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국내 200대 기업·공공기관 인턴 채용공고 조사 결과 발표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는 2030정책참여단과 함께 우리나라 200대 기업 및 주요 공공기관의 인턴 채용공고 분석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인턴이 정규직 취업을 위한 9대 스펙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지만 인턴 채용 공고에서부터 관련 정보가 부족해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현장의 목소리에 따라 시작했다.


조사는 청년위 2030정책참여단이 지난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두 달간 진행했다. 조사대상은 지난해 기준 매출 상위 200대 기업 중 2014년 이후 게시된 인턴 채용공고 167건과 우리나라 주요 공공기관 인턴 채용공고 100건이다.


“인턴은 단순 소모품일 뿐인가요?..부실한 인턴 채용공고 다수”


조사 결과, 267건의 인턴 채용공고 중 55.5%(148건)가 정확한 임금을 명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대 기업의 채용공고 167건 가운데 76%(127건)가 인턴의 임금을 정확히 명시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공고 가운데 절반 이상인 58.1%(155건)는 세부업무를 명시하지 않았고, 34.5%(92건)는 인턴십 후 정규직 전환 가능 여부, 향후 신입 공채 지원 시 가산점 부여 등 우대 여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인턴은 단순 소모품일 뿐인가요?..부실한 인턴 채용공고 다수”


아울러 정규직 전환 조건을 명시한 기업의 인턴 공고 86건 가운데 단 7%(6건)만이 정규직 전환 예정 인원을 기재했고, 채용 우대형 인턴공고 43건 중 39.5%(17건)는 가산점 부여, 서류전형 면제 등 구체적인 조건을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2030정책참여단이 인터뷰한 휴학생 A씨(여·24세)는 “공고에 임금정보가 나와 있지 않으면 인턴 근무를 하면서 월세, 식비 등을 고려해 실제 생활이 가능한지에 관한 계획을 세우기 어려워 지원을 망설이게 된다”고 말했다.


대학생 B씨(남·23세)는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주로 커피 타기나 신문 가져오기 등 단순 업무를 담당했다”며 “그런 업무를 담당하게 될 줄 알았다면 아마 다른 곳에 지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기관 인턴 경험자 C씨(남·27세)는 “공고에 채용연계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 없었지만 ‘실적이 좋은 인턴은 정규직이 될 수도 있다’는 소문을 듣고 주변에 카드 발급을 권유하는 등 열심히 일했지만 결국 정규직이 될 수 없었다”며 “처음부터 정규직 전환 가능성이 없다고 명시했으면 무작정 실적만 올리기보다 직무 습득에 집중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를 진행한 2030정책참여단의 강동진(28세·남)씨는 “인턴에게 막연하게 정규직이 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 단순 업무나 사적 심부름을 시키는 일이 없어졌으면 좋겠다”며 “고용기관은 인턴에게 정규직이 될 수 있는 정확한 방향을 제시하고 직무능력을 쌓을 수 있는 업무를 배정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신용한 대통령직속 청년위원장은 “인턴 채용 시 임금, 직무, 채용 관련성 등의 정보가 정확하고 충분하게 제공돼야만 청년들의 효율적인 구직활동이 가능해지고, 회사는 보다 적합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청년위는 ‘인턴 활용 가이드라인’(가칭)을 마련 중인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청년이 인턴 구직 과정에서 공고를 통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