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애경산업, 3분기 영업익 152억원…전년比 146.1%↑

    애경산업은 연결재무제표기준 2022년 3분기 매출액 1,617억원, 영업이익 152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1%, 영업이익은 146.1% 증가했다고 밝혔다.애경산업의 2022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4433억원, 영업이익은 38.5% 증가한 273억원을 기록했다.국내외 경영환경 악화, 중국의 봉쇄정책 장기화 등 어려운 사업환경 속에서도 국내외 디지털 채널 강화 및 글로벌 영역 확장,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이를 극복했다.화장품 사업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한 551억원, 영업이익은 62% 증가한 87억원을 기록했다. 화장품 사업은 중국의 봉쇄정책 장기화와 소비 침체 영향에도 틱톡, 콰이쇼우 등 성장하고 있는 동영상 플랫폼 신규 진출을 통해 이를 극복했다. 또한 중국 외 일본,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다변화의 성과로 실적이 개선됐다.생활용품 사업의 3분기 매출액은 10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65억원으로 715.3% 증가했다. 생활용품 사업은 제품 포트폴리오 개선 효과와 글로벌 사업 성장에 힘입어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퍼스널 케어 및 섬유유연제 카테고리의 꾸준한 성장으로 제품 포트폴리오가 강화되고, 글로벌 신규 채널 진출을 통한 매출 확대로 글로벌 실적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애경산업은 코로나 이후 지속되는 국내외 경영환경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채널 강화 및 글로벌 확장, 포트폴리오 다변화, 프리미엄 제품 출시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2022.11.03 14:21:33

    애경산업, 3분기 영업익 152억원…전년比 146.1%↑
  • 카카오, 3분기 영업익 1503억원…전년比 11%↓

    카카오가 K-IFRS(한국국제회계기준) 기준 2022년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 늘어난 1조858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1503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8.1%다.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9869억원이다.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4674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 중 비즈보드, 카카오톡 채널 등 톡비즈 광고형 매출은 광고 시장의 성장 둔화 및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4% 감소했으나, 톡채널 매출의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18% 성장했다. 선물하기, 톡스토어 등 톡비즈 거래형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4%,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포털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한 1098억원이다. 플랫폼 기타 부문 매출은 이동 수요 확대 및 카카오페이 매출 연동 거래액의 꾸준한 증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61% 성장한 4098억원을 기록했다.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8718억원이다. 스토리 매출은 경영 효율화를 위한 프로모션 축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6% 성장한 2313억원을 기록했다. 뮤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2502억원이며,  미디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941억원이다. 게임 매출은 29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했다.  한편, 카카오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서비스로서 이에 부합하는 책무에 소홀함이 없도록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관련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 발표하고, 이용자와 파트너를 포함한 이해 관계자에 대한 보상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불황 등 녹록지 않은 경영 환경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이용자의 사용성과 서비스 안정

    2022.11.03 08:51:26

    카카오, 3분기 영업익 1503억원…전년比 11%↓
  • LG엔솔이 효자 노릇 ‘톡톡’…LG화학, 역대급 실적

    LG화학이 2022년 3분기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배터리, 첨단소재 등 신사업에서 성과를 내며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LG화학은 올해 3분기 매출액 14조1777억원, 영업이익 901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3.8%, 23.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화학부문은 매출 5조4931억원, 영업이익 926억원을 기록했다. 유가 상승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 감소세로 주요 제품의 스프레드가 악화되며 수익성이 하락했다. LG화학은 4분기는 글로벌 수요 부진 지속 및 공급 증가 등으로 어려운 시황이 예상되지만 올해 하반기를 저점으로 향후 점진적인 시황 회복을 예상했다.첨단소재부문은 매출 2조5822억원, 영업이익 4158억원을 기록했다. 전지재료 출하 확대 및 판가 상승에 따른 매출 성장세가 지속됐으며, IT·반도체 전방시장 악화속에서도 양극재 사업 비중이 확대되며 수익성 규모도 확대됐다. 4분기에는 메탈 가격 하락에 따른 양극재 매출 감소가 예상되지만, 향후 안정적인 출하 물량 증가로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생명과학부문은 매출 2,252억원, 영업이익 58억원을 기록했다. 성장호르몬, 유셉트 등 주요 제품의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중국 에스테틱 사업 회복 지연 및 R&D 연구·개발비 집행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하락했다. 4분기는 백신 및 성장호르몬 등 주요 제품 출하 확대로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신약 과제 임상 진행에 따른 R&D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에너지솔루션은 매출 7조6482억원, 영업이익 5219억원을 기록했다. 유럽 및 북미 고객사 수요 개선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출하량 증가 등으로 분기 최대 매출을 달

