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잡앤조이=조수빈 인턴기자] 얼마 전 인하대, 서강대에서 실시한 비대면 중간고사에서 ‘집단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시험이 대부분 비대면으로 시행돼 별도로 감독하지 못한다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대학 측은 해당 시험을 무효화하고 부정행위에 가담한 학생들의 학점을 0점 처리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기말고사를 앞둔 지금, 비대면 시험의 부정행위를 어떻게 막을 것인가에 대한 학생들의 우려는 날로 커지고 있다.



[현장이슈] '인하대·서강대·건국대 컨닝 사태' 기말고사엔 막을 수 있나?

텔레그램부터 IP 조작까지 ‘컨닝에 진심인 대학생들’

1일 인하대 의대 본과 1학년 50명과 2학년 41명이 집단으로 부정행위를 한 것을 시작으로 서강대, 건국대에서도 일부 단과대 학생들이 답안을 공유하며 시험을 같이 치렀다는 제보가 있었다. 앞선 부정행위 사례에 인하대는 부정행위 공모자들의 성적을 모두 0점 처리했다. 서강대와 건국대 역시 해당 시험을 무효화하고 추후 성적 논의를 하겠다고 발표했다.

사실 대학 내 부정행위는 비대면 강의 시행 이전부터 계속 있어왔던 대학 내 문제 중 하나다. 한 강의 당 수강생이 100명이 넘어가는 대형 강의의 경우, 교수와 조교로는 충분한 감독이 불가능하다. 학교에서 일부 개설했던 기존 온라인 강의에서도 부정행위는 만연하게 일어났다. 비대면으로 시행되는 지금의 강의에서는 휴대폰으로 답을 찾아보거나, 답안 공유, 대리시험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번에 적발된 인하대의 경우 일부 학생은 추적을 피하기 위해 IP를 조작하거나 텔레그램을 사용하는 등 치밀함을 보였다. (△한국외대 에브리타임 캡처.)

중앙대 학생 안 모(24)씨는 “코로나19 이전에 시행됐던 온라인 강의에서도 컨닝은 흔한 일이었다. 친한 친구들끼리 강의를 듣기 때문에 카톡으로 그때그때 답을 공유하거나, 아예 PC방에 모여서 답을 같이 풀었던 경험도 있다”고 고백했다. 한국외대 학생 박 모(25)씨 역시 “학교 측이 여태 부정행위 단속을 개인의 양심에 맡기거나 미온하게 대처한 것이 결국 온라인 강의에서 터지는 것 같다. 놀라운 일도 아니다”며 학교 측의 사전 대응 미비를 지적했다. 이외에도 에브리타임 등에서 “아싸는 컨닝도 못한다”, “논술형으로 치면 컨닝 못하지 않냐”는 의견이 이어졌다.


[현장이슈] '인하대·서강대·건국대 컨닝 사태' 기말고사엔 막을 수 있나?

△고려대 학점 인정 관련 학칙.(사진=고려대 홈페이지)



대학 측 미온한 대처가 공부 열심히 한 학생 피해보게 해

기말고사를 2주 앞두고 학교도 분주하다. 고려대는 ‘온라인 특화 구술시험’을 시행했다. 컴퓨터 화면에 뜬 문제를 정해진 시간 안에 촬영해 올리는 것이다. 성균관대는 시험 때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에 접속해 신분증으로 본인을 인증하고 정해진 시간 내 시험을 치르는 모습을 감독하기로 했다. 동국대 역시 대리시험, 부정행위를 감독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온라인 시험을 치르며 웹캠으로 학생의 얼굴을 확인하기로 했다. 경희대, 고려대, 숭실대, 홍익대는 대면 시험을 원칙으로 기말고사를 진행할 것임을 공지했다.

서강대 발전홍보팀 관계자는 “기존 학칙에서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없다. 내부적으로 어떻게 시험을 치를지 학생들과 논의해 시험을 보완할 계획은 있다”고 말했다. 홍익대 관계자는 “대면 시험으로 전환하면서 ‘선택적 패스(Pass)제’를 도입했다. 상대평가 기준을 완화하고 세부 점수 대로 A, B 등으로 나눠 받을지 P/NP(패스/논패스)로 받을지 결정권을 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연세대 역시 학생들에게 받은 선택적 패스제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삼성 GSAT 등 온라인 시험 시행한 곳 참고해야, 성적 평가 방식 바꾸는 것도 방법

부정행위를 가장 직접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은 대면 시험이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우려 등으로 학생들의 반대 여론이 거세다. 이에 비대면으로 시험을 치르기로 한 대학들은 그만큼 대처를 꼼꼼하게 해야 할 것이다. 우선 사전 본인 확인절차를 철저히 해 대리 시험을 막아야 한다. 이어 문제 유출과 배포를 막기 위한 스크린 샷 비허용, 웹캠으로 학생들의 시험 과정을 녹화하거나 실시간으로 원격 감독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부정행위 적발 시 학교 측의 대처 또한 더욱 강경해질 필요가 있다. 현재 대부분의 학칙에서는 부정행위 적발 시 해당 과목에 대한 0점 처리, 총장 재량의 징계 등을 고지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부정행위를 한 과목은 낙제 처리 한 후 재수강할 수 없게 해야 한다’, ‘해당 학기를 모두 0점 처리해야 한다’, ‘교수와 개인 면담 및 교내 봉사가 필요하다’는 해결책을 내놨다. 특히 비대면으로 시행하는 시험의 경우 교수 재량에 맡길 것이 아니라 학교 측에서 통일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홍익대처럼 아예 학점 평가 기준을 완화하는 것도 불만을 줄이는 한 방법이다. 연세대 김 모(23)씨는 “변별력이 없는 학기라고 생각한다. 과제부터 부정행위가 난무하는 비대면강의까지 성적을 매기는데 객관성이 없다”며 “학생들에게 성적 산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불만이 적어지지 않을까”라며 학교 측에 선택적 패스제 검토를 요청했다.

subin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