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HAP PHOTO-2616> 사회관계장관회의서 발언하는 김상곤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김승두 기자 =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2018년도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18.6.22
    kimsdoo@yna.co.kr/2018-06-22 08:47:13/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사회관계장관회의서 발언하는 김상곤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김승두 기자 =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2018년도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18.6.22 kimsdoo@yna.co.kr/2018-06-22 08:47:13/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교육부가 산업·현장 맞춤형 직업교육훈련 제공을 위해 특성화고-전문대 연계 모델을 발굴·확대해 나가겠다고 27일 밝혔다. 또한 직업계고 학점제를 도입해 직업교육과정을 유연화시키고 국립대 후학습 전담과정을 개설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 방안은 현 직업교육 체계가 미래 환경변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평생직업교육체제를 전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체 주도로 직업계고와 고등직업교육기관 간 다양한 연계모델을 발굴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숙련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예를 들어 국내 한국 폴리텍 대학에서 진행하는 P-TECH(Pathways in Technical Education, oriented Convergent High-Technology), IBM의 P-TECH가 있다. 한국 폴리텍 대학의 P-TECH는 산업체와 연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수료자를 대상으로 전문대 훈련과정을 이수해 기술을 습득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IBM의 P-TECH는 디지털 시대 뉴칼라(new collar) 인재 양성을 위해 특성화고와 전문대 교육과정을 연계한 혁신모델이다.


신분야 및 유망분야 우수인력 양성을 위해 직업교육훈련 구조개편도 추진한다. 4차 산업혁명 유망분야에 대한 학과를 신설하는 등 직업계고의 기존 학과를 구조 조정한다. 이를 위해 기자재 마련, 교육과정 개편, 컨설팅 등 행·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산업계와 협력을 강화해 직업계고 학교별 교육과정에 산업계 참여를 의무화하는 교육 과정도 편성해 현장성 높은 직업교육훈련을 제공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선택해 전공 간 원활하게 이동하고 개별화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직업계고 학점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한 융합전공제, 유연학기제, 집중이수제 등 학사제도 다양화도 추진한다.


선취업자가 후학습 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4년제 국립대 전체에 ‘후학습자 전담과정’ 개설을 추진한다. 또한 최소 3년 이상 중소기업 재직자가 후학습에 대한 비용부담을 갖지 않도록 등록금 전액을 지원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 방안에서 제시한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을 토대로 직업교육훈련정책을 추진하고 세부과제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ih08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