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대 CEO-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M&A?디지털?ESG 경영 강화로 리딩 금융 달성
[100대 CEO]KB금융지주는 2021년 순이익 4조4096억원으로 한국 금융사 중 1위다. 2021년 당기순이익은 4조4096억원을 올렸다. 2021년도 배당 성향은 26%로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견조한 이익 증가와 배당 성향 회복에 힘입어 주당 배당금은 2940원으로 전년 대비 약 66% 증가했다. 또한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결정,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주주 환원 정책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취임 이후 인수·합병(M&A)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획기적으로 강화했다. 2015년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을 인수하고 2016년 현대증권(현 KB증권), 2020년 푸르덴셜생명 등 경쟁력 있는 비은행 계열사를 성공적으로 품에 안았다. 투자 수익률 제고와 계열사 지배 구조를 정비하며 금융권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됐다는 평가다. 2022년은 경영 전략 중 하나인 넘버원(NO.1) 금융 플랫폼 기업 달성을 위해 비대면 채널 경쟁력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한국 금융 그룹 최초로 사설 인증서인 ‘KB모바일인증서’는 1100만 명(2022년 6월 기준)이 이용 중이다. KB의 대표적 디지털 플랫폼인 ‘KB스타뱅킹’과 기존 앱카드의 결제 편의성과 확장성을 높이고 송금과 환전 등 금융 서비스에 멤버십 기능을 추가한 ‘KB 페이(Pay)’ 출시 등을 통해 소비자를 공략 중이다. KB스타뱅킹 서비스는 2021년 말 기준 1800만여 명이 가입했다. KB금융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와 사회적 책임 이행 노력을 위해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신설했다. 2020년 10월 한국 금융 그룹 최초 ‘탈석탄 금융’
2022.07.04 06:00:18
-
금융 혁신 이끄는 ‘파워 금융인 30’
[스페셜 리포트]기술이 새로운 수요를 만들고 플랫폼이 시장을 지배하는 트렌드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금융 시장에서도 혁신을 향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 무한 경쟁의 무대에서 뛰어난 리더십과 역량으로 한국 금융의 미래를 만들고 있는 이들은 누구일까.한경비즈니스는 2022년 한국 금융을 움직이는 ‘파워 금융인 30’을 선정했다. 한국의 주요 기업 재무 책임자, 금융 담당 애널리스트 설문을 통해 현재 한국 금융 산업을 이끌고 있는 최고의 금융 리더를 가려 뽑았다. 금융 혁신을 이끄는 2022년 파워 금융 최고경영자(CEO) 30인을 소개한다.취재 정채희·이정흔·김정우·안옥희·유호승·김태림 기자사진 서범세·김기남·이승재 기자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은 금융 산업의 변화를 가속화했다. 급격한 디지털화로 경쟁이 심화하면서 금융 산업을 둘러싼 경영 환경은 갈수록 험난하다. 금융사들은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과 신규 수익원 창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금융 소비자 보호 체계 확립 등 지속 가능 경영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좋은 리더는 위기 속에서 더욱 빛난다. 한경비즈니스는 뛰어난 역량과 리더십으로 금융 혁신을 선도하는 리더를 선정하기 위해 2019년부터 매년 ‘파워 금융인 30’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매출액 기준으로 60개 금융사 CEO를 추린 후 기업 재무 담당자와 금융 담당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개인별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심사 기준은 양적 평가, 질적 평가, 개인적 역량 평가 등 3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평가 점수를 합산해 톱30이‘파워 금융인 30’에 선정된다.올해
2022.03.28 06:14:49
-
아시아 넷 제로 금융 확산 이끈다 [CEO 24시]
[CEO 24시]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이 넷 제로(net zero)를 위한 세계 은행 연합체 ‘넷제로은행연합(NZBA)’ 최고경영자 회의에 아시아·퍼시픽 대표로 참석했다. 넷 제로는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윤 회장은 넷 제로 이행이라는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소사업자(SME) 고객 기업들의 탄소 배출량 공시, 사업 모델 조정, 친환경 도입을 위한 컨설팅·교육 지원, 탄소 배출 감축과 포집 기술에 대한 자본적 지출(CAPEX) 투자 확대, 넷 제로 지식 허브로서의 NZBA 역할 강화를 제시했다.또 그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은행으로서 KB금융이 주로 진출해 있는 아시아 지역 은행들과 협력해 넷 제로 전략을 확산하고 지원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1.12.18 06:00:14
-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리딩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도약
[100대 CEO]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이 이끌고 있는 KB금융은 새 역사를 쓰고있는 중이다. KB금융은 지난해 저금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 속에서도 3조455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한국 금융지주사 중 처음으로 4년 연속 3조원대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한 것이다.KB금융이 왕좌에 오를 수 있었던 배경엔 비은행 부문의 인수·합병(M&A)이 주효했다. 특히 지난해 8월 알짜 보험사인 푸르덴셜생명보험을 품에 안으며 비은행 부문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은행-카드-증권-생명보험-손해보험으로 이어지는 그룹 포트폴리오가 완성된 셈이다. 또 신남방 투자도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캄보디아 최대 소액 대출 금융회사인 프라삭 마이크로 파이낸스와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부코핀은행을 인수한 것이 대표적이다.“앞으로 KB는 금융회사의 핵심 가치를 유지하되 완전한 디지털 조직, 금융 플랫폼 기업으로 변모해야 한다.” 윤종규 회장이 올해 1월 경영 전략 회의에서 한 말이다. 윤 회장은 KB금융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가속 폐달을 밟는다. 고객 중심의 디지털 플랫폼 혁신을 통해 ‘넘버원 금융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준비하고 있다. 우선 그룹 주요 애플리케이션(앱)의 종합 금융 플랫폼화 추진에 드라이브를 건다. 종합 자산 관리 서비스 차별화에 집중하는 한편 KB모바일인증서 중심의 인증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구성이다. 일상생활에서 고객이 KB금융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6월 기준 KB모바일인증서 가입자는 800만 명이다. 금융회사 중 유일하게 공공 분야 전자 서명 시범 사업자에 선
2021.06.24 06:34:07
-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금융그룹 최초로 '탈석탄 금융' 선언
[스페셜 리포트] 2021 파워 금융인 30 -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1955년생. 1982년 성균관대 경영학 졸업. 1985년 서울대 경영학 석사. 1999년 성균관대 경영학 박사. 2004년 국민은행 개인금융그룹 대표(부행장). 2010년 KB금융지주 CFO·CRO. 2014년 KB금융지주 회장 겸 KB국민은행장. 2017년 KB금융지주 회장(현). 윤종규(66) KB금융지주 회장은 올 초 신년사를 통해 “환경...
2021.03.24 07: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