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빨리 읽기, 노트 필기 잘하기, 리포트 잘 쓰기. 별것 아닌 것 같다고? 학교생활을 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이자 돈 주고 배우기 어려운 귀한 재능이다.
각 분야에 일가견이 있는 캠퍼스의 숨은 고수들을 찾았다. 이들이 들려주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비법 한 수.

고려대 컴퓨터정보 2
고려대 도서관 2011년
최다 대출자

장 씨는 2011년 교내 도서관에서 가장 많은 책(총 224권)을 빌려 읽은 책 읽기의 달인이다. 시험 기간에도 매일 1권 이상 책을 읽는다는 그에게 독서 습관 만드는 비결을 물었다.
I do 마음에 드는 책부터 읽기 : 저는 컴퓨터를 전공하지만 역사나 건축에 관심이 많아서 그 분야의 책을 많이 읽었어요. 추리소설과 대하소설에 푹 빠져 있던 시기도 있었고요. 하지만 몇 년간 베스트셀러였던 ‘해리포터 시리즈’는 제 취향이 아니라서 읽지 않았어요. 남들이 추천하는 책만 읽다 보면 작심삼일이 되기 쉬워요. 소설이든 만화든 우선 내 마음에 드는 책을 읽어야 또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죠.
I do 도서관에 자주 발품 팔기 : 일주일에 몇 번이나 도서관에 가냐고 물어보시는데 저는 거의 그곳에 있어요. 자주 가다 보니 이제는 서가의 위치가 익숙해서 굳이 검색을 하지 않아도 제가 원하는 책을 쉽게 찾아요. 도서관에선 데이터베이스(DB) 교육도 받을 수 있고 DVD실도 공짜로 이용할 수 있어요. 시험 기간에만 도서관에 오는 학생들은 잘 모르는 정보죠.
I don’t 독서 시간·장소 따로 만들기 : 책은 조용한 곳에서 읽어야 집중이 잘된다고요? 저는 쉬는 시간에 시끄러운 강의실에서 책을 읽어요. 10분이 결코 긴 시간은 아니지만 많이 읽으면 80쪽 정도 읽거든요. 시간이 제한됐을 때 책을 읽으면 오히려 더 집중이 잘되더라고요. 책을 보기 위해서 일부러 시간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면 부담스러울 거예요. 하지만 자투리 시간을 잘 이용하면 하루에 한 권 읽기 어렵지 않아요.
I don’t 무조건 한 권씩 읽기 : 여러 권의 책을 한꺼번에 읽으면 헷갈릴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장르를 달리 하면 그럴 염려가 없어요. 저는 딱딱한 내용의 인문서와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에세이, 소설을 동시에 보는 편이에요. 쉬는 시간이 길면 소설을 주로 읽고요, 시간이 짧으면 흐름에 관계없이 읽을 수 있는 인문서를 봐요. 조금 진지한 책과 가벼운 책을 번갈아 읽는 것이 지치지 않는 방법이에요.
리포트 작성의 달인 장현호
서강대 경영 4
서강대 우수 리포트 공모전 대상

I do 주제 선정에 시간 할애하기 : 리포트 쓰는 것보다 주제 잡는 걸 더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저는 준비 기간이 3주라면 그중 열흘 정도는 주제 선정에 투자해요. 처음에 정했던 주제가 과제와 도저히 맞지 않을 경우엔 중간에 과감히 바꾸기도 합니다. 리포트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데 그만큼 주제가 중요하다고 느끼거든요.
I do 메모 습관 들이기 : 급하게 검색해서 주제를 정하려면 남들과 차별화되는 콘셉트가 안 나와요. 교수님들은 보통 그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어떻게 접목시키는지를 관심 있게 보거든요. 저는 평소 책이나 신문을 읽다가 인상 깊은 부분이 나오면 메모해두는 습관이 있어요. 과제가 주어지면 적어둔 메모를 꺼내 보면서 소주제를 정하죠.
I don’t 인터넷 기사 검색하기 : 자료 찾을 땐 인터넷 검색은 지양하는 편이에요. 대부분 인터넷 기사를 보고 리포트를 쓰거든요. 남들과 다른 내용을 쓰려면 그 기사의 바탕이 된 원본 자료를 찾아 읽어야 해요. 주로 학교 도서관에서 논문을 검색하거나 사설 연구소, 전문기관 등에서 발표한 리포트를 찾아 읽어요. 일일이 자료를 찾으려면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지만 주제를 정할 때부터 어디서 자료를 얻을지 생각해 놓으면 의외로 쉽게 찾을 수 있어요.
I don’t 마감 전날 리포트 쓰기 : 기한에 쫓겨 리포트를 쓰면 완성도는 기대하기 힘들어요. 적어도 과제 마감일 일주일 전에 1차 원고를 쓰는 것을 목표로 해요. 리포트를 쓰는 시간보다 수정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들이거든요. 1차 원고는 분량보다 더 많이 써놓고 주제와 관계없는 내용을 지우는 방식으로 3분의 1을 잘라내요. 힘들게 모은 자료일수록 버리기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만 전체 흐름에서 벗어난 자료라면 과감하게 빼는 게 좋아요.
노트 필기의 달인 최정상
성균관대 경제 2
성균관대 학습 포트폴리오 공모전 금상

I do 목차 만들기 : 이것이 제 노트 필기의 가장 큰 특징이에요. 학기가 시작되고 수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들어서면 강의 계획서와 교재를 토대로 저만의 목차를 만들어서 노트 첫 장에 붙여둬요. 마치 한 권의 책을 쓴다는 느낌으로요. 목차가 있어야 한 학기 수업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따라갈 수 있거든요.
I do 일정한 틀 만들기 : 필기한 내용이 하나의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게 중요해요. 만일 흐름이 끊기는 부분이 있으면 자료를 더 찾아서라도 내용이 하나로 이어지도록 만들어놓는 편이에요.
또 한 단원이 끝나면 여백이 남더라도 다음 장으로 넘어가요. 소제목과 본문을 나누어서 같은 위치에 일정하게 필기하고요. 이렇게 해두면 나중에 노트만 봐도 전체 수업의 흐름이 한눈에 들어오죠.
I don’t 필기는 한 번으로 끝내기 : 수업 시간에만 필기해서는 이렇게 하기 힘들어요. 저는 수업 들을 때 이면지에 1차로 필기를 하고 그것을 토대로 2차 필기 노트를 따로 만들어요. 2차 노트에는 이면지에 적은 내용을 요약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서 정리해요. 2차 노트를 만드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한 건 아니에요. 보통 쉬는 시간을 이용해서 하기 때문에 30분이면 충분해요.
I don’t 알록달록 예쁘게 필기하기 : 노트 필기와 노트 꾸미기는 엄연히 다르다고 생각해요. 예쁜 글씨체로 알록달록하게 필기를 하다가 정작 공부하기도 전에 지쳐버리는 이들이 많은데요, 저는 글씨체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편이에요. 펜도 세 가지(검정, 빨강, 파랑) 색만 써요. 노트 필기와 시험공부를 별개로 여기는 이들이 많은데 두 가지를 동시에 한다고 생각하면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을 거예요.
글 김보람 기자 bramvo@hankyung.com│사진 김기남 기자 knk@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