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8] 진주기계공고 박믿음 군, “교육환경 쾌적  중학생들에게 추천”


[하이틴 잡앤조이 1618=정유진 기자]진주기계공업고 건설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박믿음 군(19세)은 특성화고 진학에 고민하고 있다면 진주기계공고를 추천한다고 강조했다. 박 군은 “학업 분위기는 진주시에서 단연 최고”라며 “기본적으로 입학 커트라인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학구열이 높고 자신의 꿈을 위해 정말 열심히 하는 친구들이 많이 모여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소위 말하는 교내 흡연 및 학교폭력 등 기본적인 문제에 있어서 아주 엄격한 편이기 때문에 쾌적한 교육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고 덧붙였다.


2017년 3월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건설과 입학

2019년 현재 3학년

특성화고 입학 계기를 설명해 주세요.

중학교 2학년 때 우연히 아버지께서 일하시는 건설 현장에 놀러가 건축물들이 지어지는 흥미로운 과정들을 보면서 큰 인상을 받았습니다. 이후 건설 관련 직업에 종사하고 싶어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고민 없이 진주기계공업고 건설과에 입학하게 됐습니다.


일반고에 진학했더라면 하는 후회는 없나요.

제 경우 중학교 때부터 꿈과 목표가 정해져 있었습니다. 일반고에 진학해 3년 동안 오롯이 좋은 대학만을 목표로 공부를 한다는 게제 진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죠. 이 때문에 직접 현장을 누비며 어떤 일을 하는지 전문적으로 배우고 싶었으며 꼭 필요한 교육을 받기 위해 특성화고를 선택했습니다.


학교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고등학교 시절은 꿈을 선택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자신의 진로, 목표 등에 대해 신중히 고민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교의 분위기, 전공에 대해 여러 방면에서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특성화고는 어떤 교육을 받나요.

전문적인 이론과 실습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창의적인 기술인을 육성하는 학교입니다. 교과 과정은 ▲1학년은 인문수업 60%, 전공수업 40% ▲2학년 인문수업 40%, 전공수업 60% ▲3학년 전공 100%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공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습니다.


본인이 다니는 학교에 대해 자랑해 주세요.

우리 학교는 ▲기계과 ▲건설과 ▲전자기계과 ▲전기과 등 4개 학과가 있습니다. 전국에서 손꼽을만한 취업률을 자랑하고 있으며 매년 꾸준히 대기업, 공기업, 교육청 공무원 및 지방공무원 시험에 취업을 하고 있습니다.


[1618] 진주기계공고 박믿음 군, “교육환경 쾌적  중학생들에게 추천”



나에게 특성화고란.

큰 도전이자 성공적인 도전의 발판이라고 생각합니다.


중학생들에게 특성화고 입학을 권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요즘 대학교를 졸업해도 취업이 되지 않아 힘든 게 현실입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학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능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성화고에 입학하면 고정된 틀에 갇혀 목표 없이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공부를 하고 기술을 배우며 스스로 목표에 다가설 수 있습니다. 또한 그 과정 속에서 내실있게 성장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대학에 진학하는 것도 좋지만 사회가 바뀌고 있고 그에 맞게 학생들도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성화고에 입학하기 전과 후 달라진 생각이 있다면요.

입학 전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은 마냥 공부를 안 하는 학생, 질이 나쁜 학생들이 진학하는 학교라는 선입견이 있었는데요. 막상 진학하고 보니 정말 노력하며 열심히 공부하는 친구들이 너무 많아 놀랐습니다.


특성화고의 특장점은 무엇인가요.

학업 스트레스가 많지 않습니다. 내신과 자격증 및 취업을 위한 개인 공부 시간을 확보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중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

특성화고에 대해 많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그 학교에 대해 부정적인 소식에 선입견을 갖지 말고 좋은 내용을 꼼꼼하게 들여다봤으면 합니다.

특성화고에는 진학 및 취업 등 다양한 혜택과 길이 있다는 것 그리고 정말 열심히 노력하는 학생들이 상당히 많다는 점을 알아줬으면 좋겠습니다.


jinjin@hankyung.com

사진 =서범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