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리포트]
최초 원전 고리1호기 영구 정지…한국가스공사·지역난방공사 수혜
청정에너지 시대, 한국가스공사 '수혜주'
[정리=이정흔 한경비즈니스 기자] 한국 최초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6월 19일 영구 정지됐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은 신정부 에너지 공약의 핵심인 ‘탈원전’을 공식화했다. 구체적으로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 미착공 신규 원전 4기(신한울 3·4호기, 천지 1·2호기) 백지화,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을 금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의 대상이었던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 여부’결정을 제외하고는 문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이 현실화되는 것이 확실해진 것이다.

문 대통령은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기념사에서 구체적인 ‘탈원전 로드맵’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대통령 후보 시절의 공약과 비교해 추가된 내용이 크게 없었다. 하지만 ‘예상된 변화’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강한 반응을 보였다. 한국전력(한전) 및 원전 관련주(한전KPS·한전기술 등)의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 6월 16일 4만3400원에 거래됐던 한전은 6월 19일 4만20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원전 관련주는 국내 원전 시장 축소가 확실해져 장기 전망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 등 향후 예정된 부정적 이벤트들이 당분간 원전 관련주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원전 해체 시장은 아직 시기상조

다만 ‘탈원전’ 이슈가 한전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당분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매년 1~2기의 원전이 순차적으로 정지에 들어가는 본격적인 탈원전은 2023년에 시작되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용을 중심으로 전기요금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가능한 현 상황을 고려하면 모든 비용 부담을 한전이 감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신재생 발전 체제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한전의 도움(비용)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이 한전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다.

장기적으로 기저발전(원전+석탄발전) 비율이 줄어들고 그 빈자리를 신재생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이 채울 것으로 보인다. 신재생 발전은 아직 현실적이지 못해 LNG 발전이 중·단기적인 대안이다. 이에 따라 과거 줄어들 것으로 전망(2014~ 2029년 연평균 4.2% 감소)됐던 발전용 LNG 수요가 2031년까지 연평균 2.6% 늘어나는 것으로 정부 전망의 방향이 바뀔 것으로 판단된다. LNG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장기 전망이 밝은 한국가스공사가 확실한 수혜를 누릴 가능성이 높다. 또한 LNG 발전기를 운영 중인 민자 발전사 및 지역난방공사와 같은 집단에너지 회사도 가동률 상승과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고리 1호기의 가동은 멈췄지만 본격 해체까지 최소 5~6년의 사용후 핵연료 냉각 시간이 필요하다. 첫 상업용 원전을 영구 정지한 것인 만큼 아직 구체적인 해체 계획이 수립되지 않았고 관련 기술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국내 원전 해체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는 시점은 2028년 이후로 판단된다.

viva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