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자니아서 심봤다’ 포스코인터, 천연흑연 75만톤 확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차전지 원료사업에 본격 진출한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5월 29일 호주계 광업회사 블랙록마이닝의 자회사 탄자니아 파루 그라파이트와 2차전지 배터리용 천연흑연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계약을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000만 달러(약 130억원)를 투자해 약 25년간 총 75만톤 규모의 천연흑연을 공급받는다. 파루 그라파이트는 탄자니아에 마헨지 흑연광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 광산은 매장량 기준 세계 2위의 대규모 천연흑연 광산이다. 현재 마헨지 광산의 광산수명은 25년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 기간 동안 공급받은 천연흑연을 그룹내 2차전지 사업회사인 포스코퓨처엠으로 공급할 계획이다.흑연은 2차전지 배터리의 음극재에 사용되는 핵심소재다. 흑연은 2차전지의 양극에서 나온 리튬이온을 저장했다 방출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흑연 수요 역시 급속 성장하고 있다. 2035년 천연흑연의 수요는 2022년 전세계 공급량의 6.5배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포스코 그룹사의 2차전지 소재사업 밸류체인에 시너지가 확대될 전망이다. 포스코홀딩스가 2021년 호주 블랙록 마이닝 지분 약 15%를 확보하면서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그 후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사업 디벨로퍼이자 트레이더로서의 역량을 발휘해 포스코퓨처엠에 장기간 원료를 공급할 수 있는 사업 구조를 만들며 밸류체인을 완성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천연흑연 초도 공급을 시작으로 친환경차 산업 확장에 대응해 2차전지 원료부문의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흑연 외에도 동박원료 공급사업, 폐배터리
2023.05.30 10:02:26
-
‘美가 열어젖힌 광물 패권 시대’…탈중국 속도내는 LG엔솔
LG에너지솔루션이 호주업체로부터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을 공급받기로 했다. 2023년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앞두고 북미 시장 내 안정적인 핵심 원재료 공급망을 구축하고, 원재료 확보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다.이와 관련 LG에너지솔루션은 호주 시라(Syrah Resources Limited)와 천연 흑연 공급에 관한 업무 협약(MOU)을 10월 19일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2025년부터 양산하는 천연흑연 2000톤 공급을 시작으로 양산 협력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양사는 2022년 말까지 세부 내용을 협의한 후 최종 공급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흑연은 배터리 핵심 소재 중 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은 광물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흑연의 중국산 비율은 70.4%에 달한다. 이 때문에 LG에너지솔루션뿐 아니라 배터리 업계 대부분 흑연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다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호주 흑연업체인 시라는 세계 최대 흑연 매장지로 불리는 아프리카 모잠비크 광산을 소유해 운영 중이다. 2023년부터는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생산 공장을 설립해 운영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시라의 천연흑연 사용을 통해 원재료에 있어서도 중국 의존도를 벗어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라가 확보한 흑연 광산 및 미국 생산 공장을 통해 생산된 원재료를 배터리 제조에 활용한 경우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된다. 이번 MOU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지역 내에서 양극재 핵심 소재인 리튬·니켈·코발트 뿐만 아니라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까지 배터리 핵심 소재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한층 강화
2022.10.23 06: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