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기숙사 쫓겨날 위기
-돈 더 내든지 없으면 나가라
-학교 측 “학생들을 최대한 배려한 것” 학생들 "황당"
[캠퍼스 잡앤조이=이도희 기자/ 김해인 대학생 기자] 최근 코로나19로 일부 학교가 기숙사 거주 학생들을 퇴실조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과 학교 측의 갈등이 불거졌다.
2월 7일 동국대 기숙사 행정팀은 학생들에게 코로나 관련 기숙사 사용 공지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기숙사인 충무 학사를 외국인 전용 기숙사로 사용하게 돼 한국 학생들은 거주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었다.
행정팀은 이어 기존 충무학사 학생들에게 “동국대의 또 다른 기숙사인 남산학사로 이주할 것인지 아니면 퇴실할 것인지 9일까지 결정하라”고 통보했다. 구체적인 차액 지급 금액과 납부 기한일에 관한 내용은 결정 기한 후인 2월 13일 남산학사 홈페이지에 공지됐다. 학생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금요일 오후 6시에 통보 후 퇴근 “주말까지 결정하라”
학생들이 가장 문제 삼은 것은 행정팀의 소통방식이었다. 행정팀이 학생들에게 문자를 보낸 시각은 금요일 오후 6시, 행정팀의 업무가 끝난 시점이었기 때문이다. 당장 3일 안에 입사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학생들은 아무런 질문을 할 수 없었다. 학생 A 씨는 “해당 공지를 보고 전화를 했으나 이미 행정팀이 퇴근한 후라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며 “행정팀이 일부러 문의를 피하려고 한 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행정팀은 “관련 논의가 금요일 오후 4시에 이뤄졌고, 행정 처리를 하다 보니 6시에 보내게 됐다”라며 “그 다음주 화요일까지 신입생 TO를 배정하기 위해 주말까지 결정하라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학생들을 배려하지 않은 행위”라며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
100만 원이 넘는 차액 부담
또 다른 문제는 바로 차액에 대한 부담이다. 충무학사의 한 달 기숙사비는(6인실 기준) 약 17만 원, 남산학사의 경우 약 38만 원으로 2배 넘게 차이가 난다. 충무학사에 입주 예정이었던 A 씨는 “저렴한 가격 때문에 충무 학사를 선택했는데 이번 사태로 약 85만 원을 더 지불하고 남산학사에 거주해야 한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A 씨는 결국 거주기간을 6개월에서 4개월로 줄이기로 했다.
A 씨는 “학생 신분으로 약 85만 원의 차액을 부담하기란 쉽지 않다”며 “공익을 위한 학교의 조치에 왜 소수의 학생이 비용을 떠안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생 B 씨 역시 강제이주로 발생한 차액의 일부를 보상해 달라고 요구했다.
학교 측의 대안? “기숙사비 납부기간 연장”
행정팀은 이와 같은 의견에 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기숙사비 납부 기간을 2월 25일에서 3월 3일까지로 늘렸다. 또 이주하게 된 학생들에게 여름방학과 2020년 2학기 충무학사 우선 입사 기회를 부여하기로 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차액 부담에 대한 학교 측의 금전적인 보상을 원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학생들은 차액 지원, 분할 납부, 반액 지원, 식권 지급 등의 방법으로 보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행정팀은 “차액을 지원하는 것은 기존 기숙사생과의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차액 지원에 대해 거부 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충무학사 학생들에게 남산학사 입사 기회를 주는 것 자체도 조심스러운 결정”이라며 “차액을 지원해준다면 기존 남산학사 학생들의 불만도 나올 것이다”라고 반박했다.
실제로 자신이 남산학사 학생이라 밝힌 학 학생은 학교 커뮤니티에 “왜 보상을 바라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나만 손해 보는 것 같다” “성적순으로 입사 기회가 주어지는 시스템에서 더 나은 남산학사의 기회를 주는 것도 충분히 배려한 것 아니냐” 등의 불만을 드러내기도 다. 행정팀 역시 “입사 기회를 주는 것이 모두를 만족시키는 최선의 방법”이라며 비슷한 의견을 내놓았다.
중앙대는 코로나 예방 차원에서 개강일까지 생활관 거주를 금지했고 일괄 퇴거할 것을 요청했다. 한양대, 연세대도 비슷한 이유로 기존 기숙사에 있는 학생들에게 방을 비워줄 것을 통보했다. 이런 일방적인 결정에 학생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그제야 각 대학은 대안을 마련했다. 연세대는 퇴사가 어려운 경우 증빙자료와 청원서를 제출하면 잔류를 허가하기로 했고 중앙대는 공지 하루만에 퇴사 방침을 철회했다.
△ 중앙대학교 생활관 홈페이지 Q&A.(사진 제공=중앙대학교 홈페이지)
학교 측은 학생들의 안전을 최우선에 뒀을 뿐이지만 학생들은 하루아침에 쫓겨난 신세가 됐다. 또한 학교의 결정 과정에 학생들의 목소리는 그 어디에도 없었다. 일방적 통보에 학생들은 며칠 밤 발을 동동 굴러야 했고, 마땅한 대안도 찾지 못했다. 학생들은 한쪽의 일방적 통보는 강요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물론 국가적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빠른 결정을 해야 했음은 이해하지만, 대안이 없는 통보는 코로나보다 더 깊은 상처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견이다.
tuxi0123@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