    2022.11.01 07:31:11

    LG엔솔이 효자 노릇 ‘톡톡’…LG화학, 역대급 실적
  • 아모레퍼시픽, 3분기 영업익 188억원…전년比 62.6%↓

    아모레퍼시픽은 올 3분기 매출 9364억원, 영업이익 188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2.6% 줄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전체의 경우 1조218억원의 매출과 3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15.9%, 영업이익은 36.2% 감소했다. 그룹 관계자는 "아모레퍼시픽은 악화된 국내외 경영환경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라고 설명했다. 국내 사업은 면세 채널 부진의 영향으로 18.6% 하락한 587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면세 등 수익성이 높은 채널의 매출이 하락하며 영업이익도 감소했다. 그러나 순수 국내 e커머스 채널의 화장품 매출은 10% 이상 증가해 ‘디지털 대전환’의 성과가 확대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해외 사업은 중국 소비 둔화의 여파로 아시아 지역 매출이 하락하며 12.8% 감소한 334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러나 중국을 제외한 기타 아시아 시장에서는 설화수, 라네즈, 이니스프리 등 주요 브랜드가 선전하며 약 20%의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무엇보다 올해 내내 이어진 북미 시장의 성과가 더욱 확대되며 기대감을 높였다. 주요 브랜드의 경쟁력이 강화되며 북미 전체 매출이 97%나 성장한 것이다. 주요 자회사들은 브랜드 및 제품 경쟁력 강화와 온라인 채널 판매 호조로 인해 매출과 이익이 대부분 성장했다. 이니스프리는 온라인 매출이 확대되며 매출 성장과 흑자 전환을 이뤄냈다. 에뛰드는 면세 채널 철수의 영향으로 전체 매출이 소폭 하락했지만 채널 믹스 개선으로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에스쁘아는 페이스 메이크업 카테고리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하며 영업이익이 큰 폭으

    2022.10.31 16:27:33

    아모레퍼시픽, 3분기 영업익 188억원…전년比 62.6%↓
  • 현대모비스, 3분기 매출 13.2조 ‘역대 최대’

    현대모비스가 완성차 생산량 회복으로 인해 제품 공급이 증가하면서 올해 3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현대모비스는 3분기에 매출액 13조1804억원, 영업이익 5760억원, 당기순이익 5599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9% 증가했다.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25.9%, 4.6%씩 늘었다.글로벌 반도체 수급 이슈가 일부 완화되며 완성차 생산량이 회복됨에 따라 모듈과 핵심부품 공급이 확대된 것이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특히 친환경차에 적용되는 전동화 부품 생산이 많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부연했다.사업 부문별로는 모듈·핵심부품 부문에서 10조596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7.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전동화 부품 매출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4919억원으로 62.7% 늘었다. 애프터서비스(AS) 사업도 북미와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수요 증가로 3분기에 2조5845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한 수치다.현대모비스는 현대자동차와 기아를 제외한 글로벌 완성차를 대상으로 핵심부품을 수주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3분기 누적 글로벌 수주금액은 33억3000만 달러(약 4조7000억원)다. 연간 수주 목표 금액인 37억4000만 달러의 90% 정도를 달성했다.지난 3분기 양산을 시작한 메르세데스-벤츠의 전기차 섀시모듈 공급을 시작으로 해외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현대모비스는 북미 전동화 시장 대응을 위해 총 5곳의 전기차 전용부품 생산거점을 신규 구축한다. 우선 현대모비스는 전기구동장치(PE) 시스템과 배터리시스템 등 총 3개 공장을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

    2022.10.29 06:00:06

    현대모비스, 3분기 매출 13.2조 ‘역대 최대’
  • LG전자, 3분기 영업익 7466억원…전년比 25.1%↑

    LG전자가 연결 기준으로 올 3분기 매출 21조1768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분기 중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했다.H&A사업본부는 매출 7조4730억원, 영업이익 228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역대 3분기 중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국내를 비롯한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물류비 부담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다.HE사업본부는 매출 3조7121억원, 영업손실 554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TV 수요 감소와 지속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유럽 내 소비심리 위축 영향으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2% 하락했고, 매출액 감소 영향과 경쟁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로 영업손실이 발생했다.VS사업본부는 매출 2조3454억원, 영업이익 961억원을 기록했다. LG전자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전장사업 매출액은 분기 사상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45.6% 증가했다. 완성차 업체의 생산 확대에 대한 적극 대응과 효과적인 공급망 관리를 통해 2분기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인포테인먼트, 전기차 파워트레인, 차량용 조명 시스템 등 모든 사업 영역의 매출 성장과 지속적인 원가 구조 개선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BS사업본부는 매출 1조4292억원, 영업손실 14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등 B2B 시장 수요 회복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했다.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2022.10.28 15:10:27

