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스 레터] '저성과자 해고'에 대해 질문을 받는다면


Editor's Letter


‘저성과자 해고’에 대해 질문을 받는다면


취준생 대부분은 ‘저성과자 해고’에 대해 부정적이겠지요. 원하는 기업에 지원했다가 떨어질 때마다 ‘저성과자조차도 되지 못한 나는 뭔가’라는 열패감에 빠질테니 말입니다. 취준생의 가장 큰 소원은 ‘해고당하는 것’라고 하듯이, ‘저성과자’라도 되고 싶은 심정입니다. 그렇지만 면접장에서 ‘저성과자 해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질문을 받을 때 뭐라 답해야 할지, 모범답안을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전략을 짜 봅시다. 면접장에서 질문을 하는 사람은 대개 간부급입니다. 실무부서의 팀장급, 그리고 임원급 정도 되겠지요. 이 사람들은 저성과자 해고에 대해 심정적으로 찬성하는 사람들입니다. 간부가 됐다는 것은 ‘저성과자’ 동기들을 제치고 ‘고성과자’로 평가받았기 때문이니까요. 또 자기가 맡은 부서가 고성과를 내려면 ‘고성과자’들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답하면 예쁨을 받을 수 있을까요. 저라면 이렇게 답하겠습니다.


“저는 프로야구를 즐겨보는데, 볼 때마가 야구가 자본주의의 축소판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기업에서는 월간, 분기별, 연간으로 실적을 평가하지만, 야구에서는 이것이 하루에 벌어집니다. 최고경영자(CEO)는 3년의 임기 동안 실적을 평가받지만, 야구선수는 세 경기만 부진해도 주전 자리를 내줘야 합니다. 아무리 베테랑 선수라도 일주일 동안 안타를 하나도 못 치거나, 몸값 높은 투수가 등판할 때마다 점수를 내준다면 선발 기회를 줄 수 없을 겁니다. 순위 싸움이 너무 치열하기 때문에 온정적으로 대해서는 팀이 이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대신 ‘저성과자’를 평가할 수 있는 공정한 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프로야구 선수가 부진한 성적으로 주전에서 빠지더라도 순순히 받아들이는 것은 개인의 성적이 객관적으로 데이터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국 사회에는 아직 이런 공정함이 정착되지 않았습니다. 커피 전문점에 갔을 때 줄을 서는 것은 당연하게 받아들입니다. 사람이 많으니까요. 그런데, 나보다 늦게 온 사람이 먼저 주문을 한다면 피가 거꾸로 솟을 겁니다. 공정하지 않으니까요.


미국에선 권력서열 2위인 존 케리 국무장관(부통령은 뭐 하는 사람일까요?)이 출장으로 집을 비운 사이 눈을 치우지 않았다가 이웃의 신고로 경찰이 벌금 50달러를 부과했습니다. 한국에서라면 눈을 치우지 않은 경찰서장이 잘리지 않았을까요?(시장·구청장은 야당일 수 있으므로 경찰서·소방서가 하겠지요.) 한국에서는 ‘다양한 경력을 갖춘 외교관을 뽑자’며 채용을 다변화했더니 현직 장관 딸이 뽑히기도 했습니다. ‘저성과자 해고’가 시대적 흐름이라면 받아들여야 하겠지만, 평가에 대한 공정성을 갖추는 게 선결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캠퍼스 잡앤조이> 독자들은 이미 다 아는 얘긴데, 괜한 훈수를 둔 건 아니겠지요?

우종국 취재편집부장 xyz@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