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린 지하철역으로 출근해요” 직주근접형으로 변신한 공유 오피스

    [비즈니스 포커스]김예지 스파크플러스 매니저는 최근 역삼 본사 대신 공덕역에 있는 스파크플러스의 ‘스플라운지’로 출근하고 있다. 김 매니저의 거주지인 은평구에서 역삼까지 통근 시간은 1시간 30분이었다. 하지만 공덕 스플라운지로 출근하면서 30분으로 단축됐다. 매일 두 시간의 여유 시간이 생겼다. 김 매니저는 “듀얼 모니터와 콘센트가 부착된 넓은 책상 덕분에 재택근무보다 업무 집중도가 높다”며 “회의실도 따로 마련돼 있어 화상 회의를 할 때도 배경이나 소음 때문에 민망한 일이 없다”고 말한다.그간 유연근무제·협업·네트워킹에 초점을 맞췄던 공유 오피스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거점·분산 오피스로 진화하면서 새로운 사업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과거에는 기업이 주요 고객이었지만 최근에는 개인 고객들의 문의가 늘었다. 재택근무에 어려움을 겪는 워킹맘·대디부터 이동이 잦은 영업 사원, 미팅이 잦은 소규모 기업 경영인들이 공유 오피스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집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으로 출근해요” 공유 오피스 업체들은 코로나19 사태로 변화하는 노동 환경에 맞춰 직주근접성을 갖춘 새로운 사업을 시작했다. 스파크플러스의 ‘스플라운지’가 대표적이다. 스플라운지는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스파크플러스의 월간 비즈니스 라운지로, 개인 고객들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고객은 본인의 필요에 따라 한 지점만 이용하는 싱글 멤버십과 8곳을 무제한으로 이용하는 멤버십을 선택하면 된다. 거주지에서 가까운 사무실이라는 모토에 맞게 스플라운지는 공덕역·마들역·영등포구

    2022.04.18 06:00:17

    “우린 지하철역으로 출근해요” 직주근접형으로 변신한 공유 오피스
  • 코로나19로 근무환경 변했다…패스트파이브, 거점오피스 서비스 매출 2배 성장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오피스플랫폼 패스트파이브의 거점오피스 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의 선제적인 요청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패스트파이브 거점오피스는 2022년 1월에 접수된 도입 희망 고객만 68개사로 2020년 대비 162% 이상 증가했다. 매출 역시 매년 증가하며 특히 올해 1월에만 작년 월평균 매출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2022년 현재 패스트파이브를 통해 거점오피스를 구축한 기업은 총 20개 사로 KT, 롯데칠성, 현대자동차, 포스코에너지, 카카오브레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규모와 분야의 기업들이 이용하고 있다. 패스트파이브 거점오피스는 국내 최다인 공유오피스 40개호점과 1인 업무 라운지 파이브스팟 12개 지점을 보유한 패스트파이브 만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만든 기업 대상 서비스다. 오피스 근무의 장점은 살리고 재택근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기업은 직접 거점오피스를 구축하는 것보다 초기 비용을 90%까지 절감할 수 있다. 6개월 이상 걸리는 오피스 구축을 1~2일 만에 끝낼 수 있고 사무실 관리 및 운영을 모두 대신하기 때문에 자원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외근출장이 잦은 기업들에게도 효과적이며 코로나19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만족도가 높다. 패스트파이브 거점오피스를 이용 중인 한 대기업에서 내부 조사한 만족도는 4.5점 만점에 4.3점을 기록하였으며 현재 거점오피스를 이용중인 기업들의 재계약률은 90%에 달한다. 최근에는 직원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 모바일 출입 카드 발급 후 기업 전용 예약 페이지

    2022.03.07 09:38:16

    코로나19로 근무환경 변했다…패스트파이브, 거점오피스 서비스 매출 2배 성장
  • ‘집·회사 아닌 제3 공간에서 일한다’…주목 받는 거점 오피스

    [비즈니스 포커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택근무와 사무실 근무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형(혼합) 근무’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하이브리드형 근무는 직원이 업무 공간을 유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말한다. 업무 시간의 전부를 집이나 사무실 등 정해진 공간에서 일하는 기존의 원격근무제나 유연근무제보다 상대적으로 유연한 근무 방식이다.하이브리드형 근무가 각광 받는 이유는 기업들이 코로나19로 재택근무를 단행하면서 업무의 상당 부분을 재택근무로 대체해도 큰 차질이 없다는 사실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업무 효율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사무실에서 오랜 시간을 보낼 필요가 없다는 것을 팬데믹(세계적 유행)을 통해 깨달은 것이다.글로벌 사무 가구 업체 스틸케이스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업무 환경에 대한 달라진 기대치와 미래의 모습’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72% 정도의 기업들이 사무실 근무와 재택근무 혹은 제3 장소에서의 근무를 혼합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채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일부 기업은 직원들이 통근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재택근무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는다는 사실을 감안해 거점 오피스 등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생산성 있는 곳이 곧 사무실글로벌 기업들은 사실상 물리적 개념의 사무 공간에 집착하지 않고 ‘생산성이 있는 곳이 곧 사무실’이라는 개념을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실리콘밸리 등에서는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증가와 맞물려 이미 하이브리드형 근무가 보편적인 형태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다.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3월 미 워싱턴 주 본사 직원의 출근

    2021.06.17 06:18:04

    ‘집·회사 아닌 제3 공간에서 일한다’…주목 받는 거점 오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