    LG전자, 3분기 영업익 7466억원…전년比 25.1%↑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0조8500억원…전년比 31.4%↓

    삼성전자가 연결 기준으로 매출 76조7800억원, 영업이익 10조8500억원의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7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31.4% 급감했다. DS(Device Solutions) 부문은 매출 23조200억원, 영업이익 5조1200억원을 기록했다. 메모리는 예상을 상회하는 고객사 재고 조정과 중화권 모바일 등 소비자용 메모리 제품군의 수요 둔화세 지속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감소했다.시스템LSI는 모바일, TV 등의 수요 둔화 여파로 이익이 감소했지만, 파운드리는 지속적인 첨단 공정 수율 개선과 성숙 공정의 매출 기여 확대로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DX(Device eXperience) 부문은 매출 47조2600억원, 영업이익 3조5300억원을 기록했다. MX는 폴더블 등 플래그십과 웨어러블 신모델 판매가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부정적 환영향 지속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자원 운용 등으로 견조한 수익성을 기록했다. 생활가전은 판매 믹스를 개선했으나 소비 부진 속에서 재료비와 물류비 부담이 지속됐다.VD(영상디스플레이)는 프리미엄 중심 판매 확대를 통해 시장 리더십을 강화했으나 수요 감소와 비용 증가 영향으로 이익이 감소했다.SDC는 매출 9조3900억원, 영업이익 1조9800억원을 기록했다. 중소형은 폴더블을 포함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기술 차별화를 통해 주요 고객사가 출시한 신제품 내 점유율이 증가하면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대폭 성장했다.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2022.10.27 09:14:37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0조8500억원…전년比 31.4%↓
  •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조6556억원…전년比 60.5%↓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매출 10조9829억원, 영업이익 1조6556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지난해 2분기 대비 매출은 20.5%, 영업이익은 60.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조1027억원(순이익률 10%)이다. SK하이닉스는 "전 세계적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D램과 낸드 제품 수요가 부진해지면서 판매량과 가격이 모두 하락,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신 공정인 10나노 4세대 D램(1a)과 176단 4D 낸드의 판매 비중과 수율을 높여 원가경쟁력이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원가 절감폭보다 가격 하락폭이 커서 영업이익도 크게 줄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실적발표를 통해 SK하이닉스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전례 없는 시황 악화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이는 메모리 주요 공급처인 PC,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출하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다만, SK하이닉스는 데이터센터 서버에 들어가는 메모리 수요는 단기적으로 감소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꾸준히 성장세를 탈 것으로 내다봤다.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새로운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대형 데이터센터 업체들이 이 분야 투자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 제품인 HBM3와 DDR5/LPDDR5 등 D램 최신 기술을 선도하고 있어, 장기 성장성 측면에서 회사의 입지가 확고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회사는 "올해 3분기 업계 최초로 238단 4D 낸드를 개발했고, 내년에 양산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원가경쟁력을 확보해 수익성을 지속 높여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한편, SK하이닉스는 공급이 수요

    2022.10.26 08:43:51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조6556억원…전년比 60.5%↓
  • 현대차 3분기 매출 ‘역대 최고’…정의선 회장은 미국행

