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준생 A씨는 한 국내 대기업에 면접을 보러 갔지만 받기로 예정된 면접비를 끝내 받지 못했다. 면접이 끝난 후 기업 담당자가 ‘계좌번호를 적어두고 가라’고 했지만 며칠, 몇 달이 지나도록 입금되지 않았다. A씨는 결국 면접비를 받지 못했다.


# 한 식품회사 면접을 보기 위해 울산에서 서울로 온 취준생 B씨는 이 면접을 보는 데만 15만원을 썼다. 왕복 10만원이 넘는 교통비에다 아침 일찍 면접을 보러가야 하는 탓에 전날 회사 근처에서 숙박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면접 후 해당 식품회사의 제품을 받았다. 면접비는 지원받지 못한 것이다.



취준생 면접비, 법적 의무화 추진한다

자료사진


기업이 구직자에게 면접비를 의무로 지원토록 하는 법이 추진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고용촉진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다고 7월 25일 밝혔다.


개정안은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일정 규모의 기업체가 면접자에게 면접 준비 비용을 돌려주도록 규정했다. 기존에도 일부 기업이 ‘교통비’ 명목으로 5~10만원을 지원했지만 최근 이마저도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 온라인 취업포털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82.6%가 면접비를 받지 못한 적이 있었다. 조원진 의원은 “소득이 없는 청년들이 몇 개월간 면접을 볼 경우 취업준비 비용이 수백만 원에 달한다”라며 “형편이 어려운 취준생은 면접 보는 것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7월 청년위원회의 2030정책참여단이 면접 경험이 있는 청년 10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면접 준비비용에 평균 100만원 이상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대비 학원 등록(45.1만원) 비용이 가장 비쌌다. 의상구매(25.9만원), 교통비(10.2만원), 면접 관련 서적구입(10.1만원), 헤어·메이크업(8.9만원) 등에도 큰 비용이 들어갔다.


조 의원은 기업이 면접에 응시한 구직자의 아이디어만 활용하고 아무런 대가도 치르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함께 지적했다. 그는 “적정한 면접비 지급을 통해 기업의 책임 있는 면접 문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삼성그룹은 지난해 상반기, 에세이를 통해 기업의 전략을 물었다. 삼성전자 경영지원 직무는 ‘현재 글로벌 경영환경에 적합한 재무 관리 전략’, 삼성전자판매는 ‘헬스케어 기능의 홍보방안’ 등을 요구했다.


CJ그룹 역시 CGV가 ‘매장이 개선해야 할 점 아이디어’, 푸드빌이 ‘외식 경영자로서 구현해보고 싶은 외식관련 비즈니스’ 등을 자소서에서 물었다. 이는 면접 때 다시 되물었다는 게 면접자들의 전언이다.


구직자들은 ‘면접비 의무화’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교통비가 아까워 면접을 포기한 적도 있는데 잘됐다” “단순히 발의로만 그치지 않고 현실화 됐으면 좋겠다”는 등의 소감을 밝혔다.


이도희 기자(tuxi0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