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길·이인석 스틸브로 공동대표
철강소재 탈지 및 슬리팅 일원화로 소재 가공 시간 및 비용 동시 절감

김종길(41) 대표는 “스틸브로를 거치면 소재가공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모두 절감된다”고 강조했다. 비결은 스틸브로만의 탈지 설비다. 대개 도유(기름칠)가 돼 있는 소재를 사용할 때는 탈지 설비를 갖춘 업체에 한 번 탈지 가공을 의뢰한 후 슬리팅(코일의 폭을 조절해 잘라주는 작업) 재가공을 해야 한다. 스틸브로는 이 탈지와 슬리팅을 일원화 했다.
김 대표는 2005년 포스코 코일센터에서 시작해 15년간 철강영업을 했다. 하지만 영업특성상 원치 않는 접대 자리에 참석해야 때가 많았고 스스로 즐거운 일을 찾고 싶었다. 그러던 차에 이직 후 같은 팀 팀원으로 이인석(35) 공동대표를 만났다. 김 대표는 “이 대표가 어리고 영업경력도 짧지만 실력이 출중하고 ‘즐겁게 일하자’라는 데 뜻이 맞아 마침내 2018년 스틸브로를 공동 창업했다”고 설명했다.
“중소업체가 수많은 철강 유통사들 사이에서 고객사를 늘려가려면 단가경쟁이 아닌 다른 무기가 필요했어요. 그 답을 ‘커스터마이징’에서 찾았습니다.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을 직접 만들어주는 거죠.”
스틸브로는 원소재 업체와도 거래한다. 예를 들어 포스코 등 대형건설사로부터 소재를 받아 이들이 원하는 대로 가공해 다시 납품하는 식이다. 비결은 고객과의 유대감에 있다. 13년간 철강영업 외길을 걸은 김 대표는 그동안 만난 건설사 담당자들에게 일일이 연락해 기성 업체들이 ‘굳이’ 힘들여 시도하지 않는 커스터마이징을 제시하며 틈새를 공략했다.

세무회계 관련 멘토링도 도움이 됐다. 김 대표는 “초기 창업가에게 특히 어려운 게 세무와 회계인데 인천대에서 소개받은 멘토에게 일대일로 질문해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두 공동대표는 그들의 창업신념 그대로 ‘직원을 위한 회사’를 꾸려가고 있다. 대표적인 게 자유로운 휴가 사용이다. 샌드위치 휴무에는 무조건 쉬도록 고정휴무제도도 운영한다.
“창업을 했을 때 둘이 얘기했던 게 우리가 직원으로서 느낀 부당함을 되돌려주지 말자는 거였어요. 특히 회사에 이익이 생기면 철저히 직원들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스틸브로는 중국, 베트남 수출도 준비 중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도움으로 현재 중국 수출 협의단계에 들어갔다. 김 대표는 “건설자재 시장에서 기존 업체들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품질”이라며 “특히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에 많이 진출해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설립일: 2018년 10월 10일
주요사업: 철강재 도소매
성과: 매출 29억9900만원(2018), 225억2800만원(2019), 185억8800만원(2020)
tuxi0123@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