    현대자동차가 올해 3분기 37조원대 매출을 기록해 역대 최고의 경영 실적을 거뒀다. 현대차는 ‘2022년 3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6% 증가한 37조7054억 원이라고 24일 밝혔다. 현대차 매출 증대의 가장 큰 요인은 판매 증가다. 올해 3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02만500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14.0% 증가한 수준이다. 내수 시장(16만2439대)에선 5% 성장에 그쳤지만, 해외 판매(86만2569대)는 전년 동기 대비 15.9% 늘었다. 북미시장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했다. 차종별로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량이 지난해 3분기보다 14.0% 늘었다. 판매 비중(50.6%)도 절반을 넘겼다.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 판매량도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전기차 글로벌 판매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1% 늘었다. 아이오닉5 판매 확대, GV60·아이오닉6의 신차 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영업이익은 1조5518억 원을 기록했다. 결함이 발견된 엔진 보상 비용(1조3602억 원)을 반영하면서 지난해 3분기 대비 3.4%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4.1%로 지난해 같은 기간(5.6%)보다 1.5%포인트 떨어졌다. 3분기 누계 기준(1~9월) 실적은 △판매 290만 4049대 △매출액 104조39억원 △영업이익 6조4605억원으로 집계됐다.한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미국 조지아주에서 열리는 첫 전기차 전용공장 착공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날 오후 김포국제공항에서 전용기를 타고 미국으로 출국했다. 정 회장의 미국행은 올해만 6번째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올해 5월 55억 달러(약 7조9300억 원)를 투자해 미국에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

    2022.10.25 06:00:03

    현대차 3분기 매출 ‘역대 최고’…정의선 회장은 미국행
  • 포스코홀딩스, 태풍 직격탄에 영업익 71% ‘뚝’

    포스코홀딩스가 태풍 힌남노로 인한 포항제철소 침수로 3분기 실적에 직격탄을 맞았다. 포스코홀딩스는 2022년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한 92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0월 19일 밝혔다. 매출액은 21조2000억원으로 2.9% 늘었다.포스코홀딩스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철강시황 부진과 냉천 범람 영향으로 철강 부문에서의 이익이 감소해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포스코홀딩스는 냉천 범람으로 인한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생산 및 판매 감소 영향 2221억원, 재고 손실 등 일회성 비용 1860억원, 그외 포항지역 사업회사들의 일부 설비 피해 274억원 등 4355억원의 영업손실을 입었다.포항제철소 복구 계획에 대해서는 현재 1열연, 1선재, 1냉연, 2전강, 3전강, 3후판 등 6개 공장 재가동을 완료했다. 11월에는 2후판, 3선재, 4선재, 전기도금, 12월에는 2열연, 2냉연, 2선재, 스테인리스 2냉연을 가동해 연내 전 제품 생산을 재개하고 광양제철소 최대 증산으로 고객 요청에 적시 대응해 국내 철강 수급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포스코는 냉천 범람 영향 외에도 철강시황 부진으로 인한 판매 가격 하락과 원료비 상승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했다. 해외 철강 역시 시황 악화 및 판매량 감소로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 이익이 모두 하락했다.친환경 인프라 부문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철강 원료 판매 부진, 우크라이나 곡물 판매 중단 △포스코건설의 자재가 상승으로 이익이 감소했다. 다만 △포스코에너지는 전력 수요 증가와 가동률 상승,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의 수익성 개선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 영업 이익이 모두 상승했다. 친환경 미래소재 부문인 △포스코케미

    2022.10.24 16:31:32

    포스코홀딩스, 태풍 직격탄에 영업익 71% ‘뚝’
  • 포스코케미칼, 3분기 매출 1조원 돌파…‘배터리 소재가 69% 차지’

     포스코케미칼이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 1조원을 넘어섰다. 배터리 소재 사업 확대에 힘입어 9분기 연속 최대 매출을 경신하고 영업 이익도 분기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포스코케미칼은 10월 24일 2022년 3분기 매출액 1조533억원, 영업이익 818억원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8.6%, 영업 이익은 159.9% 증가했으며,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 31.1%, 영업이익 48.1% 증가한 수치다.배터리 소재 사업은 3분기 726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양·음극재 판매량 확대와 판매 단가 상승으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38.9%, 전분기 대비 56.3% 증가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3분기 42.5%에서 1년만에 69%로 높아졌다.배터리 소재 사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극재 부문 매출은 전분기 대비 57.4% 증가한 6583억원을 기록했다.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량이 늘어나고 에너지 저장 장치(ESS)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전체 판매량이 전분기비 25% 증가했다.리튬·니켈 등의 원료 가격 상승이 판매 단가에 반영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큰 폭으로 상승했다. 2분기부터 연결 편입된 절강포화도 3분기 960억원의 실적을 올려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음극재 부문은 3분기 684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분기 대비 47.1%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전기차 배터리용 제품 판매 확대로 전체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27% 늘어났으며 원료 가격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 효과로 매출액과 수익성이 큰 폭으로 높아졌다. 전기로용 전극봉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생산하는 자회사 피엠씨텍은 유분 판매량 증가로 전분기 대비 6% 증가한 637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영업이익률 14.5%를 기록

