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00여명이나 떠났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무슨 일이

    ‘200여명.’ 카카오의 기업간거래(B2B) 사업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최근 떠난 임직원 수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 7월부터 진행한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지난달 마무리했다. 현재 희망퇴직자를 포함해 기존 정원(약 1100명)의 약 30%를 줄이는 고강도 구조조정의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 지난해 영업손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면서 대대적인 인력감축에 나선 것이다. 그 결과 이 회사는 200여명이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그만뒀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인력 상당수는 카카오의 인공지능(AI)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브레인을 비롯해 카카오 그룹(공동체) 내 다른 회사로 자리를 옮겼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의 첫 사내독립기업(CIC)이었던 ‘AI랩’이 2019년 12월 분사한 회사다. 회사는 2019년 당시 48억원이었던 영업손실 규모가 지난해 1406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이에 지난 5월 백상엽 전 대표가 사임하고 이경진 당시 클라우드부문장(부사장)이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되기도 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또 클라우드 사업 중심의 회사로 전체적인 구조를 변경하며 클라우드와 연관되지 않은 사업의 축소와 양도 등을 예고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름과 로고를 변경하고 공격적인 요금 정책을 내놓으며 분위기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10.02 09:59:23

    200여명이나 떠났다...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무슨 일이
  • 카카오스타일, 1분기 영업 손실 줄이고 매출은 껑충···하반기 흑자전환 기대

    ‘지그재그’ 운영사 카카오스타일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액 대비 영업 손실 비중이 축소되면서 하반기 흑자 전환도 기대하는 모양새다. 1분기 지그재그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 가량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등의 트래픽도 약 2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액과 매출, 이용자 트래픽 등 외형 성장을 이루면서도 영업 손실액은 대폭 축소된 점이 눈에 띈다. 올해 1분기 카카오스타일의 영업 손실액은 작년 1분기 대비 절반 이상 축소됐으며, 매출액 대비 영업 손실 비중도 전년 동기와 비교 시 50%p 이상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그재그 측은 마케팅 비용 효율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을 추구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패션부터 뷰티, 라이프까지 아우르는 카테고리 확장과 빠른 배송 서비스인 ‘직진배송’의 성장, ‘패션바이카카오’와 ‘포스티’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도 카카오스타일의 매출과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흐름은 2분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올해 4월 카카오스타일의 매출액 대비 영업 손실 비중은 약 10%로 손익분기점(BEP)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 들어 지그재그 브랜드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이용자 트래픽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데이터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안드로이드+iOS)에 따르면, 5월 15일부터 30일까지 지그재그의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패션 플랫폼 중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앱 신규 설치도 직전(4/29~5/14) 대비 17% 증가하는 등 2분기 트래픽이 골고루 성장하면서 손익 개선 폭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사측은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5월 25일부터 여

    2023.06.07 17:45:56

    카카오스타일, 1분기 영업 손실 줄이고 매출은 껑충···하반기 흑자전환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