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근무에 근무하는 20대 비율이 22.7%로 나타났다. 10년 전 30.2%에서 7.5%p 하락한 수치다.


정세균 의원실이 한국고용정보원의 ‘300인 이상 사업장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를 분석한 결과다. 2015년 6월 현재 대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층(29세 이하)은 10명 중 2명 꼴이다.


이는 2005년 12월 기준 30.2% 대비 7.5%p 하락한 것으로, 최근 10년 동안 대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층 비중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최근 10년간 대기업의 연령대별 기간평균 고용증가율 분석 결과, 청년층의 평균 증가율은 1.9%로 타 연령대의 증가율과 비교하여 가장 낮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30대는 3.6%, 40대는 5.7%, 50대는 10.2%, 60대는 20.4% 증가했으며, 전체 근로자의 평균 증가율은 4.9%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라면 대기업의 전체 고용이 늘어나더라도 청년층의 고용사정은 점점 나빠질 수밖에 없다. 특히 최근 대기업의 청년층 근로자 증가 추이는 극히 미미한 상황이다. 2013년 12월 기준 청년층 근로자는 오히려 전년대비 10,650명이 감소하였고, 2014년에는 6,830명이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금년 6월 현재 고작 867명이 늘었다. 최근 대기업의 청년고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금년 6월 청년체감 실업률 23%, 청년 체감실업자가 115.7만 명 등 청년고용 상태가 전례 없이 악화되고 있다. 한시적으로라도 ‘대기업 청년고용 할당제 도입’ 등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현재 청년실업의 심각성과 긴박성을 고려할 때 '로제타 플랜 방식'(매년 전체 종업원 수 대비 청년층 신규채용자의 비율을 정하는 방식)의 청년고용 할당 등의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대기업에 3%의 쿼터를 청년채용으로 부과할 경우 약 10만 명의 청년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는 예상이다.


대기업 청년고용 할당제는 일자리 증가효과는 나타날 수 있지만 수혜자가 한정되어 있고, 스펙이 우수한 청년들이 주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커 청년층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따라서 할당제 대상 사업장의 범위, 목표집단, 채용형태, 최적 할당율 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세균 의원은 “청년실업 문제는 한국 사회의 미래가 달린 문제여서 모든 경제주체, 정부, 정치인들이 청년고용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모멘텀을 만들어내야 한다"며 "대기업 청년고용 할당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진호 기자 jinho23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