    2022.10.24 15:50:12

    포스코케미칼, 3분기 매출 1조원 돌파…‘배터리 소재가 69% 차지’
  • LG전자, 3분기 영업익 7466억원…전년比 25.1%↑

    LG전자가 2022년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LG전자는 연결기준으로 올 3분기 매출 21조1714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을 달성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0%, 25.1% 증가했다.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다. 연결기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실적은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다.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2022.10.07 14:47:09

    LG전자, 3분기 영업익 7466억원…전년比 25.1%↑
  • 4대 금융지주, 이자 확 늘어 상반기 9조 벌었다

    주요 금융지주가 가파른 금리 상승 속에 이자 수익을 크게 늘리면서 올해 상반기(1∼6월) 9조 원에 육박하는 호실적을 달성했다.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는 상반기 합산으로 8조9662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금까지 최대 반기 실적이었던 지난해 상반기 8조909억 원보다 10.8% 늘어난 수치다. 리딩 금융 그룹은 근소한 차이로 KB금융이 차지했다. KB(2조7566억 원), 신한(2조7208억 원), 하나(1조7274억 원), 우리(1조7614억 원) 등으로 집계됐다. 호실적의 원동력은 이자 이익이었다. 4대 금융지주의 상반기 이자 이익 합계(18조8671억 원)는 1년 전과 비교해 19.2% 증가했다. 이자 이익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가 커질수록 늘어난다. 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여신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이자 이익이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4대 금융지주의 상반기 순이자이익과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KB(5조4418억 원‧18.7%), 신한(5조1317억 원‧17.3%), 하나(4조1906억 원‧18.0%), 우리(4조133억 원‧23.5%)으로 나타났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2.07.24 06:00:03

    4대 금융지주, 이자 확 늘어 상반기 9조 벌었다
  • IBK기업은행, 상반기 순익 1조2264억원…전년 보다 1% 성장 그쳐

    IBK기업은행은 올해 상반기(1~6월)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1조2264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함께 발표된 별도 기준 당기순익 규모는 1조360억 원이다.기업은행 측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위기극복을 위한 지원 노력이 은행성장의 선순환으로 이어졌다”며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대손충당금을 충분한 수준으로 적립해 향후 여신건전성 등 미래위험에 대비한 손실흡수 능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했다”고 말했다.중기대출 잔액은 2분기 말 기준 전년말 대비 4.8%(9조8000억원) 증가한 213조7000억 원, 시장점유율은 22.8%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0.15%포인트(p) 감소한 0.80%, 대손비용률과 연체율은 각각 0.54%와 0.24%를 기록했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2.07.23 15:07:28

    IBK기업은행, 상반기 순익 1조2264억원…전년 보다 1% 성장 그쳐
  • 한화갤러리아, 나 홀로 추락...반등 가능할까

    코로나19 팬데믹이 주춤하며 국내 주요 백화점들이 속속 활기를 되찾고 있는 가운데 명품 명가로 불리는 갤러리아백화점을 운영하는 한화솔루션 갤러리아부문만이 나홀로 초라한 실적을 내고 있어 유통가의 이목을 끌고 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화솔루션 갤러리아부문은 지난 1분기 9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회사는 홈페이지 기업설명회(IR) 자료를 통해 전분기(2021년 4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15% 늘었다고 게시했지만 전년 동기인 2021년 1분기와 비교하면 영업이익이 25% 넘게 감소했다.매출도 신통치 않다. 2021년 4분기에 146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갤러리아 부문은 올해 1분기 1239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에 반해 경쟁사인 롯데, 신세계, 현대 등 백화점 운영사들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일제히 증가하며,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든 갤러리아부문과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롯데백화점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롯데백화점의 지난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9.4% 오른 7400억 원, 영업이익은 2.6% 성장한 1050억 원을 기록했다. 신세계백화점 역시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신세계백화점의 지난 1분기 매출은 5853억 원, 영업이익은 1215억 원이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8.7%, 47.6% 늘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5433억 원, 영업이익은 35.2% 신장한 1027억 원이다.한화솔루션으로 갤러리아부문이 합병된 뒤 제대로 된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4월 면세 사업에서 철수했다. 면세점을 연 지 3년 9개월 만에 영업을 중단한 것이다. 또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 후 프리

    2022.06.27 11:10:17

    한화갤러리아, 나 홀로 추락...반등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