘꽃신’ 의 연출 최희석은 스타니슬라브스키의 메소드 훈련방식으로 배우들의 사실적인 연기를 이끌어 냄과 동시에 브레히트의 서사적 연기방식으로 사실적인 연기와 표현적인 기법으로 극을 연출했다.


영상연기연구소 배우훈련단체 배우공장의 전무 김이삭은 이 프로젝트의 다큐멘터리 연출을 맡아 연극 ‘꽃신’ 의 오디션부터 미국 브로드웨이로 넘어가는 일련의 모든 과정들을 픽션없이 영상에 담아내기 위해 영상제작업체 ‘퍼블리칸 비디오’ 와 협력하여 매주 월요일, 목요일 페이스북 및 유튜브, 네이버 TV캐스트에 영상을 송출하고 있다.


극단 ‘푸른해’의 대표이자 샌드아티스트 정명필이 선보이는 ‘샌드아트’는 양팀의 극 사이사이에 등장하여 관객들의 이해를 돕고, 몰입감을 높여준다. 폭력성이 짙거나 우회적인 표현이 필요한 장면에는 안무가 김정윤이 디자인한 표현적인 움직임들을 삽입하여, 극의 흐름을 끊지 않고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효과를 냈다. 음악감독 정종찬의 OST ‘바람’은, 잊혀져가는 ‘독립운동가’와 세상을 떠나신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넋을 ‘가지마오’라는 후렴구 반복을 통해 위로하고 있다.


▶ 뮤직비디오

https://youtu.be/tcmsSpZyQcA

▶ 공연정보

국내 : 11월 19(토)~20일(일), 오후 3시, 7시 [구로 예술나무 씨어터] 무료.

미국 : 12월 16(금)~24일(토) [American Theatre of actors]

▶ 공연문의

010-8963-2029 (전무 김이삭)


이도희 기자(tuxi0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