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잘 다니던 정규직을 그만두고 계약직을 선택한 이유 [양이천의 기사회생]

    “팀장님, 저 퇴사하겠습니다.” 2022년 3월 어느 날, 내가 말한 이 한 마디는 누리고 있던 많은 것을 포기하겠다는 의미였다. 좋은 고과로 받은 높은 연봉을 포기했다. 야근이 거의 없어서 매우 좋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Work & Life Balance의 줄임말) 역시 포기했다. 수년 간 함께한 좋은 동료를 비롯해 그동안 맺은 유관부서와 관계도 포기했다.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여의도의 근무 생활 역시 포기했다. 어렵게 들어간 직장에서 안정된 삶을 보장하는 대기업의 정규직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퇴사와 이직 과정에서 드러난 안정감의 본질퇴사는 언제 결심하는 것일까? 연봉은 낮은데 더 높은 연봉을 제안받을 때? 직장 상사가 선을 넘는 행동을 할 때? 더 이상 배울게 없을 때? 내가 내린 결론은 ‘하는 일에 대해 확신이 사라졌을 때’ 퇴사를 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만들고 있다는 식으로 의미를 부여했다.영업에 있을 때는 타사 제품보다 비싸긴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는 점을 먼저 내가 납득해야만 제품을 제안했다. 직군을 바꿔서 서비스를 기획할 때도 앱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면서도 불필요한 알림을 보내지 않도록 논리를 구성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점점 희미해졌다. 나는 5천만명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일을 하고 싶었다. 특히, 내가 경험한 금융에 관한 무지를 해결해 우리나라를 어제보다 살기 좋은 나라로 만드는 데에 힘을 쏟고 싶었다. 당시 조직 개편의 영향으로 5개월 동안 상무님을 비롯한 직속 상사들이 연이어 교체되면서 고민할 시간이 많

    2023.05.22 10:32:57

    잘 다니던 정규직을 그만두고 계약직을 선택한 이유 [양이천의 기사회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